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BC 여론조사: 트럼프 대통령 국정·경제 지지율 모두 마이너스, 민주당 호감도는 사상 최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전반적 국정 수행 평가와 경제 분야 지지율이 여전히 음(-)의 영역을 벗어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민주당에 대한 대중의 호감도는 1996년 이후 최저 수준으로 추락했다.

2025년 8월 7일(현지시간), CNBC 뉴스 보도에 따르면 7월 29일부터 8월 3일까지 CNBC 올-아메리카 이코노믹 서베이가 전국 성인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결과, 트럼프 대통령의 직무 수행에 대한 부정 평가는 51%, 긍정 평가는 46%로 집계됐다. 이는 4월 조사(51% 대 44%) 대비 긍정 응답이 소폭 개선됐으나 여전히 오차범위(±3.1%p) 내에서 부정이 우세하다.

경제 분야 지지율 역시 45%(긍정) 대 53%(부정)로 마이너스 상태가 이어졌다. 4월 조사(43% 대 55%)와 비교하면 2%p 개선됐지만, 2개월 연속으로 경제 부문 지지율이 종합 지지율보다 낮게 나타났다. 이는 1기 정부 시절 ‘경제 성과’가 방패막이가 됐던 양상과 대조적이라는 평가다.


의제별 세부 평가… 7개 중 국경안보만 ‘과반 긍정’

조사는 7개 핵심 이슈별로 별도 지지율을 측정했다.

남부 국경 보안 강화 조치만이 53%(찬성) 대 44%(반대)의 ‘플러스 지지율’을 기록했으며, 나머지 인플레이션·재정지출·세제·관세·외교정책·추방정책 등 6개 분야는 모두 두 자릿수 중·후반의 부정 우위를 보였다.

특히 인플레이션은 37% 대 60%(–23%p)로 4월과 동일한 수준의 ‘최악’ 평가가 유지됐다. 조사에 참여한 응답자 10명 중 6명은 ‘소득이 물가 상승을 따라가지 못한다’고 느끼고 있었다.

관세(tariff) 정책은 51%(반대) 대 45%(찬성)로 부정 응답이 앞섰다. 응답자의 67%는 관세가 “일상용품 가격을 올린다”고 답했고, 49%는 “근로자에게 해롭다”고 인식했다. 반면 47%는 “국내 생산 기업에는 도움이 된다”고 평가해 관세 효과에 대한 복합적인 시각이 확인됐다.


민주당 선호도 소폭 상승… 그러나 당 호감도는 ‘역대 최저’

의회 권력 배분과 관련해선 ‘민주당이 의회를 장악하기를 원한다’는 응답이 49%로, 공화당(44%)보다 5%p 높았다. 4월(48% 대 46%) 대비 격차가 1%p 확대돼 2021년 이후 최대 폭이다.

그러나 등록 유권자 기준 민주당 호감도는 24%(호감) 대 56%(비호감)로 순-32%p를 기록했다. 이는 1996년 이후 양당 통틀어 가장 낮은 수치로, ‘의회 권력 선호’와 ‘정당 호감도’가 역행하는 독특한 구도가 나타났다.

CNBC 그래픽


공화·민주 양극화, 독립층은 비판적

트럼프 대통령을 지지하는 공화당원과 반대하는 민주당원의 대립 구도는 여전히 뚜렷했다. 무당층(Independents)의 50%는 대통령을 부정 평가했으며, 긍정 평가는 36%에 그쳤다.

교차 분석 결과, 경제 분야에서 무당층 긍정률은 39%로 전체 평균보다 낮았고, 인플레이션 대응 긍정률은 24%로 급락했다. 심지어 공화당 내부에서도 경제(예: 관세·물가) 부문 지지율이 평균 대비 9%p 낮아 “트럼프가 경제를 잘한다”는 명제에 균열이 생겼다는 해석이 나온다.


경제 평가, ‘현재는 개선’ vs ‘미래는 비관’

경제 현황 평가에서는 긍정(‘매우 좋음·좋음’) 응답이 31%로 4월보다 11%p 상승했다. 팬데믹 회복기였던 2021년 초 이후 최고치다. 이는 주로 공화당 지지층의 낙관이 확대된 결과로 풀이된다.

반면 ‘앞으로 12개월 후 경제가 좋아질 것’이라는 전망은 36%로 미미한 변화를 보였고, 46%는 ‘악화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단기 체감 경기는 나아졌지만 중·장기 전망은 불안정하다는 의미다.

경제 전망 그래프

주식시장에 대한 태도도 긍정적으로 바뀌었다. ‘지금이 투자 적기’라는 응답이 46%로 ‘나쁜 시기’(42%)를 앞섰다. 4월(–15%p)과 달리 +4%p로 전환한 것은, 대통령이 ‘대대적 상호관세’ 방침을 일부 철회하고 감세 법안을 통과시킨 뒤 주가가 급등한 영향으로 보인다.

놀라운 점은 투자자산이 전혀 없는 계층에서도 36%가 ‘지금이 투자 적기’라고 답했다는 사실이다. 이는 해당 그룹의 사상 최고 기록으로, ‘주식시장 경기 낙수효과’를 시사한다.


세부 용어·배경 설명

MAGA 공화당원은 트럼프의 2016년 대선 구호인 ‘Make America Great Again’에 충성도가 높은 지지층을 가리킨다. 이번 조사에서 공화당의 26%를 차지하며, 추방 정책 지지율이 98%로 압도적이다.

CNBC 올-아메리카 이코노믹 서베이는 1991년 시작된 분기별 여론조사로, 하트리서치(Hart Research·민주)와 퍼블릭오피니언스트래티지스(Public Opinion Strategies·공화)가 공동 수행한다. 양당 성향 조사기관이 협업해 데이터 편향을 최소화한다는 평가를 받는다.

Tariff(관세)는 수입품에 부과하는 세금으로, 자국 산업 보호·무역수지 개선 목적이 있으나 물가 상승과 교역 파트너 갈등을 초래할 수 있다.


전문가 해석 및 시사점

여론조사를 분석한 제이 캠벨(하트리서치 파트너)은 “튼튼한 경제가 트럼프 지지율을 떠받쳐 왔으나, 이제 그 버팀목이 약화됐다”고 진단했다. 마이카 로버츠(퍼블릭오피니언스트래티지스 파트너)도 “인플레이션 고통이 계속되고 있어, 관세를 제외한 모든 정책 영역에서 불신이 커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정치권에서는 ‘경제 지표는 개선, 그러나 인플레이션 체감은 악화’라는 상반된 데이터가 2026년 중간선거 구도를 복잡하게 만들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민주당이 의회 다수당 선호도에서 4년 만에 최대 격차를 확보했음에도 정당 자체 호감도가 추락한 점은, 유권자들이 ‘양당 모두에 실망’하고 있음을 드러낸다.

또한 60%가 ‘생활비 상승이 소득을 초과한다’고 응답한 만큼, 향후 물가 안정이 최대 정책 과제가 될 것으로 보인다. 관세 정책이 물가 인상 요인으로 지목됐다는 점에서, 무역‧통상 기조 수정이 트럼프 행정부의 딜레마로 자리 잡을 가능성이 크다.

관세 인식 그래프

끝으로 여론조사 전문가들은 “지지율의 미세한 등락보다 이슈별 세부 평가가 향후 선거전략 수립에 더 중요한 변수”라며, △인플레이션 △재정지출 △세제에 대한 유권자 불신을 해소하지 못할 경우 트럼프 대통령이 재선 가도에서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