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D 밴스 부통령 “존 볼턴 수사, 트럼프 비판과 무관” – FBI 자택 압수수색 이후 해명

존 볼턴 전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자택 압수수색

FBI 요원들이 2025년 8월 22일(현지시간) 미국 메릴랜드주 베데스다에 위치한 존 볼턴 전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의 자택에서 박스 여러 개를 들고 나오는 모습이 포착됐다. ©Tasos Katopodis | Reuters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에서 국가안보보좌관을 지낸 존 볼턴에 대한 법 집행기관의 수사가 “매우 초기 단계”라고 JD 밴스 미국 부통령이 22일 밝혔다.

2025년 8월 22일, CNBC뉴스의 보도에 따르면 이날 오전 FBI는 볼턴의 메릴랜드주 베데스다 자택과 워싱턴 D.C. 사무실을 동시에 압수수색했다. 밴스 부통령은 NBC 뉴스의 앵커 크리스텐 웰커와의 인터뷰에서 “기밀문서가 당연히 수사의 일부”라면서도 “‘앰배서더 볼턴’(볼턴 전 보좌관)에 대한 광범위한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


“트럼프 비판 때문에 겨냥한 것 아니다”

볼턴이 트럼프 대통령을 공개적으로 비판해온 사실이 수사의 동기가 됐다는 일각의 의혹에 대해, 밴스 부통령은 “만약 그런 이유라면 행정부가 소위 ‘윌리닐리(willy-nilly)’로 기소를 남발했을 것”이라며 부인했다.

윌리닐리는 ‘분별 없이, 함부로’라는 의미의 영국 속어다.

밴스는 이어 “바이든 행정부 당시 법무부처럼 정치가 아닌 이 수사의 원칙이 될 것”이라며, “볼턴이 범죄를 저질렀다는 판단이 서면 결국 기소가 이뤄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FBI, 기밀문서 유출 정황 집중 조사

NBC 뉴스 보도에 따르면, 이번 수사는 언론에 기밀정보가 유출된 여러 사례를 들여다보고 있으며,1 초기 단계는 바이든 행정부 때 시작됐다가 일시 중단됐다. 하지만 조 바이든 대통령이 퇴임하기 전, 사건 기록은 재검토를 위해 계류 중인 상태였다고 알려졌다.

볼턴은 2018년 4월부터 2019년 9월까지 트럼프 행정부에서 국가안보보좌관을 지냈다. 그는 퇴임 이후 출간한 회고록과 언론 인터뷰에서 트럼프 대통령을 강하게 비판해왔다.

FBI는 22일 오전 볼턴의 베데스다 자택뿐 아니라 워싱턴 D.C. 내 사무실도 압수수색했다. 수사관들은 다수의 상자와 전자기기를 확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JD Vance

2025년 8월 21일 조지아주 피치트리시티에서 열린 공화당 행사에서 연설 중인 JD 밴스 부통령 ©Alyssa Pointer | Reuters


밴스 “정치 아닌 법이 기준…증거 수집 단계”

밴스 부통령은 “우리는 지금 증거를 수집하며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사건을 이해하려는 과정”이라며 “볼턴이 범죄를 저질렀다고 판단되면 기소할 것”이라고 재차 말했다.

또한 그는 “바이든 법무부 및 FBI와 달리, 우리 정부 기관은 정치가 아닌 법에 의해 움직인다”고 강조했다.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은 같은 날 기자들과 만나 “텔레비전 보도를 보고서야 (압수수색 사실을) 알았다”며, 볼턴을 “저열한 인간(lowlife)”이라고 비난했다.


관련 정치권 반응 및 추가 보도

CNBC 정치면은 이날 연방준비제도 이사회(Fed) 관련 논란,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확대, 우크라이나 전쟁 외교전 등을 포함해 다수의 정치·외교 기사를 동시 보도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볼턴 수사는 대선 정국과 외교안보 이슈가 맞물린 복합적 사안으로 해석된다.

한편, NBC 뉴스는 이번 수사가 “언론 유출에 기밀자료가 사용된 정황”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전했다. 수사는 바이든 행정부 시절 착수됐으나, 내부 검토 과정에서 일시 중단된 뒤 트럼프 행정부로 교체되면서 다시 속도를 내고 있다는 설명이다.


‘기밀문서’란 무엇인가?

미국에서 기밀문서(classified documents)는 국가안보에 위해를 줄 수 있는 정보로, 대통령령 13526호에 따라 ‘기밀(confidential)·비밀(secret)·일급비밀(top secret)’ 세 등급으로 분류된다. 무단 보관·유출 시 스파이 행위법(Espionage Act)과 기타 연방법 위반으로 최대 징역형에 처해질 수 있다.

볼턴 전 보좌관처럼 전직 고위당국자는 퇴임 후에도 해당 문서 취급 규정을 엄격히 준수해야 한다.


전망

전문가들은 수사가 초기 단계이므로 실제 기소 여부까지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고 있다. 법무부는 아직 공식 입장을 내놓지 않았으며, 볼턴 측 역시 구체적 해명을 자제한 상태다.

특히 트럼프 전 대통령의 재출마 선언 이후, 정적·측근에 대한 수사가 정치적 논란으로 비화되는 사례가 늘어 세간의 이목이 집중된다. 이번 사건 역시 트럼프 캠프와 반트럼프 진영 간 논쟁의 불씨가 될 가능성이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