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MO “美 법무부 판결 따라 구글 주가 ±10% 변동 가능”

미국 투자은행 BMO 캐피털 마켓츠알파벳(Alphabet, NASDAQ:GOOGL) 주가가 조만간 나올 미국 법무부(DoJ)의 검색 독점 소송 구제 조치에 따라 최대 ±10%까지 움직일 수 있다고 전망했다.

2025년 8월 18일, 인베스팅닷컴 보도에 따르면, 워싱턴 D.C. 연방지방법원은 이미 구글이 “배타적 기본 검색 계약(Exclusionary Default Agreements)을 통해 일반 검색 및 텍스트 광고 시장의 독점 지위를 불법적으로 유지했다”는 사실을 인정했다.

재판을 주재해 온 아밋 메타(Amit Mehta) 판사구제 조치(remedies) 결정을 이달 중, 빠르면 오늘 내릴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곧 시작될 광고 기술(Ad-Tech) 반독점 재판 전에 ‘법원 업무를 정리하기 위해서’라는 관측이 제기된다.


● BMO “구제 조치 강력하되 과도하지는 않을 것”

BMO 애널리스트들은 보고서에서 “메타 판사의 최종 판결은 구글 비즈니스 모델에 상당하지만 가혹하지는 않은 변화를 요구할 것”이라며,

구조적 분할(Structural Break-up)이 아닌 포괄적 행태 시정 명령(Comprehensive Behavioral Consent Decree)이 가장 가능성이 높다”

고 평가했다.

이 시정 명령은 배포 관행, 데이터 공유, 경쟁사 배제 행위 등에 장기간 구속력을 갖는 제한을 둘 것으로 보이며, 생성형 AI 사업까지 포함될 가능성이 언급됐다.

BMO는 구글이 크롬(Chrome) 브라우저나 안드로이드(Android) OS를 매각하라는 강제 조치는 피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다만 어떤 형태로든 핵심 수익원과 운영 유연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을 경고했다.


● 더 큰 변수는 ‘Ad-Tech’ 소송

BMO는 오는 2025년 9월 이후로 예상되는 광고 기술(Ad-Tech) 반독점 소송 구제 조치가 구조적 분할 가능성이 더 높다고 지적했다. 두 건의 소송이 결합되면 구글은 “10년에 걸친 규제 감시 아래 놓이고, 검색‧디지털 광고 경쟁 구도가 근본적으로 달라질 수 있다”고 분석했다.

보고서는 “발표되는 구제 조치 내용에 따라 구글 주가가 상승 혹은 하락으로 최대 10%까지 등락할 수 있다”며 높은 변동성을 재차 강조했다.


● 용어 해설

*행태 시정 명령(Behavioral Consent Decree)은 기업 구조를 해체하지 않고 사업 관행·계약·가격 정책 등에 법원이 장기간 관여해 ‘행태’를 교정하도록 하는 방식이다.

*구조적 분할(Structural Break-up)은 독점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업부·자회사 등을 물리적으로 분리하거나 매각하도록 강제하는 최고 수위 제재다.

일반 투자자 입장에서는 “행태 시정 명령”이 내려질 경우 단기 리스크는 완화되지만, 데이터 공유 제한·경쟁사 진입 확대·AI 기술 공개 등으로 장기 성장성이 조정될 가능성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 전망 및 시사점

BMO 캐피털 마켓츠는 장기 규제 리스크가 주가 할인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으나, 구글이 잠재적 제재를 관리할 충분한 현금흐름과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동시에 투자자들에게 “단기 변동성 확대에 대비해 포지션을 신중히 조정하라”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