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Block Inc.)이 운영하는 P2P 결제 플랫폼 Cash App이 새로운 그룹 자금 관리 기능인 ‘Pools’를 공개하며 애플 페이(Apple Pay)·구글 페이(Google Pay)와의 첫 공식 연동에 나섰다.
2025년 7월 29일, CNBC 뉴스 보도에 따르면 이번 출시로 사용자는 Cash App 네트워크 밖에 있는 지인에게도 결제 링크를 공유해 손쉽게 공동 모금을 받을 수 있게 됐다.
Pools는 2023년 이후 약 2년 만에 선보이는 Cash App의 첫 메이저 P2P 서비스다. 사용자는 목표 금액을 설정하고, 풀(Pool) 이름을 지정한 뒤, 참여자를 초대해 하나의 공유 잔액을 관리할 수 있다.
“이번 기능은 네트워크 외부 결제를 처음으로 지원한다”
고 오언 제닝스(Owen Jennings) Cash App 비즈니스 총괄은 설명했다.
사용 방식은 단순하다. 조직자는 링크를 복사해 문자, 이메일, SNS 등에 배포하면 되고, 참여자는 Cash App 계정이 없어도 애플 페이·구글 페이 지갑을 통해 즉시 송금할 수 있다. 목표 금액이 채워지면 풀을 닫고 모인 금액을 Cash App 잔액으로 바로 이체할 수 있다.
경쟁 심화 — Venmo와의 ‘네트워크 확장’ 전쟁
이번 출시는 Cash App이 PayPal 산하 Venmo와 벌이는 치열한 시장 경쟁 속에서 나왔다. Venmo는 2025년 2분기에도 전년 대비 20% 이상의 매출 성장을 기록하며 2023년 이후 최고 성장률을 이어갔다. 앞선 1분기에는 결제 규모 증가율의 두 배에 달하는 매출 성장을 보이며 데빗카드·즉시 이체·온라인 체크아웃 사용 증가가 실적을 견인했다.
반면 블록은 5월 발표한 2025년 1분기 실적에서 시장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매출을 기록했고, Cash App 사용자 기반 확대에 집중하지 못했다고 시인했다. 이에 따라 회사는 “핵심 성장 엔진으로서의 네트워크 밀도 회복”을 최우선 과제로 삼고 있다.
“돈은 본질적으로 사회적이다. Cash App을 다음 세대의 재무 운영 시스템으로 만들겠다”
— 오언 제닝스, Cash App 비즈니스 총괄
내부 문화 변화와 AI 도구
제닝스 총괄은 이번 기능이 아이디어 단계에서 출시까지 몇 달 만에 완성됐다고 밝혔다. 블록 내부 오픈소스 AI 어시스턴트 ‘Goose’를 활용한 고속·고품질 개발이 주효했다는 설명이다. 그는 “지난 1년 전과 비교해 지난 3~4개월의 개발 속도가 눈에 띄게 빨라졌다”고 강조했다.
이 같은 개발 속도 향상은 단순히 블록만의 현상이 아니라고 제닝스는 덧붙였다. “업계 전반에서 우수한 코드 한 줄의 한계 비용이 하락하면서 개발 속도는 점점 빨라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잭 도시의 ‘원점 회귀’ 전략
블록 최고경영자 잭 도시(Jack Dorsey)도 1분기 실적 발표 컨퍼런스콜에서 “네트워크와 그 밀도에 충분히 집중하지 못했다”고 인정했다. 그는 Cash App이 은행·대출 상품(예: FDIC 승인 ‘Borrow’ 프로그램)을 확대하더라도 궁극적 성공은 P2P 참여도에 달려 있다고 강조했다.
따라서 Pools는 수익 창출이 아닌 유기적 사용자 증가를 노리는 도구다. 제닝스는 “풀스는 네트워크 확장과 바이럴 효과 극대화를 목표로 설계됐다”고 밝혔다.
용어 한눈에 보기
P2P(Peer-to-Peer) 결제란 개인 간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즉시 송금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별도 계좌 번호 입력 없이 연락처나 QR 코드만으로 송금·수금을 할 수 있어 20-30대 밀레니얼 세대를 중심으로 빠르게 확산됐다.
애플 페이·구글 페이는 스마트폰의 NFC(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을 활용해 오프라인·온라인 모두에서 터치 한 번으로 결제를 완료할 수 있는 모바일 지갑 서비스다.
출시 일정과 전망
Pools는 현재 제한된 일부 Cash App 사용자에게 먼저 제공되고 있으며, 수개월 내 순차적 확대가 예정돼 있다. 블록은 풀에 참여하는 비사용자를 잠재적 신규 고객으로 간주해 추후 대출·투자·암호화폐 서비스로 유입시키겠다는 전략이다.
시장 전문가들은 Cash App이 원래 강점이던 P2P 영역에 집중함으로써 사용자 성장 정체를 돌파할 수 있을지 주목하고 있다. 특히 Venmo와의 차별점을 외부 지갑 연동에서 찾을 수 있을지 여부가 관건이다.
현 단계에서 Pools 자체는 수수료를 부과하지 않아 단기적인 매출 기여는 크지 않다. 그러나 네트워크 효과와 데이터 확보를 통해 중장기 수익 모델(예: 금융상품 연계, 광고·프로모션)에 기여할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블록의 다음 분기 실적 발표는 2025년 10월 초로 예정돼 있다. Pools가 본격적인 사용자 유입 효과를 증명할 경우, 실적과 주가에 긍정적 모멘텀을 제공할 수 있을지 시장의 관심이 모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