옵션 시장에서 라이다(LiDAR) 센서 기업 Ouster Inc(티커: OUST)에 대한 장기 만기 상품이 등장했다.
2025년 7월 29일, 나스닥닷컴(Nasdaq.com)의 보도에 따르면 이번 주부터 2026년 2월 20일 만기(잔존일수 206일) 신규 옵션 시리즈가 상장됐다. 옵션 가격 산정의 핵심 요소인 ‘시간 가치(time value)’가 길게 남아 있어, 매도자(풋·콜) 입장에선 짧은 만기 대비 더 높은 프리미엄을 받을 기회가 열렸다는 평가다.
시장 데이터 전문 사이트 ‘스톡옵션채널(StockOptionsChannel.com)’이 자체 ⓒ YieldBoost 알고리즘을 적용해 OUST 옵션 체인을 점검한 결과, 특히 주목할 만한 계약으로 $24.00 풋과 $27.00 콜 두 가지가 꼽혔다.
1) $24.00 풋 옵션: 25% 프리미엄 수익, 연간화 44.29%
현재 해당 풋의 매도 호가(bid)는 $6.00이다. 투자자가 이 계약을 매도(SELL-to-OPEN)할 경우, 만기 시 주가가 행사가격 이하로 내려갈 때 주당 $24.00에 주식을 매수할 의무를 지는 대신, 즉시 프리미엄을 수취해 실질 매입단가를 $18.00까지 낮출 수 있다. 현 시세 $25.38보다 5% 할인된 가격에 매수 기회를 확보하면서도 프리미엄을 챙길 수 있다는 점이 매력이다.
계약이 만기 무가치(expire worthless)로 끝날 확률은 현재 그리스 값 계산 기준 69%로 제시됐다. 만약 이 시나리오가 현실화되면, 투자자는 주식 매입 의무가 사라지는 동시에 받은 프리미엄 25.00%를 온전히 수익으로 기록한다. 연간화(Annualized) 수익률은 44.29%에 달하며, 스톡옵션채널은 이를 ‘YieldBoost’라 부른다.
위 차트의 녹색선이 $24.00 수준을 나타내며, 최근 12개월 주가 흐름 대비 해당 행사가가 어느 레벨에 위치하는지 시각화된다.
2) $27.00 콜 옵션: 커버드콜 전략으로 최대 34.75% 총수익
콜 측면에서는 $27.00 행사가 계약의 매수 호가(bid)가 $7.20으로 확인됐다. 투자자가 주식을 현 시세 $25.38에 매수한 뒤 동일 계약을 커버드콜(covered call) 방식으로 매도하면, 만기 시 주식이 호출(call away)될 경우 최종 매도가격은 $27.00이 된다. 프리미엄을 포함한 총수익률(배당 제외)은 34.75%로 계산된다.
단, 행사가가 현가 대비 6% 프리미엄(OTM)인 탓에 주가가 해당 수준에 도달하지 못할 가능성도 존재한다. 그 확률은 분석상 36%로 나타났다. 만기 무가치 시 투자자는 주식 보유와 함께 프리미엄만큼의 28.37% 추가 수익(연간화 50.25%)을 확보하게 되며, 이 또한 YieldBoost로 분류된다.
3) 변동성 지표 비교
현재 암시적 변동성(Implied Volatility)은 풋 101%, 콜 102%로 나타나 과거 12개월 실제 변동성 100%를 소폭 상회한다. 이는 시장 참여자들이 향후 변동성을 실제보다 다소 높게 가격에 반영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4) 용어 해설 – YieldBoost·커버드콜·OTM
YieldBoost는 옵션 매도 프리미엄을 현금 수익으로 전환해 배당처럼 ‘수익률 부스터’로 활용하자는 스톡옵션채널의 자체 개념이다. 커버드콜 전략은 보유 중인 주식 수량만큼 콜 옵션을 매도해 추가 현금흐름을 확보하는 방식이며, 주가가 행사가를 넘을 경우 주식을 매도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OTM(Out-of-the-Money)은 옵션이 내재가치가 없는 상태, 즉 현재 가격보다 유리하지 않은 행사가에 위치한 상황을 의미한다. 이런 계약은 만기 무가치 가능성이 높지만, 그만큼 변동성 프리미엄이 높게 책정되는 경향이 있다.
5) 전망과 유의사항
옵션 프리미엄이 매력적이더라도, Ouster의 ▲사업 실적 ▲라이다 센서 산업 성장성 ▲경쟁 구도 등을 면밀히 검토하는 과정이 병행돼야 한다. 특히 주가가 크게 급등할 경우 커버드콜 매도자는 추가 상승분을 포기해야 하므로, 예상 변동성 대비 전략 적합성을 따져볼 필요가 있다.
아울러 옵션 그리스(Greeks) 값—델타·감마·세타·베가 등—은 시간 경과와 시장 상황에 따라 지속 변동하므로, 투자자는 수시로 데이터를 업데이트해 리스크를 관리해야 한다.
“The views and opinions expressed herein are the views and opinions of the author and do not necessarily reflect those of Nasdaq, Inc.”
위 인용문은 원문에 포함된 면책조항으로, 기사 작성자의 의견이 나스닥의 공식 입장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음을 알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