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SDA 경작면적 대폭 축소에 대두 선물 급등

USDA 경작면적 대폭 축소에 대두 선물 급등

미국 시카고상품거래소(CBOT)에서 거래되는 대두 선물 가격이 12일(현지시간) 화요일 장 마감과 함께 근월물 전 계약이 21~22¼센트 급등하며 랠리를 기록했다.

2025년 8월 13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전국 평균 현물가격(cmdtyView Cash Bean)은 20¼센트 오른 부셸당 9.72¾달러를 기록했다. 부수(副産) 제품인 소이밀 선물은 t당 0.70~2.10달러 상승했고, 소이오일 선물도 1~15포인트(센트) 녹색(상승) 영역에서 거래됐다. 같은 날 밤에는 8월물 소이밀 128계약, 소이오일 87계약이 추가로 실물인수도(딜리버리) 지시됐으며 8월물은 목요일 만기다.


📈 USDA 작황·수급 보고서 핵심

미 농무부(USDA)가 이날 아침 발표한 작황 생산(Crop Production) 보고서에서는 대두 경작면적이 무려 250만 에이커(약 1,011만ha) 줄어 8,090만 에이커로 수정됐다. 반면 단수(수확량) 추정치는 에이커당 53.6부셸(bpa)로, 시장 예상치 53부셸을 상회했다. 이에 따라 생산량은 42억9,200만부셸(bbu)로 7월 WASDE 대비 4,300만부셸 감소했으며, 애널리스트들이 예상한 3,900만부셸 증산 전망을 뒤집었다.

① bpa(bushels per acre): 곡물 수확량을 표현할 때 쓰는 단위로, 1에이커(약 4,047㎡)당 몇 부셸이 생산됐는지를 나타낸다.
② WASDE: 세계농업수급전망(World Agricultural Supply and Demand Estimates)의 약자로, USDA가 매월 발표하는 글로벌 곡물·농산물 수급 보고서다.


🔍 재고·수출·분쇄(크러시) 전망

구작(2024/25) 기말재고이전 추정치보다 2,000만부셸 감소한 3억3,000만부셸로 집계됐다. 이는 수출 1,000만부셸 증가, 국내 분쇄도 1,000만부셸 증가를 반영한 결과다. 신작(2025/26) 재고는 3억부셸 밑으로 내려온 2억9,000만부셸로 3,000만부셸 줄었다. 생산 감소분이 일부 수출 감소로 상쇄됐기 때문이다. 세계 신작 기말재고는 미국 재고 축소 덕분에 1.17MMT 줄어 1억2,490만t로 낮아졌다.

Cash Bean Chart

🌾 NASS 주간 작황 경과

미국 농통계국(NASS)이 월요일(11일) 발표한 작황 진행 상황(Crop Progress)에 따르면, 미 전체 대두의 91%가 개화했고 71%가 꼬투리(pod) 형성 단계에 들어섰다. 이는 평년 대비 각각 1%포인트씩 늦은 진도다. 양호·우수(Good/Excellent) 등급은 전주 대비 1%포인트 낮아진 68%였으며, Brugler500 지수도 1점 하락해 374를 기록했다.

주별로 보면 인디애나(IN)·아이오와(IA)·미네소타(MN) 등은 1포인트 개선됐고, 미시간(MI)은 5포인트, 네브래스카(NE)는 3포인트, 사우스다코타(SD)는 5포인트 상승했다. 반면 일리노이(IL)는 11포인트, 미주리(MO)는 1포인트, 노스다코타(ND)는 4포인트, 오하이오(OH)는 3포인트, 테네시(TN)는 32포인트 급락해 대두 전반의 품질을 끌어내렸다.


🚢 브라질 수출 전망

브라질 곡물수출업협회(ANEC)는 8월 대두 수출량을 880만t으로 추정했다. 이는 이전 전망치 815만t을 상향한 것이며, 지난해 같은 달 804만t보다도 높다. 남미 최대 생산국인 브라질의 공격적인 수출이 미국산 대두 가격에 하방 압력을 줄 수 있다는 관측이 있지만, 이번 USDA 경작면적 급감이 공급 타이트닝 요인으로 작용해 시장은 상승세를 보였다.

Soymeal Futures


💰 선물·현물 시세

8월물 대두은 부셸당 10.11¾달러로 22¼센트 급등해 10달러 선을 확실히 상회했다. 9월물은 21센트 오른 10.12¾달러, 11월물은 21½센트 상승한 10.32¾달러에 마감됐다. 근월 현물(Cash)은 9.72¾달러, 신작 현물(New Crop Cash)은 9.63½달러로 각각 20¼센트, 21¼센트 뛰었다.


🖋️ 전문가 시각 및 시장 함의

애널리스트들은 “경작면적의 갑작스러운 250만 에이커 감소는 기후·재배 선택·보험 인센티브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올해 미국 대두 수급에 구조적 타이트닝을 가져올 가능성이 있다”고 진단한다. 동시에 일시적 가격 랠리 이후에는 브라질·아르헨티나의 남반구 작황, 미·중 수출협상, 달러 환율 등이 재차 가격을 좌우할 전망이다. 특히 53.6bpa라는 단수는 사상 최고치 수준이어서, 가을 수확이 본격화될 때 실제 수확량이 얼마나 유지되느냐가 추가 상승의 분수령으로 지목된다.

국내 사료·식품 업체들은 원가 리스크 관리를 위해 선제적 헤지 전략을 강화하고 있으며, 바이오디젤용 소이오일 수요 역시 이슈가 커지고 있어 관련 산업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 면책 조항(Disclaimers)

기사 작성일 기준, 집필자 Austin Schroeder는 본문에서 언급한 어떤 종목에도 직접·간접적으로 포지션을 보유하고 있지 않다. 본 기사는 정보 제공만을 목적으로 하며, 투자 조언이 아니다. 세부 사항은 Barchart Disclosure Policy를 참고할 수 있다. 아울러, 본문에 나타난 견해와 의견은 저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나스닥(Nasdaq, Inc.)의 공식 입장과는 다를 수 있다.


📚 관련 기사(번역)

  • 루머에 매도한 트레이더들, 소이밀로 사실 매수할 때인가?
  • 반등하는 소이밀 가격, 어디까지 오를 수 있나?
  • 2분기 곡물시장 결산 및 3분기 전망
  • 시장 저점 주시: 대두 가격 상승 여력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