워싱턴(로이터) — 백악관은 정부 셧다운의 여파로 10월 고용 및 인플레이션 지표 보고서가 발표되지 못할 수도 있다고 수요일 밝혔다.
2025년 11월 12일, 로이터 통신 보도에 따르면, 백악관 대변인 카롤린 레빗(Karoline Leavitt)은 이번 업무 중단이 연방정부의 통계 수집 기능을 저해해 정기 경제지표의 산출과 공개가 중단될 위험을 키웠다고 설명했다.
레빗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기자들에게, 셧다운으로 인해 연방 통계 수집이 손상돼 연방준비제도(Federal Reserve) 정책결정자연준 이사진 등들이 중요한 경제 국면에서 사실상 “블라인드” 상태로 판단을 내려야 하는 처지에 놓였다고 말했다.
핵심: 정부 셧다운 → 연방 통계 수집 차질 → 10월 고용·물가 보고서 미발표 가능성 → 연준은 핵심 데이터 없이 정책 판단.
정부 셧다운이란 무엇인가
정부 셧다운은 의회에서 예산안이나 임시 지출안이 제때 통과되지 못해, 비필수적으로 분류되는 일부 연방정부 기능과 서비스가 일시 중단되는 상황을 의미한다. 이때 통계 수집, 보고서 편집·검증, 정기 공표 등 행정적 절차도 지연되거나 멈출 수 있다. 이번 사안과 같이 고용과 물가 같은 핵심 지표의 생산 과정이 멈추면, 정책과 시장에 필요한 ‘공식 수치’가 제때 제공되지 않는 공백이 발생한다.
왜 10월 고용·물가 지표가 중요한가
고용(노동시장)과 인플레이션(물가상승률)은 경기의 온도를 가장 직접적으로 보여주는 핵심 지표다. 통화정책의 방향을 결정하는 데 있어 두 지표는 기준금리·유동성 관리의 핵심 입력값으로 활용된다. 따라서 해당 월의 보고서가 지연되거나 영구적으로 미발표될 가능성이 제기되면, 경제주체들은 대안을 찾기 어려운 불확실성에 직면하게 된다. 백악관의 이번 언급은 바로 그 데이터 공백이 현실화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연준 정책결정에 미치는 함의
레빗 대변인이 지적했듯, 통계 수집의 차질은 연준이 ‘데이터에 기반한 정책’을 수행하는 데 구조적 제약을 낳는다. 정책결정자들은 보통 최신 고용·물가 흐름을 복합적으로 분석해 경기 과열 여부와 가격 압력을 가늠한다. 그러나 공식 통계가 나오지 않으면, 과거 자료나 민간 추정치, 고빈도 대체 지표 등 불완전한 신호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이는 정책 시차와 경기 판단의 불확실성을 확대해, 과도하거나 부족한 대응(오버슈팅 혹은 언더슈팅)의 위험을 키운다.
통계 수집이 ‘손상’된다는 뜻
‘통계 수집 손상’은 단순한 지연을 넘어, 표본조사 일정 차질, 응답률 하락, 데이터 정합성 검토 축소 등 품질 리스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런 상황에서 발표 자체가 무산될 경우, 시장과 정책의 공통 분모가 되는 ‘공식 기준치’가 부재해 해석의 편차가 커진다. 결과적으로 시장 변동성은 커지고, 정책 신뢰도는 시험대에 오른다.
시장·기업·가계에 대한 잠재적 영향
공식 지표 부재는 금리 경로 추정의 오차범위를 넓히고, 채권·외환·주식시장 전반의 가격발견 과정을 불안정하게 만든다. 기업은 투자와 고용 결정을, 가계는 소비와 주택 관련 결정을 내릴 때 참조하는 기준정보가 줄어들어 계획 수립에 어려움을 겪는다. 특히 데이터 발표 일정의 일관성이 깨지면, 향후 발표가 재개되더라도 누적된 불확실성이 쉽게 해소되지 않는 경향이 있다.
실무적 고려사항
데이터 공백기에는 대체 신호(예: 카드 사용액 추이, 구인공고, 운송 물동량 등 고빈도 지표)일반적 예시를 참고하는 시도가 늘 수 있으나, 이러한 자료는 범위·방법론·표본 대표성에서 공식 통계와 다르다. 따라서 해석에는 보수적 접근이 필요하다. 무엇보다 정책 당국과 시장 참여자 간의 커뮤니케이션이 중요해지며, 불확실성 구간에서는 리스크 관리 원칙이 강조된다.
정리
이번 백악관 발표는 “10월 고용·물가 보고서의 미발표 가능성”과 “연준의 데이터 공백”이라는 두 가지 핵심 메시지로 압축된다. 이는 정책·시장 전반의 의사결정이 직면한 불확실성의 성격을 드러낸다. 공식 통계의 시의성과 신뢰성은 정책 일관성의 토대이기 때문에, 통계 수집 체계의 안정성은 곧 정책 역량과 직결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