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alidea가 제공하는 구루 펀더멘털 리포트에 따르면, KLA Corp(티커: KLAC)는 자사의 트윈 모멘텀 투자자(Twin Momentum Investor) 모델에서 가장 높은 평가를 받았다고 밝혔다. 본 모델은 대산 황(Dashan Huang)의 공개된 전략을 기반으로 하며, 주가 모멘텀과 펀더멘털 모멘텀을 결합해 종목을 선별하는 것이 특징이다.
2025년 11월 23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KLAC는 반도체 산업(Semiconductors industry) 내 대형주 성장주로 분류되며, 해당 전략으로 산출된 평가 점수는 100%로 나타났다. 이 평가는 기업의 기초 체력(기초 재무 지표)과 주식의 밸류에이션을 함께 반영한다. 리포트는 일반적으로 이 전략에서 80% 이상이면 관심 종목, 90% 이상이면 강한 관심을 의미한다고 설명한다.
이 전략의 세부 테스트 충족 여부는 다음과 같이 요약됐다. 모든 항목이 동일 가중치이거나 서로 독립적이지는 않지만, 아래 요약은 본 전략의 기준에서 해당 종목의 강·약점을 개괄적으로 보여준다.
FUNDAMENTAL MOMENTUM: PASS
TWELVE MINUS ONE MOMENTUM: PASS
FINAL RANK: PASS
세부 분석(Detailed Analysis of KLA CORP)
KLAC Guru Analysis: https://www.validea.com/guru-analysis/klac
KLAC Fundamental Analysis: https://www.validea.com/factor-report/klac
대산 황(Dashan Huang) 및 트윈 모멘텀 개요
대산 황은 싱가포르경영대(Singapore Management University) 리 콩 치안 스쿨 오브 비즈니스의 금융학 조교수다. 그의 연구 “Twin Momentum“은 전통적 가격 모멘텀에 더해 개선되는 펀더멘털을 결합함으로써 시장 대비 초과수익을 창출하는 방법을 탐구했다. 해당 논문에서 그는 다음의 7개 펀더멘털 변수를 단일 펀더멘털 모멘텀 지표로 통합했다: 이익(Earnings), 자기자본이익률(ROE), 총자산이익률(ROA), 발생액 기준 영업수익성 대비 자기자본(Accrual operating profitability to equity), 현금 기준 영업수익성 대비 자산(Cash operating profitability to assets), 총이익 대비 자산(Gross profit to assets), 순지급비율(Net payout ratio).
그는 이 지표로 산출한 유니버스 상위 20% 종목이 향후 시장을 초과 성과냈음을 보였으며, 이를 가격 모멘텀과 결합했을 때 초과 성과가 두 배로 확대됐다고 분석했다.
트윈 모멘텀 전략에서의 KLAC 평가 의미
리포트에 따르면, KLAC는 트윈 모멘텀 모델에서 100% 점수를 받았다. 이는 해당 전략이 요구하는 펀더멘털 개선 신호와 가격 추세 신호가 모두 강하게 부합했음을 뜻한다. 특히 펀더멘털 모멘텀과 12-1 모멘텀(Twelve Minus One Momentum) 항목이 모두 PASS를 기록했으며, 최종 순위(Final Rank) 역시 PASS로 나타나 전략 기준상 강한 관심 대상임을 시사한다.
참고로, 12-1 모멘텀은 통상 직전 12개월 누적 수익률에서 최근 1개월을 제외하고 평가하는 가격 모멘텀의 한 형태주가 급등락에 따른 단기 왜곡을 줄이기 위한 설계다. 반면 펀더멘털 모멘텀은 위에서 열거한 7가지 지표의 추세 개선 여부를 통합하는 개념으로, 기업의 지속가능한 체력 강화 여부를 점검하는 데 초점을 둔다.
산업 및 종목 맥락
KLAC는 반도체 산업 내 대형주 성장주로 분류된다. 대형주 성장주란 일반적으로 시가총액이 크고, 매출·이익 성장성과 기술 경쟁력이 뒷받침되는 기업을 지칭한다. 트윈 모멘텀 관점에서 이러한 기업이 높은 점수를 받을 경우, 가격 추세의 견조함과 기초체력 지표의 동반 개선이 동시에 관찰되고 있음을 암시한다. 본 리포트는 이러한 조건이 충족될 때 전략적 관심도가 높아진다고 설명한다(80% 이상 관심, 90% 이상 강한 관심).
다만 리포트는 “아래 표의 모든 기준이 동일 가중치이거나 서로 독립적인 것은 아니다”라고 전제한다. 이는 개별 항목의 통과 여부가 전체 판단에 기계적으로 동일 비중을 갖지 않으며, 신호 간 상호작용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최종 랭크(Final Rank)는 통합적 시각에서 산출되는 지표로 보는 것이 적절하다.
관련 자료 및 추가 링크
KLAC Guru Analysis (구루 분석): https://www.validea.com/guru-analysis/klac
KLAC Fundamental Analysis (펀더멘털 분석): https://www.validea.com/factor-report/klac
Dashan Huang Portfolio (대산 황 포트폴리오): https://www.validea.com/dashan-huang
Top NASDAQ 100 Stocks: https://www.validea.com/top-nasdaq-100-stocks
Top Technology Stocks: https://www.validea.com/top-technology-stocks
Top Large-Cap Growth Stocks: https://www.validea.com/quality-large-cap-growth-stocks
High Momentum Stocks: https://www.validea.com/high-momentum-factor-stocks
Top Chip Stocks: https://www.validea.com/top-chip-stocks
High Insider Ownership Stocks: https://www.validea.com/high-insider-ownership-stocks
Validea 소개
Validea는 장기적으로 시장을 초과 성과한 투자 구루들의 공개 전략을 추종하는 투자 리서치 서비스다. 워런 버핏(Warren Buffett), 벤저민 그레이엄(Benjamin Graham), 피터 린치(Peter Lynch), 마틴 즈바이그(Martin Zweig) 등으로 대표되는 전략을 바탕으로 주식 분석과 모델 포트폴리오를 제공한다. 자세한 정보는 https://www.validea.com 에서 확인할 수 있다.
용어 설명 및 투자자 유의사항
모멘텀은 가격 또는 펀더멘털 지표의 추세적 개선이 미래에도 이어질 가능성을 점검하는 계량 지표군을 의미한다. 가격 모멘텀은 과거 수익률 패턴(예: 12-1 모멘텀)을, 펀더멘털 모멘텀은 이익·수익성·현금흐름 등 재무지표의 개선 방향을 본다. 트윈 모멘텀은 두 축을 결합해 신호의 일관성을 강화하는 접근법이다.
본 리포트에서 제시된 100% 평가는 해당 모델 내에서의 상대적 신호 강도를 보여준다. 다만 전략별 가중치와 독립성의 차이, 시장 환경 변화, 기업 개별 이슈 등은 실제 성과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특정 전략의 높은 점수는 강한 관심 신호로 해석될 수 있으나, 개별 투자 판단은 투자자의 목표·위험 선호·분산 수준 등을 고려해 이루어져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