뱅크오브아메리카(이하 BofA)가 발표한 최신 모델 분석에 따르면, 상품투자자문사(CTA·Commodity Trading Advisor)들이 전 세계 주식선물시장에서 여전히 상당한 수준의 순매수(Long) 포지션을 유지하고 있다.
2025년 10월 27일, 인베스팅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BofA는 S&P 500·나스닥 100·러셀 2000·니케이225 선물의 추세추종자(long/short를 기계적으로 조절하는 시스템 트레이더)의 보유량이 10월 10일의 급락 이후 다소 줄었지만 여전히 역사적 평균 대비 높다고 밝혔다. BofA는 “변동성이 추가로 하락하면 CTA들이 순매수 비중을 다시 확대할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유로스톡스 50 선물 역시 올해 2월 수준으로 롱 포지션이 확대됐다. 당시 유럽 증시는 연초 랠리를 주도하며 타 지역 대비 초과수익을 기록했었다. 현재 주요 벤치마크 지수가 사상 최고치 부근을 맴도는 가운데, 보고서는 “CTA들의 손절매(Stop-loss) 발동 가격이 현 시점에서 상당히 멀다”고 진단했다.
전문가들은 이번 주에도 실현 변동성이 추가로 낮아질 경우, CTAs가 주식 롱을 더욱 늘릴 수 있다고 전망한다.
“변동성이 억눌리면 시스템 트레이더는 상승 추세에 베팅을 강화하는 알고리즘적 특성을 보인다”며 BofA의 친탄 코테차(Chintan Kotecha) 이사는 설명했다.
금(金)·원자재 시장 동향
원자재 부문에서 CTA들은 금 선물의 9주 연속 상승세가 지난주 5.3% 급락으로 막을 내리자 일부 포지션을 축소한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BofA는 “추세 추정 모델상 금은 여전히 상승(Bullish)으로 분류되며, 12월물 가격이 추가로 약 4.4% 더 후퇴해야 전면 청산이 이뤄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WTI 원유 선물의 경우, 가격이 반등했음에도 불구하고 CTAs는 공격적인 숏 누적을 지속하고 있다. 보고서는 “다만 유가 회복세가 이어질 경우 숏 누적 속도는 둔화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알루미늄 롱 포지션은 “여전히 과잉(stretched) 상태”로 평가됐다.
채권·외환 포지셔닝
BofA 모델은 미국 국채선물에서 특히 단기물에 대한 롱 포지션이 꾸준히 확대되고 있다고 밝혔다. 반면, 한국·중국 국채에 대해서는 투자자들이 순매도(Short) 포지션을 유지 중이다.
외환 시장에서는 미국 달러화가 지난주 상승하며 달러 숏 포지션이 줄었다. 현재 CTA들이 일관되게 달러를 매도하고 있는 통화는 멕시코 페소뿐이며, 엔화·캐나다 달러에 대해서는 달러 매수가 여전히 우세하다. 유로·파운드·호주 달러의 경우 포지션이 혼조세를 보이지만, 중장기 추세에서는 달러 숏이 유지되고 있다.
용어 해설: CTA·추세추종 전략이란?
CTA(Commodity Trading Advisor)는 선물·옵션 등 파생상품 거래에 특화된 등록 기관으로, 컴퓨터 모델을 활용해 가격 추세를 따라 롱·숏 포지션을 자동 조절한다. 변동성이 낮고 뚜렷한 방향성이 형성될 때 승률이 높아지며, 갑작스러운 가격 급변 시 손절매 알고리즘이 작동한다.
따라서 변동성(VIX 등)이 하락하면 CTA는 상승 추세에 베팅을 강화하는 경향을 보이고, 반대로 변동성이 급등하면 포지션을 빠르게 축소한다. 이번 보고서에서도 ‘실현 변동성 하락 → 주식 롱 확대’라는 전형적인 CTA 특성이 강조되고 있다.
전문가 시각 및 시장 함의
BofA는 “주가가 사상 최고권을 유지하면서 CTA 자금이 추세를 따라 추가 유입될 경우 상방 모멘텀이 더 강화될 수 있다”고 평가했다. 그러나 단기 급락이나 예상치 못한 이벤트 리스크가 현실화되면 대규모 손절매 매물이 쏟아질 수 있다는 점도 경고했다.
금·원유 등 실물자산 시장에선 변동성 확대가 CTA 포지션을 요동치게 만들고 있다. 특히 금 가격이 5% 이상 급락했음에도 불구하고 전면 청산이 아직 발생하지 않았다는 점은, 시장이 여전히 ‘완화적 통화정책 장기화’ 시나리오를 반영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채권 부문에서는 단기물 중심으로 롱이 늘고 있다는 점이 금리 피크아웃 기대감과 맞닿아 있다.
외환 시장의 경우 미 달러화 강세가 진정된다면 CTA들은 다시 달러 숏을 확대할 가능성이 있다. 특히 멕시코 페소 같은 고금리·저변동성 통화에 대한 캐리 트레이드가 유지될지 주목된다.
결론
종합적으로 BofA 보고서는 CTA 자금의 흐름이 여전히 주식과 일부 원자재의 상승 추세를 지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변동성 하락 국면이 계속될 경우, 시스템 기반의 매수세가 시장 랠리를 연장할 수 있지만, 동시에 변동성 재급등 시 일시적 급락을 촉발할 위험이 상존한다. 투자자들은 CTA 포지션 동향과 변동성 지표를 병행 모니터링하며 리스크 관리에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