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MC 결과 대기 속 미 증시 상승세 지속…연준 완화적 행보 기대감 확대

뉴욕 증시가 29일(현지시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결과를 하루 앞두고 소폭 상승세를 이어갔다. S&P 500 지수는 전일 대비 +0.23% 오른 5,123.17에 마감했고,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0.34% 상승한 38,721.28,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100 지수는 +0.74% 오른 18,005.26을 기록했다. 같은 날 12월물 E-미니 S&P500 선물은 +0.31%*, 12월물 E-미니 나스닥 선물은 +0.83% 상승하며 투자심리를 뒷받침했다.

2025년 10월 29일, 바차트(Barchart)가 나스닥닷컴을 통해 보도한 바에 따르면, 투자자들은 이번 2일간의 FOMC 회의에서 -25bp(0.25%p) 기준금리 인하와 양적 긴축(QT) 중단이 동시에 발표될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다. 시장은 이미 100% 확률로 이번 회의에서 연방기금금리 목표 범위가 3.75%~4.00%로 낮아질 것으로 가격에 반영했다. 또한 12월 9~10일 예정된 차기 회의에서도 추가 -25bp 인하를 90%가량 반영하고 있으며, 2026년 말까지 총 115bp 인하(실효금리 4.10%→2.95%)를 전망하고 있다.

금리·유동성 기대감이 주가 견인

연준이 양적 긴축 중단을 공식화할 경우, 국채 재투자를 제한 없이 재개해 시중 유동성 흡수를 멈추게 된다. 이는 채권·주식 시장에 동시 호재로 작용한다. 이날 10년물 미 국채 수익률은 -0.6bp 하락한 3.974%에 마감했으며, 독일 10년물 국채금리는 +0.8bp 상승, 영국 10년물 길트금리는 -0.1bp 하락해 유럽 금리도 혼조세를 보였다.

주목

거시지표—주택가격·제조업·소비심리

미국 8월 FHFA 주택가격지수는 전월 대비 +0.4% 올라 예상치 -0.1%를 크게 상회했다. S&P 코어로직 케이스실러 20대 도시 주택가격지수도 전월 대비 +0.19%, 전년 대비 +1.58%로 시장 기대치(-0.10% m/m, +1.30% y/y)를 웃돌았다. 10월 리치먼드 연방준비은행 제조업지수는 -4로 전월 대비 13포인트 급등하며 예상(-12)을 상회했고, 같은 달 컨퍼런스보드 소비자신뢰지수는 94.6으로 전월(95.6)에서 소폭 하락했으나 시장 예상치(93.4)보다는 양호했다.

“연준이 완화적 기조로 선회할 조짐이 확인되자 투자자들은 주식과 장기채권을 동시에 매입하며 포트폴리오 리밸런싱에 나서고 있다.” — 월가 채권 트레이더

미·중 무역협상 훈풍

주초 발표된 미국·중국 예비 무역합의도 투자심리에 긍정적으로 작용했다. 협상단은 말레이시아 회동에서 ▲미국의 대중 100% 추가관세 철회 ▲중국의 희토류 수출 규제 1년간 유예 ▲대규모 미국산 대두 구매 ▲운송비·펜타닐 통제·틱톡 접근성 등에서 진전을 이룬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따라 위험자산 선호가 강화되면서 안전자산인 국채 수요는 일부 둔화됐다.

실적 시즌—매파 7인방 중 5곳 실적 발표 대기

이번 주는 S&P500 구성 기업 173곳이 실적을 내놓는 ‘슈퍼 실적 주간’이다. 매그니피센트 세븐 중 알파벳·메타·마이크로소프트가 29일, 애플·아마존이 30일 실적을 발표한다. 블룸버그 인텔리전스 집계에 따르면 현재까지 실적을 발표한 기업 중 84%가 시장 예상치를 상회해 2021년 이후 최고 호조를 보이고 있지만, 3분기 순이익 증가율은 +7.2% y/y로 2년 만에 최저, 매출 증가율도 5.9% y/y로 둔화될 전망이다.

정치·정책 리스크

한편 미 연방정부 셧다운은 5주 차에 접어들며 경제·시장에 부담을 주고 있다. 블룸버그 이코노믹스는 64만 명의 연방 공무원이 무급휴직에 들어가 실업률이 4.7%까지 상승할 수 있다고 추산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캐나다발 광고 문제를 이유로 캐나다산 수입품에 10%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혀 통상 갈등도 이어졌다. 트럼프의 ‘상호 관세’의 합법성은 11월 5일 연방대법원 공개변론에서 다뤄질 예정이며, 최종 판결은 2025~2026년 초 나올 전망이다.

주목

주요 종목 움직임

  • 마이크로소프트 : +1.9%. 오픈AI 지분 27% 투자(약 1,350억 달러 평가) 소식이 호재로 작용.
  • 엔비디아 : +5%. 최신 AI 칩이 ‘5,000억 달러 매출 잠재력’을 가진다는 CEO 발언과 양자컴퓨터 결합 시스템 발표로 강세.
  • 인텔 : +5% 동반 랠리, 반도체 업종은 차익 매물로 혼조.
  • 페이팔 : +4%. ChatGPT에 디지털 지갑 탑재.
  • 리제너론 : +11%로 나스닥100 최대 상승. 매출 서프라이즈.
  • UPS : +8% 호실적.
  • D.R.호턴 : -3% 실적 부진.
  • 로열 캐리비언 : -8% 실적 부진.

채권시장 동향

12월물 10년 T-노트 선물은 +2.5틱 상승했다. 미국 경제지표가 강세를 나타냈음에도 FOMC의 QT 중단 기대, 셧다운 장기화로 경기 둔화 가능성이 부각되며 채권 매수세가 유지됐다.

해외 증시

유럽 Stoxx50 지수는 -0.12% 소폭 하락했다. 중국 상하이종합지수는 전일 +1.18% 급등 후 -0.22% 조정, 일본 니케이225 지수는 전일 +2.46% 급등 후 -0.58% 하락 마감했다.


용어 설명

FOMC :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의 통화정책 결정 기구로, 연 8회 회의를 열어 금리·유동성 정책을 결정한다.
양적 긴축(QT) : 연준이 보유 자산(주로 국채·MBS)을 만기 도래 시 재투자하지 않고 축소해 시중 유동성을 흡수하는 정책이다.
-25bp :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하한다는 뜻으로, bp(basis point)는 0.01%p를 의미한다.
매그니피센트 세븐 : 미국 주식시장을 주도하는 7대 빅테크(애플·마이크로소프트·알파벳·아마존·엔비디아·메타·테슬라)를 지칭한다.


※ 본 기사는 원문 정보를 기초로 작성되었으며, 투자 판단의 최종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