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tGPT가 선정한 중산층 지갑에 가장 이로운 미국 대통령 TOP5

【미국 대통령과 중산층】 역대 미국 대통령 가운데 누가 중산층의 지갑에 가장 큰 혜택을 안겨 주었을까. 이 질문에 답하기 위해서는 각 대통령이 도입한 정책과 그 정책이 당시 평균 수준의 생활을 영위하던 국민에게 미친 경제적 파급효과를 면밀히 살펴야 한다. 또한 같은 정책이라도 시대적 배경과 경제 상황에 따라 체감 효과가 달라질 수 있다는 점도 고려해야 한다.

2025년 9월 20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미 금융정보 전문 매체 ‘GOBankingRates’는 생성형 인공지능 ChatGPT에게 “중산층에게 가장 이로운 정책을 편 미국 대통령은 누구인가”라는 질문을 던졌고, 그 결과를 토대로 TOP5 순위를 공개했다. 해당 순위는 최소임금 인상, 사회보장제도 확대, 세제 개편, 일자리 창출 같은 구체적 경제 지표를 중심으로 평가된 것이다.

이 보도가 주목받는 이유는 첫째, 전통적 역사·정책 평가에 AI 도구가 결합해 데이터 기반의 새로운 시각을 제시했다는 점, 둘째, 중산층(Middle Class)이 정치·경제 담론에서 갖는 상징적 비중 때문이다. 미국 통계청과 연방준비제도(연준)는 명확한 중산층 정의를 제시하지 않지만, 대략 가구 중위소득의 67%~200% 사이를 중산층으로 분류하는 연구가 많다.

주목

5위 —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재임 1953~1961)

아이젠하워 대통령은 최저임금 인상사회보장 범위 확대로 순위에 이름을 올렸다. 그는 보건·교육·복지를 관장하는 보건·교육·복지부(HEW)를 신설했고, 이에 따라 1,000만 명이 추가로 사회보장 혜택을 받았다.

사회보장국(SSA)은 “해당 조치로 노년층뿐 아니라 저소득 근로자의 소득 안정성이 크게 개선됐다”고 평가한다.

4위 — 존 F. 케네디(재임 1961~1963)

재임 기간이 3년에 못 미쳤지만, 케네디는 세율 인하최저임금 인상으로 강한 인상을 남겼다. 케네디 행정부는 소득세율을 20%~91%→14%~65%로 낮추고, 실업급여와 사회보장 혜택을 확충했다. NPR은 “소득세율 인하가 소비 여력을 늘려 경기 확장에 기여했다”고 보도했다.

3위 — 빌 클린턴(재임 1993~2001)

클린턴 대통령 시절에는 일자리 3,000만 개가 새로 생겼고, 가계 중위소득이 17% 상승했다. 이는 1960년대 이후 가장 가파른 증가율이었다. 그는 근로소득세 공제(EITC)를 확대해 저소득 근로자의 실질 임금을 끌어올렸다. MSNBC는 “중산층 소득 성장률이 전임·후임 정부 모두를 앞섰다”는 점을 강조한다.

2위 — 린든 B. 존슨(재임 1963~1969)

“빈곤과의 전쟁(War on Poverty)”을 천명한 존슨 대통령은 고등교육법(1965)으로 장학금·저리 학자금 대출을 도입해 대학 진학 문턱을 낮췄다. 또 메디케어·메디케이드를 창설해 고령자와 저소득층의 의료비 부담을 덜었다. 초창기 3년간 메디케이드는 약 2,000만 명에게 혜택을 제공했다. 최소임금 인상과 최초의 푸드스탬프(식량 지원) 제도도 그의 작품이다.

주목

1위 — 프랭클린 D. 루스벨트(재임 1933~1945)

ChatGPT는 루스벨트 대통령이 “미국 중산층의 구조를 재정의했다”고 평가했다. 뉴딜(New Deal) 정책은 공공사업진흥국(WPA)시민보호단(CCC)을 통해 약 850만 개의 일자리를 창출하며 대공황을 극복하는 데 기여했다. 사회보장제도의 기틀도 이 시기에 마련돼 현재까지 미국인이 가장 신뢰하는 사회 프로그램으로 자리 잡았다. 근로기준법(FLSA) 또한 이때 도입돼 근로시간과 최저임금을 법으로 규제하기 시작했다.


전문가 해설 — ‘AI 순위’의 함의와 한계

① AI 기반 역사 평가는 시각의 확대
과거 학계·언론이 축적한 데이터를 대화형 AI가 재가공하면서, 정책 효과를 정량적 지표 위주로 정리해 보여준다는 점은 고무적이다. 이는 ‘어떤 정책이 중산층 실질소득을 끌어올렸는가’라는 실질적 질문에 초점을 맞춰준다.

② 시대적·정치적 맥락의 결핍
반면 ChatGPT 순위는 당시 국제 정세, 통화정책, 의회 권력 구도 같은 맥락 변수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했다는 한계가 있다. 예컨대 루스벨트의 뉴딜은 세계대전이라는 특수 상황과 맞물려 효과가 증폭됐고, 클린턴 시절 IT 버블이 고용 창출을 뒷받침했다.

③ 중산층 정의의 불확실성
미국 내에서도 ‘중산층’ 개념은 소득뿐 아니라 자산, 지역, 가족 구성, 교육 수준까지 고려해야 한다는 지적이 많다. 따라서 단일 지표로 순위를 매기는 작업은 정책 영향의 복합성을 단순화할 수 있다.


알아두면 좋은 용어

Earned Income Tax Credit(EITC) — 저소득 근로자에게 세액을 환급해 주는 제도로, ‘근로장려금’과 유사하다.

Medicare·Medicaid — 각각 65세 이상 노인과 저소득층을 위한 연방정부 지원 의료보험 제도다.

WPA·CCC — 대공황기 공공 프로젝트를 통해 일자리를 제공한 뉴딜 프로그램으로, 오늘날 공공근로의 시초로 평가된다.


편집자 주: GOBankingRates는 정치적 중립을 지향하며, 경제 관련 사안을 객관적으로 보도하려고 노력한다고 밝혔다. 본 기사에서 언급된 자료와 견해는 GOBankingRates 및 해당 필자의 것이며, 나스닥(Nasdaq, Inc.)의 공식 입장과는 무관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