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WX Technologies Inc.(이하 BWXT)이 미 해군으로부터 최대 26억 달러(약 3조6,000억 원) 규모의 핵반응로 구성품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 이번 계약에는 향후 선택권(option)에 따른 추가 물량이 포함돼 계약 총액이 단계적으로 늘어날 수 있다.
2025년 7월 17일(현지시간) 로이터 통신 보도에 따르면, BWXT은 이번 계약으로 핵추진 버지니아급 잠수함과 컬럼비아급 잠수함 그리고 포드급 항공모함 엔터프라이즈(CVN-80)에 탑재될 원자로 압력용기, 제어봉 구동장치, 핵연료 모듈 등을 제작·납품하게 된다.
“해당 부품들은 향후 6~8년 동안 단계적으로 해군에 인도될 예정”이라고 BWXT 측은 밝혔다.
BWXT는 버지니아주 린치버그 본사 및 오하이오·인디애나·테네시주 공장에서 생산라인을 가동해, 2030년대 초까지 전량 납품 일정을 맞춘다는 방침이다.
계약 배경
미국 정부는 중국의 인도·태평양 영향력 확대에 대응하기 위해 핵추진 수군(Sea-based Nuclear Force)의 현대화 프로그램을 추진 중이다. 특히 아UKUS(Australia-UK-US) 안보 협약 발효 이후, 동맹국과의 공동 운용을 염두에 둔 차세대 잠수함 확보가 국방부(RAND)·해군작전사령부(OPNAV)의 우선 과제로 부상했다.
로이터는 2023년에 “해군이 1950년대 이후 최대 규모의 극비 해저 감시망(SOSUS) 업그레이드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고 단독 보도한 바 있다. 해저 감시체계 고도화와 병행해 잠수함 원자로 및 음향 스텔스 기술 투자가 속도를 내고 있다는 설명이다.
계약‧입찰 현황*
지난달에는 RTX(옛 레이시온) 방산사업부가 11억 달러 규모의 단거리 미사일 생산 계약을 따냈다. 이어 이번 BWXT 원자로 계약이 체결되면서, 미 해군의 2024~2025 회계연도(2024.10~2025.9) 주요 방산 발주 규모는 40억 달러를 넘어섰다.*방위사업청·미 의회연구서비스(CRS) 분석치
핵추진 함정과 원자로 부품은 무엇이 다른가
핵추진 잠수함과 항공모함은 고농축 우라늄(HEU) 또는 저농축 우라늄(LEU) 연료를 사용한다. 원자로 압력용기는 연료봉을 보호하고 냉각재 순환을 제어하는 핵심 구조물로, 티타늄 합금과 고강도 저합금강을 12~15인치 두께로 단조해 만든다. 제어봉 구동장치는 붕소(B) 함유 제어봉을 수밀(derated) 상태로 상하 이동시켜, 원자로 출력과 중성자 속도를 조절하는 메커니즘이다.
BWXT의 경쟁력
BWXT는 미국에서 유일하게 해군형 원자로 핵연료를 설계·제조·재처리까지 일괄 수행하는 업체다. 1956년 설립 이후 70여 년간 축적한 단조·열처리·방사선 관리 기술 덕분에, 해군 전담 공급망의 80% 이상을 점유하고 있다. BWXT 재무제표에 따르면, 2024 회계연도 원자로 사업부 매출 비중은 64%, 영업이익률은 19%에 달한다.
또한 소형모듈원자로(SMR) 시장 진출을 추진해, 상업용 듀얼모드 원자로와 우주선 탑재 원자로 개발에도 투자하고 있다. 이번 해군 물량은 회사의 핵심 캐시카우로 작용해 R&D 자금 여력을 확대할 것으로 관측된다.
전문가 시각 및 파급효과
시장조사업체 테클리트릭스(Techlitics)는 “26억 달러 규모의 고부가 원자로 주문이 국내(미국) 금속·세라믹 가공업체 약 260곳에 직접 일자리를 창출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방위산업 애널리스트들은 “버지니아급(블록 Ⅴ) 이후 차세대 SSN(X) 플랫폼 수주전에서도 BWXT의 선제 지위를 공고히 할 전망”이라고 분석한다.
한편, 그린피스·프렌즈오브어스 등 환경단체는 HEU 사용에 따른 핵확산 위험과 폐기물 관리 비용이 과소평가돼 있다며 정부의 LEU 전환 로드맵 공개를 요구하고 있다. 이에 대해 해군 당국은 “현행 원자로 설계는 30년 이상 연료 교체 없이 운영 가능한 ‘라이프타임 코어’ 개념이며, 폐연료는 에너지부(DOE) 산하 사바너 리버 현장 등 안전시설에 저장된다”고 반박했다.
용어 설명
버지니아급 잠수함: 미국이 1998년부터 건조한 다목적 공격형(SSN) 잠수함. 톤수 7,800t, 최고 속도 34노트, VPM(수직발사 모듈) 탑재.
컬럼비아급 잠수함: 기존 오하이오급 탄도미사일 잠수함(SSBN)을 대체할 차세대 전략 핵잠수함. 2031년 취역 목표.
포드급 항공모함: 니미츠급 후속 최신예 원자력 항모. 전자기식 사출장치(EMALS)·첨단방식 함재기 운용체계 장착.
기사 작성·편집 ⓒ AI 저널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