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F, 베센트 美 재무장관 비서실장 댄 카츠를 차기 부총재(2인자)로 공식 제안

워싱턴/로이터— 국제통화기금(International Monetary Fund·IMF)의 크리스탈리나 게오르기에바 총재가 미국 재무장관 스콧 베센트의 비서실장 겸 중국 담당 핵심 조율자댄 카츠를 기금 내 ‘넘버 2’ 직위에 해당하는 부총재(First Deputy Managing Director)로 임명해 달라고 19일(현지시간) 이사회에 제안했다.

2025년 9월 18일, 로이터통신 보도에 따르면, IMF는 성명을 통해 “게오르기에바 총재가 카츠 비서실장의 풍부한 정책 경험과 중국 관련 전문성을 높이 평가해 이번 인선을 공식 요청했다”고 밝혔다.

“댄 카츠는 글로벌 거시경제 현안과 복잡한 대외 협상에서 탁월한 조정 능력을 증명해 왔다.” — IMF 성명 중

IMF 2인자 직위의 의미

주목

IMF 구조상 총재 바로 아래에 위치한 부총재는 회원국과의 대출 협상, 위기 대응 프로그램 승인, 내부 조직 운영 등 실질적 정책 결정을 총괄한다. 따라서 이번 제안은 미국·중국·IMF 세 축 사이의 정책 조율에서 미국 인사가 더 큰 영향력을 확보할 수 있다는 점에서 국제금융계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카츠, ‘미·중 브리지’ 역할

카츠는 베센트 재무장관 취임 이후 Chief of Staff로 임명돼 재무부의 일상 운영을 관리하는 한편, 대(對)중국 정책의 전담 연락 창구(point person)를 맡아 왔다. 이 직책은 관료 조직 안팎의 교섭, 자국 금융시장·통화 정책과 중국 관련 현안을 일관성 있게 연결하는 고난도 업무로 평가된다. 로이터는 “카츠가 그동안 미·중 고위급 대화에서 실무 조율을 책임져 왔으며, 이 경험이 IMF 내 다자 협상에서도 크게 발휘될 것”이라고 전했다.

임명 절차와 관례

주목

IMF 부총재 인선은 총재 추천→집행이사회 논의→정식 투표 순으로 진행된다. 통상 주요 주주국이 컨센서스를 형성하면 무난히 통과되는 관례에 비추어 볼 때, 이번 제안이 조만간 공식 승인될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이 나온다. 다만 중국·유럽 이사들의 입장 표명 여부가 향후 변수로 꼽힌다.

전문가 시각

글로벌 거시경제 전문가들은 카츠가 미·중 무역·환율 갈등, 신흥국 부채 문제, 기후금융 확대 등에서 1 실무 경험을 가져왔다는 점을 주목한다. 특히 미국과 중국의 경제 파워 게임이 지속되는 가운데, 양측의 정책 신호를 IMF 프로그램 설계에 녹여낼 ‘가교형 리더십’이 요구된다는 설명이다.

IMF·G20 무대 파장

IMF는 10월 열리는 세계은행·IMF 연차총회와 11월 G20 정상회의에서 글로벌 금융안전망 강화, 저소득국 부채 재편, SDR(특별인출권) 배분 문제를 논의할 예정이다. 카츠의 부총재 선임이 확정된다면, 미국 재무부의 정책 우선순위가 해당 어젠다에 더욱 선명하게 투영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배경: 스콧 베센트

베센트 장관은 대형 헤지펀드 출신으로 2025년 3월 재무장관에 취임한 이후, 자본시장 개혁·친환경 인프라 투자 자금 조달 등을 강조해 왔다. 그의 비서실장으로 일해 온 카츠는 재무부 안팎의 ‘정책 총괄’로 통하며, 이번 제안이 사실상 베센트 라인의 IMF 진출로 읽히는 배경이다.


용어 설명

First Deputy Managing DirectorFDMD는 IMF의 4대 부총재 가운데 서열 1위로, 위기 발생 시 총재 권한대행이라는 법적 지위를 가진다. 이는 기구 운영상 ‘2인자’로 불린다.

Point Person은 특정 현안에서 조직·기관을 대표해 실무 조율과 외교 협상을 담당하는 책임자를 의미한다.


향후 일정 및 시장 반응

집행이사회는 이르면 10월 초 공식 표결을 진행할 예정이다. 국제채권시장 관계자들은 “미국 출신 인사가 FDMD 자리를 차지한다면 달러 강세·위험 회피 심리가 한층 완화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그러나 중국의 리슝리 이사가 “IMF 리더십은 보다 균형 잡혀야 한다”고 밝혀 막판 이사회 내 표 대결이 촉발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전문가들은 또한, 카츠 부총재 체제가 출범할 경우 신흥국 재무 건전성 평가 기준IMF 프로그램 설계 방식에서 보다 데이터 중심적·시장 친화적 접근이 강화될 것으로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