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plied Nutrition, 2025회계연도 매출 24.2% 증가…IPO 가이던스 상회

인베스팅닷컴Applied NutritionIPO 가이던스상회하며 2025년 7월 31일 종료된 2025회계연도(FY25) 매출이 전년 대비 24.2% 증가한 £107.1백만(1억 710만 파운드)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번 실적은 스포츠 영양(sports nutrition)과 웰니스 브랜드 포트폴리오의 확장, 채널 다변화, 제품 혁신이 맞물린 결과로 평가된다.

2025년 11월 10일, 인베스팅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회사의 조정 EBITDA는 전년 대비 18.8% 증가한 £30.9백만(3,090만 파운드)을 기록했고, 자유현금흐름 전환율72.4%로 견조했다. 동기간 말 기준 회사는 순현금 £18.5백만(1,850만 파운드)을 보유했다. 이러한 현금 창출력은 향후 성장 투자 여력을 강화하는 기반으로 해석된다.

성장 전략과 제품 혁신으로 회사는 기존 고객사와의 관계를 심화하고, 라틴아메리카아시아 등 신규 지역으로 글로벌 시장을 확대했다. 또한 Vimto 풍미의 젤(gel)과 Sparkling Collagen Protein Water(탄산 콜라겐 단백질 워터) 등 신제품을 출시하며 포트폴리오를 다변화했다. 브랜드 협업 기반의 풍미 확장은 소비자 접근성과 차별화를 높이는 보완적 전략으로 보인다.

주목

토마스 라이더(Thomas Ryder) 최고경영자(CEO)는 “우리는 IPO 시점에 설정한 목표초과 달성했으며, 동시에 성장의 다음 단계를 위한 기반을 확고히 다졌다”고 말했다.

회사는 2024년 8월 공장 증설을 완료해 연간 매출 수용(capacity)을 약 £200백만 수준으로 끌어올렸다. 이어지는 성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추가 자본 투자를 계획하고 있으며, 글로벌 유통 시설2027년 초 가동 목표로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이는 생산·물류의 병목을 완화하고, 지역별 수요에 대한 대응 속도를 높이기 위한 조치다.

회사는 FY25 4분기강한 판매 모멘텀FY26 1분기에도 이어지고 있다고 밝혔다. 다만 연간 전망과 관련해서는 현재 시장 기대치를 유지한다고 덧붙였다. 이는 실적 추세의 견조함을 인정하면서도, 외부 환경과 실행 일정을 고려해 가이던스 관리에 보수적 접근을 택한 것으로 해석된다.

한편, 회사는 “본 기사는 AI의 지원으로 작성되었고 편집자의 검토를 거쳤다”고 밝혔다.


해설과 시사점

주목

가이던스 상회실행력수요 질을 동시에 보여주는 지표다. 매출 24.2% 성장과 조정 EBITDA 18.8% 증가는 가격·제품 믹스, 채널 확장, 운영 효율이 균형 있게 기여했음을 시사한다. 특히 자유현금흐름 전환율 72.4%는 재무적 질(quality of earnings)을 뒷받침하며, 향후 자본 지출(capex)R&D, 마케팅에 재투자할 수 있는 여력을 강화한다.

2024년 8월의 공장 증설로 매출 수용 능력을 약 £200백만 수준까지 끌어올린 점은, 중기 성장의 물리적 한계를 선제적으로 해소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더불어 2027년 초를 목표로 한 글로벌 유통 센터 구축 계획은 생산-물류-시장 간 리드타임을 줄이고, 라틴아메리카·아시아 등 고성장 지역으로의 확장 스케일을 키우는 기반이 된다. 이는 제품 신선도와 서비스 레벨을 높여 반복 구매율을 개선할 가능성과 연결된다.

제품 측면에서는 Vimto 풍미 젤과 Sparkling Collagen Protein Water카테고리 인접 제품의 론칭이 신규 고객 유입구매 빈도 제고에 기여할 수 있다. 스포츠 영양 시장에서의 풍미·형태 혁신은 차별화와 충성도 확보의 핵심 축이며, 대중성 있는 풍미 협업은 진입 장벽을 낮추는 전략으로도 유효하다. 이러한 전략은 높은 브랜드 친화도소비자 체험 가치를 통해 장기 성장의 지속 가능성을 높이는 방향과 맞물린다.

한편, 회사가 FY26 연간 가이던스에 대해 시장 기대치 유지라는 보수적 기조를 견지한 점은, 단기 모멘텀이 긍정적이더라도 외부 변수와 실행 일정의 불확실성을 관리하는 접근으로 해석된다. 이는 예측 가능성을 중시하는 기관 투자자 관점에서 신뢰성을 높이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용어 설명

조정 EBITDA: 이자·세금·감가상각비·무형자산상각비 차감 전 영업이익을 의미하는 EBITDA에서 일회성·비현금성 항목 등을 조정한 지표다. 기업의 핵심 영업활동 수익성을 비교적 순수하게 보여준다.

자유현금흐름 전환율(Free Cash Flow Conversion): 이익이 실제 현금 창출로 얼마나 전환되는지 보여주는 비율이다. 전환율이 높을수록 현금 기반의 질 높은 성장을 의미한다.

순현금(Net Cash): 현금 및 현금성 자산에서 이자부 부채를 차감한 금액이다. 순현금 상태는 재무 유연성이 높다는 뜻이다.

IPO 가이던스: 기업이 상장(IPO) 시점에 투자자에게 제시한 재무·성장 목표나 전망을 의미한다. 가이던스를 상회한다는 것은 목표 초과 달성을 뜻한다.

회계연도(FY): 기업이 재무 보고를 위해 설정한 12개월 기준 기간이다. 여기서 FY25는 2025년 7월 31일에 종료되는 회계연도를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