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 500 지수(티커: $SPX)는 0.23% 상승했고,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0.34%, 나스닥 100 지수는 0.74% 올랐다. 12월물 E-mini S&P 선물과 나스닥 선물도 각각 0.31%, 0.83% 상승하며 현물 지수를 뒷받침했다.
2025년 10월 29일(현지시간), 나스닥닷컴 보도에 따르면 투자자들은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가 2일간의 회의를 마치는 수요일(현지시간)에 양적 긴축(QT) 중단과 기준금리 0.25%p 인하를 동시에 발표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시장 참가자들은 미국 10년물 국채 수익률이 3.974%로 0.6bp 하락한 점, 그리고 예상치를 상회한 리치먼드 연은 제조업 지수·소비자신뢰지수 발표가 주가에 긍정적으로 작용했다고 해석했다.
① 금리·통화정책 전망
파생상품 가격에 따르면 FOMC가 이번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3.75~4.00%로 0.25%p 낮출 확률은 100%로 반영돼 있다. 이어 12월 9~10일 회의에서 한 차례 추가 인하가 단행될 가능성도 90%에 달한다. 시장은 2026년 말까지 총 1.15%p의 인하가 이뤄져 실효연방금리가 2.95% 수준으로 내려갈 것으로 가격에 반영하고 있다.
이번 회의에서는 통상 분기마다 공개되는 경제전망 요약(SEP) 및 점도표가 발표되지 않는다. 따라서 투자자들은 제롬 파월 의장의 회견 발언만으로 향후 금리 경로를 추정해야 한다.
QT(Quantitative Tightening)는 연준의 자산을 만기상환에 따라 축소해 금융시스템의 유동성을 흡수하는 정책이다. 중단 시 시장 유동성 회복으로 주식·채권 가격 모두에게 긍정적일 수 있다.
② 경제 지표·주택 시장
8월 FHFA 주택가격지수는 전월 대비 0.4% 상승해 시장 예상 -0.1%를 상회했다. S&P 코어로직 케이스실러 20대 도시 주택가격지수 역시 0.19% 상승하며 전년 동월 대비 1.58% 올랐다.
10월 리치먼드 연은 제조업 지수는 –12에서 –4로 13p 개선됐고, 컨퍼런스보드 소비자신뢰지수는 94.6으로 소폭 하락했으나 예상치 93.4를 웃돌았다.
③ 미·중 무역협상 및 기타 정책 이슈
주말 말레이시아에서 열린 미·중 실무협상에서 잠정 합의안이 도출됐다는 소식도 투자심리에 힘을 실었다.
재무장관 밴슨트는 “미국이 예고했던 중국산 수입품 100% 관세가 사실상 철회됐다”고 밝혔다.
중국은 희토류 수출 제한 유예와 미국산 대두 ‘대규모’ 구매, 펜타닐 원료 수출 단속 강화에 동의했다.
아울러 캐나다산 수입품 10% 관세 부과, 서플라이 체인 법정 공방, 미 연방정부 셧다운 5주째 지속 등 변수가 남아 있다. 블룸버그 이코노믹스는 64만 명의 연방 공무원 휴무가 실업률을 4.7%까지 끌어올릴 수 있다고 추정했다.
④ 해외 증시·채권시장 동향
유럽 Stoxx50 지수는 0.12% 하락, 중국 상하이종합지수는 0.22% 내렸고, 일본 니케이225는 0.58% 하락했다.
독일 10년물 국채금리는 2.623%로 0.8bp 올랐고, 영국 10년물 길트금리는 4.400%로 0.1bp 내렸다. 10월 30일 ECB 회의에서 0.25%p 인하 가능성은 1% 미만으로 가격에 반영됐다.
미국 10년물 T-노트 선물 가격은 2.5틱 상승했고, 셧다운 장기화와 완화적 통화정책 기대가 안전자산 수요를 받쳤다.
⑤ 실적 시즌 및 주요 종목 흐름
이번 주는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편입 기업 173곳이 실적을 발표한다. 특히 ‘매그니피센트 세븐’ 중 알파벳·메타·마이크로소프트가 수요일, 애플·아마존이 목요일 실적을 내놓는다. 블룸버그 인텔리전스에 따르면 현재까지 84%의 기업이 전망치를 상회했으나 3분기 순이익 증가율은 7.2%로 2년 만에 최저 수준이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이번에 재편된 OpenAI 영리 법인 지분 27%(약 1,350억 달러)를 확보한다는 발표로 2% 가까이 올랐다. 엔비디아는 차세대 칩이 연간 5,000억 달러 매출을 창출할 것이라는 CEO 발언 속 5% 상승했고, 인텔도 동반 강세를 보였다.
페이팔은 ChatGPT에 디지털 월렛을 탑재한다는 보도로 4% 뛰었으며, 레제네론 파마슈티컬스는 매출 호조로 나스닥100에서 11% 급등, UPS는 조정 EPS 호조로 8% 올랐다. 반면 주택업체 D.R.호튼은 실적 부진으로 3%, 로열캐리비언은 8% 이상 하락했다.
이 밖에 CVS헬스, 보잉, 캐터필러 등 대형주를 포함한 방대한 실적 일정이 대기 중이다.
⑥ 용어 해설*투자자 참고
점도표(Dot Plot): FOMC 위원 개개인의 향후 금리 전망을 점으로 표시한 표로, 시장이 중장기 통화정책 경로를 가늠하는 데 활용한다.
양적 긴축(QT): 중앙은행이 국채·MBS 만기 도래분을 재투자하지 않아 대차대조표를 축소하는 정책으로, 시장 유동성을 흡수해 긴축 효과를 낸다.
매그니피센트 세븐: 애플·마이크로소프트·알파벳·아마존·엔비디아·메타 플랫폼스·테슬라 등 미국 대형 기술주 7종목을 지칭한다.
리치먼드 연은 제조업 지수: 미국 연준 산하 리치먼드 지역 제조업체 경기를 조사한 지표로, 0을 기준으로 플러스는 확장, 마이너스는 위축을 뜻한다.
⑦ 기자 시각
FOMC가 QT 중단과 동시 인하에 나선다면, 2019년 이후 처음으로 정책 모드 전환이 분명해진다. 그러나 파월 의장이 구두로 ‘데이터 의존적 접근’을 재확인할 경우 시장 기대와 온도 차가 발생할 가능성도 있다. 특히 셧다운 장기화가 성장·고용 지표에 미치는 충격이 현실화될 경우, 연준의 추가 완화 공간은 넓어질 수 있으나 국채 공급 증가에 따른 금리 변동성 확대는 리스크 요인으로 남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