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alidea 오샤너시 전략 일일 업그레이드 보고서: 파크 오하이오 홀딩스, 모델 점수 100% 달성

미국의 투자 리서치 플랫폼인 Validea가 19일(현지시간) 자사 ‘Growth/Value Investor’ 모델에 따라 PARK OHIO HOLDINGS CORP(티커: PKOH)의 등급을 상향했다. 해당 모델은 유명 퀀트 투자 전문가 제임스 P. 오샤너시의 공개 전략을 기반으로 하며, 대형 가치주 모델과 지속적인 이익 성장·상대강도를 찾는 성장주 모델을 결합해 운용된다.

2025년 9월 19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파크 오하이오 홀딩스의 종합 점수는 이전 75%에서 100%로 상승했다. 이 모델에서 80% 이상이면 ‘관심’ 단계, 90%를 초과하면 ‘강한 관심’ 단계로 분류되는데, 이번 상향으로 PKOH는 가장 높은 구간에 진입했다.

파크 오하이오 홀딩스는 시가총액 기준 스몰캡 가치주로 분류되며, 업종은 ‘Business Services(비즈니스 서비스)’다. 회사는 공급망 관리 아웃소싱, 생산 라인용 자본재, 제조 부품을 고객에게 제공하는 다각화된 국제 기업이다. 주요 부문은 Supply Technologies, Assembly Components, Engineered Products의 세 가지로 구성된다.

주목

Supply Technologies 부문은 ‘Total Supply Management’라는 개념을 중심으로 생산 현장에 필요한 부품·소재의 전략 수립부터 실행·재고 관리까지 전 과정을 아웃소싱 형태로 지원한다. Assembly Components 부문은 고압 직접 연료 분사용 연료 레일·파이프, 연료 주입 파이프, 복층 플라스틱·고무 호스 등을 설계·제조한다. Engineered Products 부문유도가열·용해 시스템, 배관 나사 절삭 시스템, 단조·가공 부품 등 고부가가치 장비와 부품을 생산한다.

모델별 핵심 통과 지표
• 시가총액: PASS
• 주당순이익(EPS) 지속성: PASS
• 주가/매출액(PSR) 비율: PASS
• 상대강도(Relative Strength): PASS

이번 점수 상향은 위 네 가지 항목이 모두 ‘PASS’로 평가된 결과다. 특히 주가/매출액 비율상대강도가 개선되면서 전체 점수가 100%에 도달했다. 상대강도(Relative Strength)는 일정 기간 동안 해당 주식이 시장 대비 얼마나 강한 흐름을 보였는지 측정하는 지표다.

제임스 P. 오샤너시는 1996년 베스트셀러 『What Works on Wall Street』를 통해 44년치 주식시장 데이터를 후방검증(백테스팅)하며 ‘저PER만이 가치의 척도가 아니다’라는 통념 타파를 시도했다. 그는 스몰캡이 대형주 대비 본질적으로 우월하지 않다는 점도 제시해 업계에 충격을 줬다. 현재 그는 O’Shaughnessy Asset Management의 최고투자책임자(CIO)로 활동 중이다.

Validea는 워런 버핏, 벤저민 그레이엄, 피터 린치, 마틴 즈바이그 등 장기적으로 시장수익률을 상회한 ‘투자 구루’들의 전략을 모델 포트폴리오 형태로 추종·제공하는 리서치 플랫폼이다. 투자자들은 해당 모델을 통해 종목별 ‘구루 점수’와 펀더멘털 분석을 열람할 수 있다.

주목

전문가 시각
PKOH는 전통 제조·공급망 솔루션 기업으로, 글로벌 공급망 재편 흐름이 심화될수록 ‘Total Supply Management’ 역량이 재평가될 것이라는 관측이 있다. 또한, 스몰캡 가치주라는 점에서 ‘금리 피크아웃’ 이후 자금 유입이 기대되는 섹터라는 분석도 나온다. 다만, 공급망 부문의 고객 다변화원자재 가격 변동성이 위험 요인으로 거론된다.

용어 설명
Total Supply Management: 단순 납품을 넘어 수요 예측, 재고 최적화, 현장 공급, 품질 관리까지 통합적으로 제공하는 공급망 아웃소싱 서비스.
Relative Strength: 주가가 같은 기간 시장 평균 대비 얼마나 상승(또는 하락)했는지를 백분율로 표현한 지표로, 상승폭이 클수록 상대강도가 높다.

기사 말미에 명시된 대로, “본 기사에 나타난 견해와 의견은 필자의 것이며, 반드시 나스닥(Nasdaq, Inc.)의 공식 입장을 반영하지는 않는다.”는 고지문이 덧붙었다.


※ 본 기사에 사용된 모든 데이터와 인용문은 2025년 9월 19일 기준 Validea 및 나스닥닷컴에서 제공한 원문 정보를 직역·의역해 정리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