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시대의 보이지 않는 모세혈관: 해저 케이블 투자 대전이 미국 주식시장과 글로벌 질서에 남길 10년의 궤적

AI 시대의 보이지 않는 모세혈관: 해저 케이블 투자 대전이 미국 주식시장과 글로벌 질서에 남길 10년의 궤적

요약: 전 세계 국제 데이터·음성의 95% 이상이 해저 케이블을 통해 흐른다. 총 연장 약 100만 마일의 이 인프라는 이제 AI·클라우드 경제의 ‘보이지 않는 동맥’으로 격상됐다. 2025~2027년 신규 해저 케이블 투자만 130억 달러에 달할 전망이며, 메타·아마존·구글 등 미국 빅테크가 대양 횡단 초고속 링크를 직접 소유·운영하는 추세가 가속화되고 있다. 동시에 홍해·발트해·대만 주변에서 절단 사고·의심 사례가 늘며 안보 리스크가 급부상하고, 미국 FCC의 심사 강화 등 규제 장벽도 높아지고 있다. 본 칼럼은 해저 케이블의 수요-공급, 보안·규제 환경, 투자 수혜·리스크 전이 경로를 종합해 1~3년과 5~10년의 전략 프레임을 제시한다.


1) 왜 지금, 해저 케이블인가: AI가 만든 ‘연결성’의 병목

해저 케이블은 더 이상 단순한 통신 설비가 아니다. 대륙 간 데이터의 저지연·대용량 운송을 떠받치는 핵심 인프라로, AI 훈련·추론의 경제성은 결국 데이터센터 간 네트워크(데이터 이동)의 효율에 의해 좌우된다. 메타의 네트워크 투자 담당 부사장 알렉스 에임은 “AI를 말할 때 사람들은 컴퓨트·데이터센터를 떠올리지만, 연결성 없이는 그저 값비싼 창고에 불과하다”고 지적한다. 이는 명징하다. AI가 아무리 고도화돼도, 거대한 모델과 데이터를 대륙 간에 순간이동시킬 방법은 없다. 물리계의 제약을 돌파하는 최적의 해법이 장거리 광섬유(해저 케이블)다.

  • 물리적 제약: 위성은 커버리지 장점이 있으나 지연(latency)·비용·용량 한계가 있다. 반면 해저 광섬유는 수십~수백 Tbps급 전송과 낮은 지연·단위비용을 제공한다.
  • 데이터센터 토폴로지 변화: AI 슈퍼컴퓨팅 클러스터가 미·EU·아시아에 분산 증설되는 만큼, 초지역(Transoceanic) 백본에 대한 실효 수요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한다.
  • 복원력(Resilience)의 경제학: 단일 케이블 경유 지역의 장애(홍해·통가 사례)는 클라우드·결제·콘텐츠 전송의 동시다발적 충격으로 이어진다. 멀티 루트/다중 경로 구축은 보험이 아니라 필수가 됐다.

실제 시장 데이터는 이러한 구조적 변화를 증명한다. 통신 데이터 업체 텔리지오그래피에 따르면, 2025~2027년 신규 해저 케이블 프로젝트 투자액은 약 130억 달러로 2022~2024년 대비 거의 두 배가 될 전망이다. 메타는 단독 소유로 총 5만 km(3.1만 마일)에 달하는 세계 최장 프로젝트 ‘워터워스(Project Waterworth)’를 추진 중이고, 아마존은 미 동부-아일랜드를 잇는 ‘패스트넷(Fastnet)’을 발표했다. 패스트넷의 용량은 320Tbps+로, HD 영화 수천만 편 동시 스트리밍에 해당하는 규모다. 구글은 이미 30개 이상 케이블 투자로 글로벌 링크의 축을 구성하고 있다.

주목

2) 수요의 원천: AI·클라우드·동영상, 그리고 ‘동시화’의 시대

해저 케이블 수요는 세 겹의 파도로 설명된다.

  1. AI 슈퍼컴퓨팅 트래픽: 대형언어모델(LLM) 학습·서빙에 필요한 데이터셋 이동, 분산 학습(파이프라인 병렬화·텐서 병렬화)에서의 노드 간 대역폭 요구, 모델 체크포인트·아카이브의 다중 리전 보관 등은 모두 초고속·저지연 링크를 필요로 한다.
  2. 클라우드-클라우드/하이브리드 연결: 멀티클라우드 아키텍처가 주류가 되면서, 퍼블릭-퍼블릭, 퍼블릭-프라이빗 간 동기화가 급증한다. 데이터 레이크하우스, 글로벌 CDN, 실시간 협업앱은 모두 대륙 간 백본을 압박한다.
  3. 스트리밍·게임·XR: 4K/8K 스트리밍, 클라우드게임, 실감형 XR 서비스는 지연에 민감하다. 사용자 체감 품질(QoE)은 물류의 ‘최후 1마일’뿐 아니라, 대양 횡단의 ‘첫 몇 천 마일’에도 좌우된다.

결론적으로, AI·클라우드·콘텐츠는 상호 증폭(loop) 관계다. 컴퓨트 증설 → 데이터 이동 증가 → 백본 확장 → 애플리케이션의 지연·품질 개선 → 추가 수요 창출의 선순환 고리가 작동한다. 따라서 해저 케이블 투자는 단일 산업의 비용 항목이 아니라, 디지털 총요소생산성(TFP)을 밀어 올리는 공공재적 성격까지 띤다.


3) 공급 사이클: 제조·포설·운영의 병목과 빅테크의 직소유 전환

해저 케이블 밸류체인은 크게 설계·제조(광섬유/증폭기) → 포설(전용 선박·해저지형공사) → 운영(감시·유지보수) → 업그레이드(채널증설·장비 교체)로 구성된다. 업계 1위인 알카텔 서브마린 네트웍스(ASN)는 “웹스케일 기업들이 이제 케이블 수요의 약 50%”를 차지한다고 밝힌 바 있다. 이는 수요의 직접 소유·통제가 통신사 중심의 ‘공동 컨소시엄’ 모델을 빠르게 대체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직소유는 다음의 장점을 제공한다.

  • 대역폭 확정성: 트래픽 피크 시즌(예: 쇼핑·스포츠·대형 모델 배포)에 대한 확정 용량 확보.
  • 보안·컴플라이언스: 구간 암호화·장비 체인 검증을 포함한 엔드투엔드 정책 준수 용이.
  • 비용 가시성: 장기 감가상각·규모의 경제에 따른 단위비용 하락(특히 트래픽의 급성장 국면에서 유리).

문제는 공급의 타임 투 빌드다. 케이블 제조·포설 선박·해저공사 역량은 탄력적으로 늘리기 어렵다. 허가·환경영향평가·국가별 규제 승인도 시간 변수다. 이런 제약은 백로그리드타임을 늘리고 단가를 끌어올릴 수 있다. 2025~2027년 130억 달러 규모의 신규 프로젝트가 동시다발적으로 깔리면, 장비·선박·전문인력의 기회비용이 증가한다. 결국, 케이블 프로젝트는 단발성 이벤트가 아니라, 중장기 공급 사이클로 읽어야 한다.

주목

4) 보안·지정학 리스크: ‘의도’와 ‘사고’를 가르는 칼날

해저 케이블 절단은 전통적으로는 어로활동·투묘(닻) 등 우발적 요인이 많다. 다만 최근에는 의도성을 의심케 하는 사례가 유의미하게 관찰된다. 글로벌 이슈 분석기관 Recorded Future는 2024~2025년 발트해·대만 주변에서 의심사례가 늘었다고 지적한다. 의도와 사고를 구분하기가 어렵다는 점이 이 리스크의 본질이다. ‘고스트 플릿’ 논란처럼, 의도적 훼손이었더라도 외부에서 완벽히 입증하기가 어렵다. 이 모호성은 군사·외교적 긴장 국면에서 회색지대(gray zone) 압박 도구로 악용될 소지가 있다.

이에 대한 대응으로 NATO는 ‘발틱 센트리(Baltic Sentry)’ 작전을 통해 드론·항공기·수상/수중함정을 투입, 발트해의 해저 인프라 감시를 강화했고, 그 이후 절단 보고가 줄었다는 점은 정책적 개입의 효과를 시사한다. 미국 내에서는 FCC가 국가안보를 이유로 외국계(특히 중국·러시아) 연계 케이블 사업·장비에 대한 심사를 강화하고, ‘스파이 장비’ 우려(예: 화웨이·ZTE 등)의 사용 금지를 명확히 했다. 미 하원이 빅테크 CEO들에게 중국 연계 케이블 유지보수 업체 사용 여부를 질의했을 때, 메타와 아마존은 “사용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보안 정책 강화는 두 가지 파급을 낳는다. 첫째, 프로젝트 리드타임 증가비용 상승이다. 인증·감사·조달 제약이 동시에 늘어난다. 둘째, 공급망의 양극화다. 민주주의 진영 간 공동 투자·공조(예: 미·EU·일)가 강화되고, 비민주 진영과의 상호 운용성은 축소된다. 이는 글로벌 인터넷의 ‘분절화’ 가능성을 높이지만, 한편으로 동맹 간 인프라 표준화보안 내재화를 촉진한다.


5) 사건 사례가 던지는 투자 교훈: 홍해 절단과 Azure 장애

2025년 9월 홍해에서의 케이블 절단으로 마이크로소프트 Azure 일부 서비스에 장애가 발생했을 때, 트래픽은 우회되었지만 아시아·중동 사용자들은 지연과 성능 저하를 경험했다. 이는 네트워크 설계에서 멀티 루트·다중 경로를 넘어 예비 용량상호 대체성을 얼마나 깊이 내재화했는지가 비즈니스 연속성(BC/DR)을 가르는 핵심이라는 점을 일깨웠다. 투자 관점에서 보면, 다음의 신호에 주목해야 한다.

  • 공시·IR에서의 백본 언급 빈도: 하이퍼스케일러의 CAPEX 가이던스 중 네트워크 항목의 비중·성장률.
  • 포설 선박·제조라인 증설: 제조·포설·유지보수 기업들의 설비투자 집행 및 선박 건조/개조 계획.
  • 케이블 면허·환경 승인 뉴스플로우: 승인 지연·정지 이슈는 타임라인 리스크를 키운다.
  • 사고/의심 사례 빈도와 지역: 발트해·대만·홍해 등 ‘핫존’의 사건 밀도.

6) 투자지형: 누가 수혜를 보고, 어디가 병목인가

해저 케이블은 상장 벤더가 제한적이고, 일부 핵심 기업은 비상장 또는 대기업 내 사업부 형태다. 따라서 직접 노출간접 수혜를 구분한 포트폴리오 구성이 요구된다.

세그먼트 주요 역할 상장/비상장 지형 장기 수혜 논리 핵심 리스크
하이퍼스케일러(미국 빅테크) 직소유·공동투자, 글로벌 백본 운영 대형 상장(미국) AI·클라우드 트래픽 성장 → 자가 소유 확대 → CAPEX 장기화 CAPEX 과열 논쟁, 규제·반독점·안보 심사
케이블 설계·제조/포설 광섬유 케이블·중계기, 전용 포설선 상장/비상장 혼재 백로그 증가·리드타임 장기화 → 가격·스프레드 개선 공급 제약, 프로젝트 지연·취소, 지정학 리스크
광전송·해저 장비 파장분할, 증폭, 채널 업그레이드 상장(미국/일본/유럽에 다수) 기존 케이블 업그레이드 수요와 병행 성장 고객 집중, 기술 전환(코히어런트/SDM) 속도
해저 유지보수·모니터링 장애 복구, 감시·보안 상장/민관 프로젝트 사고·안보 이슈 증가 → 상시 유지보수 계약 확대 사건 의존적 수익 변동, 규제 승인
정책·규제 컨설팅/보안 FCC·국방·NATO 공조, 점검 민관 협업 규제 강화 → 감사·평가·감시 수요 확대 정책 변경 리스크, 예산 타이밍

참고: 일부 핵심 밴더(예: ASN)는 대기업 산하 사업부거나 비상장이다. 상장 노출은 광전송·해저 장비, 보안·모니터링, 일부 포설·서비스 회사에서 상대적으로 크다.


7) 규제와 안보가 바꾸는 총비용(TCO): ‘가장 싸게’에서 ‘가장 안전하게’로

미국 FCC는 중국·러시아 연계 인프라에 대한 심사를 강화하고, 의심스러운 장비 사용을 금지했다. 이는 두 가지 회계적·재무적 함의를 갖는다.

  • CAPEX 상승: 승인·검증·대체조달 비용이 늘어난다. 단기적으로 단위 CAPEX가 상승하나, 대형 플레이어에게는 스케일 우위로 상쇄될 수 있다.
  • OPEX 상승: 상시 감시·감사·훈련·인력 유지에 OPEX가 누적된다. 그러나 사고·의도적 파손 시 발생할 대규모 매출 손실과 평판 리스크를 감안하면 보험료성 지출로 이해된다.

결국 의사결정 함수는 ‘가장 싸게’에서 ‘가장 안전하게’로 이동한다. 이는 가격 경쟁력이 아니라 안전·신뢰 경쟁력이 승부처라는 뜻이다.


8) 시나리오 분석: 1~3년, 그리고 5~10년

단기(1~3년): CAPEX의 재조정, 백로그의 현금화

  • 베이스: 2025~2027년 130억 달러 신규 프로젝트 집행. 빅테크 직소유 비중 상승. 규제 심사로 리드타임 일부 증가. 장비·서비스 업체의 수주잔고가 매출로 전환.
  • 업사이드: AI 모델 경쟁 가속(컴퓨트 10배 증설), 추가 케이블 착공 발표. 홍해·발트해 등 사건 증가로 유지보수 계약 확대.
  • 다운사이드: 금리상승/관세·지정학 충격으로 CAPEX 지연. 특정 해역에서 승인 지연 장기화.

중장기(5~10년): 아키텍처의 재편과 ‘동맹형’ 인프라

  • 베이스: 미국·EU·일본 중심의 동맹형 해저 인프라 공조. 케이블 표준·장비 공급망의 탈(脫)중국 가속. SDM(Space Division Multiplexing) 등 차세대 기술 상용화.
  • 업사이드: 양자암호·광집적 혁신으로 대역폭·보안 동시 고도화. 해저·지중·지상 백본의 ‘원스톱’ 관리 플랫폼 부상.
  • 다운사이드: 지역 분쟁 격화로 특정 해역의 상시 리스크. 글로벌 인터넷의 분절화 심화로 중복투자·비효율 확대.

9) 데이터로 보는 지금: 기사·기관이 제공하는 ‘객관적 단서’

  • 시장 점유: ASN은 “웹스케일 수요가 전체의 약 50%”라고 밝혔다(업계 브리핑).
  • 투자 규모: TeleGeography 추정, 2025~2027년 130억 달러 신규 프로젝트.
  • 프로젝트: 메타 Waterworth 5만 km, 아마존 Fastnet 320Tbps+, 구글 30개+ 케이블 투자, MS Azure 홍해 절단 우회(지연·성능 저하).
  • 보안·규제: 미 FCC의 중국·러시아 경계 발언, 미 하원의 빅테크 질의 서한, NATO Baltic Sentry 작전 이후 발트해 절단 보고 감소.
  • 구조적 사실: 국제 데이터·음성의 95%+가 해저 케이블 경유, 총 연장 약 100만 마일.

위 데이터는 모두 최근 보도·기관 브리핑에서 제시된 객관적 수치·사례이며, 해저 케이블이 AI 시대의 인프라 논의 한가운데로 이동했음을 상징한다.


10) 포트폴리오 전략: ‘직접 노출+간접 수혜’의 이중 구조

상장 시장에서 케이블 제조·포설에 대한 순수 플레이는 제한적이므로, 접근 방식은 이중 구조가 합리적이다.

  1. 직접 노출: 하이퍼스케일러(미국 대형 기술주)의 네트워크 CAPEX 구조적 확대에 베팅. 단, CAPEX의 주기적 변동·정책 리스크를 감안해 포지션을 분할·헷지.
  2. 간접 수혜: 광전송·해저 장비(증폭·파장분할·채널 업그레이드), 유지보수·모니터링 서비스, 보안·감사·정책 컨설팅 등 연관 밸류체인의 수주잔고·마진 레버리지를 점검.

실무적 체크리스트는 다음과 같다.

  • 수주잔고/리드타임 추적: 장비·서비스 기업의 백로그 추이, 매출전환 속도.
  • CAPEX 가이던스의 네트워크 비중: 하이퍼스케일러의 분기 실적 콜에서 네트워크 언급 빈도·비중 변화.
  • 해역 리스크 맵: 발트해·홍해·대만 인근 사고/의심 사례 빈도, 공조체계의 강화 정도.
  • 승인·면허: FCC·해양국 등에서의 승인 타임라인 뉴스플로우.

매크로 관점에서는 금리·관세가 CAPEX에 미치는 마찰을 반영하되, 네트워크 CAPEX는 경기순환에 덜 민감한 구조적 설비투자 성격을 지닌다는 점을 감안해야 한다. 특히 AI 경쟁의 게임이론적 속성(‘상대보다 뒤처질 수 없다’)은 CAPEX를 전술적 선택이 아닌 전략적 필수로 만든다.


11) 리스크 총람: 우리가 과소평가하기 쉬운 것들

  • 규제 지체 리스크: 해역·연안국 허가, 환경영향평가 등에서의 지연은 프로젝트 가치의 현재가치를 훼손한다.
  • 공급망 병목: 포설선·전문 인력·중계기·광섬유 등 특정 부품·역량의 단기 공급 제약은 마진을 변동시킨다.
  • 안보 사건 리스크: 케이블 절단·감시체계 교란은 단기 변동성을 키운다. 배타수역·분쟁수역을 경유하는 노선은 프리미엄·보험료 상승.
  • 기술 전환 리스크: 차세대 광전송(SDM 등) 전환 속도·호환성 이슈는 설비 교체주기·감가상각을 흔든다.
  • 정책 변동성: FCC·해양·국가보안정책의 방향 전환, 동맹·블록 간 합의 수준 변화는 투자 타당성을 바꿀 수 있다.

12) 전문적 통찰: ‘인프라의 금융화’와 ‘보안의 내재화’가 만든 새로운 밸류에이션 체계

필자는 해저 케이블 사이클을 인프라의 금융화보안의 내재화라는 두 개의 축으로 본다.

  1. 인프라의 금융화: 빅테크가 케이블을 자가 소유한다는 것은 ‘네트워크를 서비스로 구매’에서 ‘네트워크를 자산으로 보유’로의 질적 전환을 뜻한다. 이는 현금흐름(FCF)과 감가상각(D&A), ROIC 구조를 장기적으로 바꾼다. 시장은 단기 수익성 희석 논쟁을 벌이겠지만, 지연·중단 비용의 방지퀄리티 오브 서비스 개선이 가져오는 총소유비용(TCO) 절감을 점진적으로 밸류에이션에 반영할 것이다.
  2. 보안의 내재화: 과거에는 규정 준수를 ‘비용 항목’으로 보았다면, 이제는 ‘매출 방어’이자 ‘평판 지렛대’다. 보안 내재화의 깊이(장비 체인 검증, 실시간 감시, 물리·사이버 융합 대응)는 장기 프리미엄으로 재평가될 것이다.

결과적으로, 해저 케이블과 연계된 네트워크 투자는 CAPEX의 단기 부담보다 서비스 연속성·지연 최소화가 창출하는 매출·현금흐름 안정성을 통해 멀티플 방어·상향의 근거로 축적될 가능성이 높다.


13) 정책 제언: 동맹형 표준과 ‘디지털 나토’의 실험

정책 당국에 필요한 것은 동맹형 표준연합 감시·대응 체계다. 발틱 센트리 사례가 보여줬듯, 연합군 차원의 감시 강화는 실효를 낸다. 미국 FCC의 공급망 검증·장비 금지 정책은 바람직하지만, 통신사-빅테크-정부 간 상시 정보 공유와 사건 대응 훈련이 동반돼야 한다. 장기적으로는 해저 케이블·지중 백본·지상 메트로망까지 아우르는 통합 회복탄력성 지표를 개발·공개해 시장의 가격 발견 기능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14) 결론: ‘보이지 않는 동맥’을 소유한 자가 10년을 선도한다

AI·클라우드의 승부는 결국 지연·대역폭·복원력의 경쟁이다. 메타의 워터워스, 아마존의 패스트넷, 구글의 다수 케이블 투자, 홍해 절단에 즉시 대응한 MS Azure의 우회 사례, 그리고 FCC·NATO의 정책적 움직임은 같은 벡터를 가리킨다. 해저 케이블이야말로 디지털 경제의 모세혈관이다. 이 네트워크를 설계·소유·운영·방어하는 역량이 10년의 승자를 가를 것이다.

투자자의 역할은 명확하다. 직접 노출(하이퍼스케일러)과 간접 수혜(광전송·해저 장비·유지보수·보안)를 함께 엮되, 정책·안보 이벤트에 민감한 운용을 병행하라. 다음 분기 실적표의 한 줄을 넘어서, 백본의 구조적 확장 곡선을 추적할 때다. 시장은 아직 이 보이지 않는 동맥의 가치 전환을 완전히 반영하지 않았다. 그리고 그 격차가 바로, 장기 초과수익의 원천이다.


부록: 핵심 데이터·사건 타임라인(요약)

  • 국제 데이터·음성의 95%+ 해저 케이블 경유, 총 연장 약 100만 마일.
  • TeleGeography: 2025~2027년 신규 해저 케이블 투자액 약 130억 달러(’22~’24의 약 2배).
  • 메타: 프로젝트 워터워스(5만 km), 단독 소유 케이블.
  • 아마존: 패스트넷(미 동부–아일랜드), 320Tbps+.
  • 구글: 30개 이상 해저 케이블 투자.
  • MS Azure: 2025.9 홍해 절단 우회, 아시아·중동 지역 지연·성능 저하.
  • NATO: Baltic Sentry 작전(발트해), 감시 강화 이후 절단 보고 감소.
  • FCC: 중국·러시아 연계 인프라 심사 강화, 의심 장비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