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G Immobilien이 9개월(연초~9월) 기준 FFO I와 FFO II 및 순이익과 순임대수익 실적을 공개했고, 2025년 가이던스를 상향 조정했다고 밝혔다. 핵심 현금흐름 지표인 FFO I는 전년 동기 대비 증가했고, 주당 기준으로도 소폭 개선됐다. 다만 자산 매각 실적은 전년 동기 대비 감소했다.
2025년 11월 11일, RTTNews 보도에 따르면, TAG Immobilien의 9개월 FFO I는 1억3,580만 유로로 전년 동기의 1억3,050만 유로에서 늘어났다. 주당 FFO I는 0.76유로로 전년 동기의 0.74유로 대비 개선됐다. FFO II는 1억6,930만 유로로 전년 동기 1억6,750만 유로를 상회했다. 주당 FFO II는 0.95유로로 전년과 동일했다.
지배기업 소유주에게 귀속되는 순이익은 3억118만 유로로 전년 동기의 3,048만 유로에서 크게 증가했다. 주당순이익(EPS)은 1.63유로로 전년 동기의 0.17유로를 크게 웃돌았다. 순임대수익은 2억2,824만 유로로 전년 동기 2억1,667만 유로 대비 증가했다. 반면, 매각 실적(sales result)은 3,659만 유로로 전년 동기의 4,586만 유로보다 감소했다.
가이던스 상향: 2025년 전망
회사는 2025년 FFO I 가이던스를 종전 1억7,200만~1억7,600만 유로에서 1억7,400만~1억7,900만 유로로 상향했다. 또한 2025년 FFO II 가이던스 역시 종전 2억3,300만~2억4,300만 유로에서 2억3,500만~2억4,600만 유로로 상향 조정했다. 상단과 하단 모두 소폭(약 200만~250만 유로) 상향된 것으로, 운영 현금창출력에 대한 경영진의 신뢰가 개선되었음을 시사한다.
중기 가이던스: 2026년 기대치
2026회계연도 전망으로, 회사는 FFO I 1억8,700만~1억9,700만 유로, FFO II 2억7,900만~2억9,500만 유로 범위를 제시했다. 중간값 기준으로 2026년 FFO I은 약 1억9,200만 유로, FFO II는 약 2억8,700만 유로로, 2025년 가이던스 중간값(각각 약 1억7,650만 유로, 2억4,050만 유로) 대비 추가 개선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핵심 포인트
9개월 FFO I: 1억3,580만 유로(전년 1억3,050만 유로)·주당 0.76유로(전년 0.74유로)
9개월 FFO II: 1억6,930만 유로(전년 1억6,750만 유로)·주당 0.95유로(전년 동일)
순이익: 3억118만 유로(전년 3,048만 유로), EPS 1.63유로(전년 0.17유로)
순임대수익: 2억2,824만 유로(전년 2억1,667만 유로)
매각 실적: 3,659만 유로(전년 4,586만 유로)
2025 가이던스: FFO I 1억7,400만~1억7,900만 유로, FFO II 2억3,500만~2억4,600만 유로
용어 해설: FFO I·FFO II는 무엇을 의미하나
FFO(운영활동으로부터의 펀드)는 부동산 기업이 영업 현금창출력을 평가할 때 널리 사용하는 비회계기준(Non-GAAP) 지표다. 일반적으로 FFO I는 임대사업에서 발생하는 반복적·지속적 현금흐름을 중점적으로 반영하며, FFO II는 여기에 자산 매각 결과 등 비정기적 요소를 일부 포함하는 확장 지표로 쓰인다기업별 정의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FFO II는 매각 시점·규모에 따라 변동성이 더 커질 수 있다.
해석과 시사점
이번 실적에서 FFO I와 FFO II 모두 전년 동기 대비 증가했으며, 특히 주당 FFO I가 0.76유로로 개선되어 희석 효과를 감안한 현금창출력의 질적 개선이 관찰된다. 반면 주당 FFO II가 0.95유로로 전년과 동일했던 점은, 매각 기여를 포함하는 확장 지표의 경우 매각 실적 감소(3,659만 유로, 전년 4,586만 유로) 영향으로 증가 폭이 제한되었음을 시사한다. 그럼에도 회사는 2025년 가이던스를 상향했고, 2026년에는 더 높은 범위를 제시했다. 이는 핵심 임대사업의 체력과 비용·포트폴리오 관리 등 운영 측면에서의 점진적 개선 가능성을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순이익과 EPS가 각각 3억118만 유로, 1.63유로로 큰 폭 증가한 점은 재무 성과의 유의미한 개선을 보여준다. 다만 순이익은 회계기준상 평가·일회성 요인의 영향을 받을 수 있는 반면, FFO는 영업현금흐름 중심의 체력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두 지표의 성격은 다르다. 투자자 관점에서는 FFO 추세와 가이던스의 연속성을 함께 추적하는 것이 유용하다.
숫자로 본 가이던스의 변화
2025년 FFO I 가이던스의 중간값은 약 1억7,650만 유로로, 종전 범위의 중간값(약 1억7,400만 유로) 대비 약 250만 유로 상향됐다. FFO II 가이던스의 중간값도 약 2억4,050만 유로로, 종전 약 2억3,800만 유로 대비 약 250만 유로 높아졌다. 2026년의 중간값은 각각 FFO I 약 1억9,200만 유로, FFO II 약 2억8,700만 유로로, 2025년에서 2026년으로의 단계적 성장 경로를 내포한다.
투자자 체크포인트
– 임대사업의 안정성: 순임대수익이 증가세를 보이고 있어 핵심 영업 기반의 견조함이 확인된다.
– 매각 기여의 변동성: 매각 실적 감소로 FFO II의 주당 수치가 보합에 그쳤다. 향후 매각 전략의 규모·타이밍이 FFO II에 미치는 영향이 관건이다.
– 가이던스 신뢰도: 2025년 상향과 2026년 제시는 운영 현금창출력 개선 의지를 반영한다. 분기별 추세 확인이 필요하다.
참고 주당 지표(EPS, 주당 FFO)는 발행주식수 변동과 희석효과를 반영해 투자자 단위에서 성과를 비교 가능하게 만든다. 반면 총액 기준 지표는 기업 전체 규모의 변화(자산 매입·매각 등)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는다.
한편, 회사 실적 관련 추가 소식과 일정은 rttnews.com에서 제공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