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alidea(발리디아)가 MP Materials Corp(티커: MP)에 대한 구루(거장) 기본 분석 보고서를 공개했으며, 발리디아가 추종하는 22개 구루 전략 가운데 데이비드 드레먼(David Dreman)의 ‘역발상 투자(Contrarian Investor)’ 모델에서 가장 높은 적합도를 보였다고 밝혔다다. 드레먼의 역발상 전략은 시장에서 인기가 낮은 중·대형주 가운데 기초 체력(펀더멘털)이 개선되는 종목을 선별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다.
2025년 11월 22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MP 머티리얼스는 금속광산(Metal Mining) 업종의 중형 성장주(mid-cap growth)로 분류되며, 드레먼 모델을 적용한 평가 점수는 50%로 집계됐다다. 해당 모델의 평가는 기업의 기초 체력(기본적 분석 지표)과 밸류에이션(가치평가)을 종합하며, 일반적으로 점수 80% 이상일 때 전략의 관심 범주에 들고, 90%를 상회하면 강한 관심 대상으로 간주된다고 설명했다다.
드레먼 역발상 전략 적용 결과: 세부 테스트 통과 여부
(각 항목은 전략 내 가중치가 동일하지 않을 수 있으며 상호 독립적이지 않다)
– 시가총액(MARKET CAP): PASS
– 실적 추세(EARNINGS TREND): FAIL
– 최근·향후 EPS 성장률(EPS GROWTH RATE IN THE IMMEDIATE PAST AND FUTURE): FAIL
– 주가수익비율(P/E RATIO): FAIL
– 주가/현금흐름비율(P/CF RATIO): FAIL
– 주가순자산비율(P/B VALUE): FAIL
– 주가/배당비율(P/D RATIO): FAIL
– 유동비율(CURRENT RATIO): PASS
– 배당성향(PAYOUT RATIO): PASS
– 자기자본이익률(ROE): PASS
– 세전영업이익률(PRE-TAX PROFIT MARGINS): PASS
– 배당수익률(YIELD): FAIL
– 부채/자본비율(TOTAL DEBT/EQUITY): FAIL
MP MATERIALS CORP 상세 분석
MP Guru Analysis와 MP Fundamental Analysis 등으로 세부 자료가 제시돼 있으며, 본 보고서는 MP 머티리얼스의 정량 지표와 밸류에이션 지표를 드레먼 전략 기준에 맞춰 요건별로 점검한 결과를 요약한다다. 핵심은 가격 대비 수익성·현금흐름·자산가치·배당 등 가치지표의 다수가 ‘FAIL’로 나타난 반면, 유동성·수익성 지표 일부에서 ‘PASS’가 확인됐다는 점이다다.
데이비드 드레먼 소개
드레먼이 운용한 Kemper-Dreman High Return Fund는 Lipper Analytical Services에 따르면 1988~1998년 동종 255개 펀드 중 성과 1위를 기록한 바 있다. ‘Contrarian Investment Strategies: The Next Generation’ 출간 당시, 해당 펀드는 Lipper 데이터베이스 내 3,175개 펀드 중 가장 많은 기간에서 1위에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 드레먼은 자금 운용과 더불어 Forbes 매거진 칼럼니스트로도 오래 활동했다.
추가 연구 링크 및 발리디아 소개
– Top NASDAQ 100 Stocks
– Factor-Based ETF Portfolios
– Harry Browne Permanent Portfolio
– Ray Dalio All Weather Portfolio
– High Shareholder Yield Stocks
– Excess Returns Investing Podcast
발리디아(Validea)는 장기적으로 시장을 능가한 투자 거장들의 공개 전략을 추종하는 투자 리서치 서비스로, 워런 버핏, 벤저민 그레이엄, 피터 린치, 마틴 츠바이크 등의 접근법을 토대로 종목 분석과 모델 포트폴리오를 제공한다고 밝혔다다.
면책 고지
문서에 담긴 견해와 의견은 작성자 개인의 견해와 의견이며, Nasdaq, Inc.의 공식 입장을 반드시 반영하지는 않는다고 명시했다다.
해석과 시사점: 드레먼 ‘역발상’ 기준에서 본 MP 머티리얼스
이번 보고서의 핵심 수치는 총점 50%다. 드레먼 모델에서 관심 임계치로 언급되는 80%에 미달하기 때문에, 현 시점에서 전략의 적극적 관심 대상은 아니라는 해석이 가능하다. 특히 P/E, P/CF, P/B, P/D, 배당수익률 등 가치평가·주주환원 관련 항목이 대거 ‘FAIL’로 표시된 점은, 역발상 전략이 선호하는 ‘저평가의 신호’가 현재 뚜렷하지 않다는 정량적 메시지를 시사한다다.
반면 유동비율(Current Ratio), 배당성향(Payout Ratio), ROE, 세전마진은 ‘PASS’로 나와, 재무 안전성과 수익성의 일부 질적 면에서는 긍정 신호가 엿보인다다. 다만 실적 추세(Earnings Trend)와 근·미래 EPS 성장 항목이 ‘FAIL’인 점, 그리고 부채/자본이 ‘FAIL’인 점은, 이익의 가시성·성장 가속도·레버리지 구조와 관련한 보수적 해석을 유도한다다. 이러한 조합은 역발상 전략 관점에서 ‘가격은 아직 충분히 매력적이지 않으나, 일부 질적 지표는 방어력 또는 효율성 측면에서 양호’하다는 중립적 시그널로 요약할 수 있다다.
용어 설명 및 독자 가이드
– 역발상 투자(Contrarian): 시장의 대중적 선호와 반대 방향으로, 비인기 종목 중 펀더멘털 개선 조짐이 있는 기업을 선별하는 접근이다다.
– 중형주(Mid-cap): 대형주와 소형주의 중간 규모 시가총액을 가진 기업군을 뜻한다다.
– P/E, P/CF, P/B, P/D: 각각 주가를 이익·현금흐름·순자산·배당으로 나눈 지표로, 일반적으로 낮을수록 저평가로 해석될 여지가 있다다.
– 유동비율(Current Ratio): 유동자산/유동부채로 계산하는 단기 지급능력 지표다다.
– ROE: 자기자본이익률로, 주주 입장에서 자본 효율성을 가늠하는 대표 지표다다.
– 부채/자본비율: 자본 대비 부채의 규모를 비교하는 레버리지 지표다다.
투자 관찰 포인트
이번 평가에서 MP 머티리얼스는 50%로, 드레먼 모델의 관심 기준(80%)에 못 미쳤다. 이는 가치 매력의 부족과 이익 가시성의 한계가 동시에 반영됐음을 시사한다다. 다만 유동성·수익성 면의 일부 ‘PASS’는, 향후 이익 방향성의 회복이나 밸류에이션 조정이 발생할 경우 평가가 상향될 여지를 남긴다다. 결론적으로, 드레먼식 역발상 필터만으로는 지금 당장 높은 우선순위는 아니지만, 재무 체력 관리의 개선과 가격 메트릭의 정상화 여부는 향후 점검 포인트로 볼 수 있다다.
참고: 본 문서는 원문 정보에 기초한 정량·정책 서술이며, 특정 종목의 매수·매도·보유를 권유하지 않는다다. 모든 수치·판정은 발리디아가 소개한 드레먼 전략 PASS/FAIL 결과에 한정돼 해석했다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