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BS가 유럽 주식의 이익 성장세가 2026년 재개될 것으로 예상하며, 유럽 대표 지수인 Stoxx 600의 목표가를 2025년 말 600, 2026년 말 650으로 제시했다. 전략가들은 밸류에이션(가치평가) 추가 확장이 선행된 뒤, 2026년에는 실질적인 이익 성장의 전달(delivery)이 이뤄질 것으로 내다봤다.
2025년 11월 12일, 인베스팅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UBS는 최근 보고서에서 지난 3년간 이어진 실망스러운 이익 모멘텀을 뒤로하고 2026년을 “유럽의 다음 시대(Europe’s next era)”로 규정했다. 이들은 밸류에이션 리레이팅이 이미 일부 진행됐지만, 여전히 상향 여지가 남아 있다고 진단했다.
UBS 전략가 게리 파울러(Gerry Fowler)와 수탄야 체다(Sutanya Chedda)는 2026년을 유럽 증시의 분기점으로 지목하며, 2025년에는 주당순이익(EPS)이 약 7% 증가할 것으로 추정했다. 이는 컨센서스인 10~11% 대비 보수적 가정으로, 매출 성장률 3~4%와 영업마진의 일부 개선을 근거로 했다. 이들은 기본 시나리오에서 연간 수익률 약 10%의 업사이드를 예상하면서도, “리스크는 긍정적으로 기울어져 있다(risks skewed positively)”고 평가했다.
UBS는 가장 매력적인 기회를 유럽의 리뉴얼(갱신)과 구조적 투자에서 찾았다. 특히 전력망(grid)과 클린 파워에 2조 유로(€2T) 이상이 투입될 전망이며, 전기화(electrification)의 지속과 재정 확장이 핵심 성장 동력으로 작용할 것으로 내다봤다. 보고서는 “재생에너지는 전력망·클린 파워에 대한 2조 유로+ 투자로 두드러지며, 규제 추세의 뒷받침과 인프라 지출 확대로 전기화가 수혜를 볼 것”이라고 밝혔다.
“Renewables stand out, supported by over €2 trillion in grid and clean-power investment, while electrification benefits from regulatory tailwinds and sustained infrastructure spending.”
UBS는 또한 대출 성장 가속과 견조한 자본비율을 바탕으로 은행 섹터의 수혜 가능성을 지적했다.
거시 전망과 정책 경로
UBS는 유로존 GDP가 2025년 1.4% 성장에 이어 2026년 1.1% 성장할 것으로 예상했다. 국방과 독일 인프라 관련 재정 프로그램이 성장률에 약 0.3%p포인트를 보탤 것으로 추정했다. 유럽중앙은행(ECB)은 2026년까지 정책금리 2%를 동결할 것으로 전망됐다.
팀은 유럽 증시가 미국 증시 대비 초과수익을 내리라 기대하지는 않지만, 낮은 밸류에이션, 정책 지원, 잠재 유입 자금을 근거로 “진정한 업사이드 비대칭성(genuine upside asymmetry)”이 존재한다고 보았다. 아울러 “2026년에는 유럽과 미국의 성과가 유사할 수 있으나, 유럽의 저평가와 가벼운 포지셔닝은 촉매가 현실화될 경우 상대적 초과 성과를 가능하게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If catalysts such as stronger-than-expected earnings, successful policy implementation, or accelerated AI adoption materialise, Europe could deliver persistent positive surprises.”
이들이 꼽은 촉매로는 예상보다 강한 실적, 정책 이행의 성공, AI 채택 가속 등이었다.
밸류에이션과 목표가 근거
UBS는 “시장이 리레이팅(re-rated)됐지만 여전히 매력적”이라며, 포워드 PER이 15.5배까지 상승할 여지가 있다고 평가했다. 이는 Stoxx 600의 2025년 말 600, 2026년 말 650이라는 목표가를 지지하는 근거로 제시됐다. 전략 측면에서는 적정가치의 성장(GARP: growth at a reasonable price)을 선호하며, 특히 광산·통신·은행 섹터를 상대적으로 우호적으로 본다고 밝혔다.
선호 테마로는 재생에너지, 전기화, AI 채택을 통한 생산성 리더가 제시됐다. UBS의 REVS 프레임워크2026에서 유틸리티·통신·금융·산업재가 실적 모멘텀·밸류에이션 매력·투자자 심리의 조합이 가장 우수한 그룹으로 꼽혔다. 반면 자동차·화학·가정용품은 경기적·구조적 역풍에 직면해 비선호로 분류됐다.
UBS는 AI를 점증하는 생산성 동력으로 보고, 금융·산업재·기술 등 일부 섹터의 조기 채택 기업에서 마진 개선과 직원 1인당 매출 확대가 이미 관찰된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다음과 같이 결론지었다.
“As AI becomes embedded in operations, customer experience, and product innovation, we think it is poised to become a dominant driver of beta and alpha.”
맥락 해설: 이번 전망의 의미
이번 UBS의 Stoxx 600 목표 상향은, 밸류에이션 확장 → 이익 성장이라는 2단계 경로를 전제로 한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2025년에는 EPS 7% 성장이라는 보수적 가정이 깔렸고, 2026년에 유럽 내수의 가속과 재정 확장, 구조적 투자가 맞물려 이익의 실현으로 이어질 가능성을 점쳤다. 이는 과거 3년의 실적 부진으로 낮아진 기대가 상향 조정되는 흐름과 호응한다.
또한 전력망과 클린 파워에 대한 2조 유로+의 투자 기대는, 재생에너지·전기화·인프라 전반에 멀티이어(Multi-year) 수주·투자 스토리를 제공한다. 은행의 경우, 대출 성장 회복과 견조한 자본이 레버리지해 순이자수익(NII) 및 배당·자사주 여력을 뒷받침할 수 있다. 다만 UBS 스스로 유럽의 미국 대비 확실한 아웃퍼폼을 전제하지는 않았고, 촉매(earnings·policy·AI)의 실현 여부에 따라 상승 비대칭성이 발현될 수 있다는 조건부 서술을 유지했다.
용어 설명: 투자자 이해를 위한 핵심 개념
Stoxx 600: 유럽 17개국 상장 대형·중형주 600개로 구성된 광범위 지수다. 지역·섹터 분산이 넓어 유럽 주식시장의 대표 벤치마크로 활용된다.
EPS(주당순이익): 기업의 순이익을 발행주식수로 나눈 지표다. 시장 컨센서스 대비 실제 EPS 성장률이 상회하면 주가의 리레이팅을 촉발할 수 있다.
밸류에이션 확장(Valuation Expansion): 실적이 크게 변하지 않아도 투자자들이 더 높은 배수(PER 등)를 지불하려 할 때 발생한다. 금리, 리스크 프리미엄, 정책 기대 등이 영향을 준다.
포워드 PER(Forward P/E): 향후 12개월 예상 이익 대비 현재 주가의 배수다. UBS는 15.5배까지의 상승 여지를 언급했다.
REVS 프레임워크: UBS가 섹터를 평가할 때 활용하는 이익 모멘텀(Earnings), 밸류에이션(Valuation), 심리(Sentiment)를 결합한 내부 모델로, 유틸리티·통신·금융·산업재가 2026년 상단에 위치한다고 밝혔다.
베타·알파: 베타(beta)는 시장 전체 움직임에 대한 민감도, 알파(alpha)는 시장 대비 초과수익을 뜻한다. UBS는 AI 내재화가 베타·알파의 지배적 동인으로 부상할 수 있다고 보았다.
섹터 시사점과 투자 포지셔닝
UBS는 유틸리티·통신·금융·산업재를 우선순위로 제시하고, 자동차·화학·가정용품을 비선호했다. 전자는 정책·인프라 투자·규제 우호성 및 AI·전기화의 직간접 수혜가 기대되는 반면, 후자는 경기 민감도와 구조적 전환 부담이 상대적으로 크다는 이유에서다. 전략적으로는 GARP 관점의 종목 선별이 강조되며, 광산·통신·은행이 후보군으로 이름을 올렸다.
결론적으로 UBS의 Stoxx 600 600/650 시나리오는, 2025년 밸류에이션 확장과 2026년 이익 실현이라는 시간 분할을 통해 연 10% 내외의 업사이드를 가정한다. 유로존 성장 1.4%→1.1%, ECB 2% 금리 동결, 재정 0.3%p 기여라는 거시 가정과 함께, 전력망·클린 파워 2조 유로+의 구조적 투자가 핵심 줄기다. 촉매가 가시화될 경우 유럽의 상대적 서프라이즈 가능성이 열려 있다는 점이 본 보고서의 함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