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BC 설문: 트럼프 행정부의 연준 압박, 인플레이션 상승·성장 둔화 초래 전망

워싱턴 D.C.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에게 문서를 건네 사실관계를 확인하는 모습이 2025년 7월 24일 리노베이션 중인 연준 본부 건물에서 포착됐다.Kent Nishimura | Reuters

2025년 9월 16일, CNBC뉴스 보도에 따르면, 최근 실시된 9월 CNBC 연준 설문에서 응답자의 82%는 트럼프 대통령의 일련의 행동이 연준의 독립성을 제한하거나 제거하려는 시도로 평가했다.

설문에 참여한 29명이코노미스트·펀드매니저·전략가 가운데 41%는 대통령의 조치가 연준 독립성 제거 자체를 목표로 한다고 보았고, 또 다른 41%는 독립성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라고 응답했다. 반면 연준 독립성을 지지한다고 본 사람은 10%에 그쳤다.

주목

연준 독립성 약화 시나리오와 경제적 파장

“행정부는 단기 금리를 의미 있게 낮춰 성장을 부양하려는 의도로 연준 독립성을 약화시키려 할 가능성이 크다. 이는 인플레이션 상승을 감수하겠다는 의미다.”—휴 존슨(Hugh Johnson Economics 회장 겸 수석이코노미스트)

조엘 내로프(Naroff Economics)는 “충성파를 연준 이사로 임명해 정책을 사실상 장악하되, 결과가 잘못될 경우 책임을 회피하려는 전략”이라고 해석했다.

반면 제프리스의 수석 미국 이코노미스트 토머스 사이먼스는 “연준 독립성 위협은 과장됐다”면서, 위원회(FOMC)의 분권적 구조가 대통령 영향력을 제어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응답자의 68%는 대통령의 압박이 인플레이션 상승을, 57%실업률 증가를, 54%경제 성장 둔화를 야기할 것으로 예상했다. 또한 74%는 달러 가치 하락을 전망했다.

주목

금리에 대한 전망은 양분됐다. 39%는 대통령의 행동이 금리를 낮춘다고, 동일 비율은 금리를 높일 것이라고 답해 의견이 팽팽히 맞섰다.


FOMC 회의 전망: 0.25%p 인하는 ‘기정사실’

이번 주 열리는 FOMC(연방공개시장위원회) 정례회의와 관련해, 설문 응답자의 97%0.25%포인트 기준금리 인하를 예상했다. 그러나 ‘그것이 올바른 조치인가’라는 질문에는 41%만 동의했고, 나머지는 절반씩 0.50%p 인하(28%)와 동결(28%)을 지지했다. 이는 FOMC 내부의 의견대립을 반영한다.

평균적으로 응답자들은 올해 연말 연방기금금리(FFR)가 현 4.38%에서 3.66%까지 하락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는 0.25%p 인하 세 번, 즉 추가 1회 인하를 뜻한다. 2026년에는 3.13%까지 더 낮아질 것으로 전망됐다.

드루 T. 매투스(MetLife Investment Management)는 “노동시장은 약화됐고 소비자는 아직 관세발 가격 상승을 체감하지 못했다”며 “일회성 처방이 아닌 금리인하 사이클 착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경기침체 가능성·실업률·물가 전망

경기침체(리세션) 확률은 4개월 만에 처음으로 상승했다. 설문상 확률은 31%→40%로 뛰었다. 침체가 발생한다면 응답자의 55%10개월짜리 완만한 침체를 예상했다(7월 38%).

성장률 전망은 2025년 1.5%, 2026년 2%로 유지됐다. 소비자물가지수(CPI) 전망치는 2025년 3.05%로 약간 올랐지만 2026년 2.8%로 낮아져, 여전히 연준의 2% 목표를 웃돌 전망이다.


관세 부담: 누가 비용을 지불하나

응답자의 86%는 앞으로도 관세로 인한 가격 상승이 지속될 것으로 봤으며, 그중 절반은 ‘상당한 상승’을 예상했다. 관세 비용 분담률은 소비자 31%·도·소매·수입업자 29%·소매업체 23%·수출업체 18% 순으로 나타나, ‘미국 소비자는 세금을 내지 않는다’는 행정부 주장과 배치됐다.

“기업들이 관세를 자체 흡수하며 마진이 압박받았고, 이는 최근 고용 둔화로 직결됐다.”—리처드 번스타인(리처드 번스타인 어드바이저스 CEO)

응답자들은 ‘관세’를 경제확장 최대 위협 1위로 꼽았고, 2위는 행정부 정책 불확실성이었다. 연준 독립성 약화는 3위, 뒤이어 이민 정책이 지목됐다.


용어 해설

연준(Fed): 미국의 중앙은행 제도로, 통화정책 결정과 금융시장 안정 유지가 핵심 기능이다. 독립성은 정치적 압력 없이 정책을 결정할 수 있는 제도적·관습적 보장을 의미한다.

FOMC(연방공개시장위원회): 연준의 통화정책 결정 기구로, 12명의 지역 연준 총재와 7명의 이사가 참여해 기준금리를 설정한다. 회의 결과는 전 세계 금융시장에 막대한 영향을 미친다.

연방기금금리(FFR): 미국 은행 간 초단기(하루) 자금 거래 금리로, 미국·세계 금리 체계의 사실상 기준 역할을 한다.


전문가 시사점

이번 설문은 정치권과 통화정책의 경계가 희미해질 때 발생할 수 있는 비용을 재확인시켜 준다. 중앙은행 독립성 훼손은 단기 성장을 얻더라도 물가 기대 상승을 자극해 장기적으로 경제안정 기반을 약화시킬 수 있다. 특히 세계 기축통화인 달러 가치가 흔들리면, 미 국채·주식시장 전반에 자본 유출 압력이 가중될 가능성이 있다. 국내외 투자자들은 기준금리 경로뿐 아니라 정치 변수까지 포트폴리오에 반영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