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ldings Channel이 공개한 최근 13F 보고서*1 분석에 따르면, 2024년 9월 30일 기준 보고 기간(3분기) 동안 제출된 가장 최근 23건의 13F 서류 가운데 15개 펀드가 SPDR S&P 500 ETF Trust(티커: SPY)를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5년 9월 9일, 나스닥닷컴이 전한 이번 집계 결과는 여러 헤지펀드 운용사들이 동일 자산에 대해 유사한 판단을 내렸음을 시사한다. 시장 참가자들은 이러한 ‘컨센서스’가 형성될 때, 포트폴리오 조정이나 리스크 관리 측면에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는 분석이 나온다.
13F 보고서란 무엇인가?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는 운용 자산규모 1억 달러 이상 기관투자가에게 분기별로 보유 주식의 ‘롱(long) 포지션’을 공개하도록 의무화하고 있다. 다만 숏(short) 포지션 등 공매도 정보는 포함되지 않는다. 때문에 헤지펀드가 콜옵션 매도(베어리시 전략)와 동시에 일정 지분을 매수해 헤지할 경우, 13F에는 매수 지분만 기록돼 겉보기에 ‘순매수’로 오해될 여지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러 펀드의 13F 데이터를 ‘집합적’으로 비교하면 시장 전반의 자금 흐름을 포착할 수 있다. 특히 동일 보고 주기를 전·후로 비교하면, 순매수·순매도 추세가 한눈에 드러난다.
• 최신 13F 제출 펀드별 SPY 보유 변동
펀드 | 보유 상태 | 주식 수 변동 | 시장가치 변동 (천달러) |
---|---|---|---|
Bennett Selby Investments LP | 기존 | -6 | +132 |
Priebe Wealth Holdings LLC | 기존 | -176 | -4 |
Level Financial Advisors | 기존 | +209 | +135 |
First Affirmative Financial Network | 신규 | +1,945 | +1,116 |
FARMERS & MERCHANTS TRUST Co OF LONG BEACH | 기존 | -300 | -61 |
McGlone Suttner Wealth Management Inc. | 기존 | +3 | +28 |
Koshinski Asset Management Inc. | 기존 | +70 | +550 |
Bright Financial Advisors Inc. | 기존 | 변화 없음 | +100 |
Brave Asset Management Inc. | 기존 | -3,270 | -855 |
Darrow Company Inc. | 기존 | +12 | +73 |
Birch Hill Investment Advisors LLC | 기존 | +2 | +87 |
Exchange Bank | 기존 | -9 | +82 |
Renaissance Investment Group LLC | 기존 | -16 | +56 |
Ayrshire Capital Management LLC | 기존 | 변화 없음 | +90 |
Shaker Investments LLC OH | 기존 | -12 | +88 |
집계 | -1,548 | +1,617 |
주식 수 기준으로 보면, 5개 펀드가 지난 2분기(2024년 6월 30일) 대비 SPY 보유량을 늘렸고, 7개 펀드는 지분을 줄였다. 또 1개 펀드는 새롭게 포지션을 취해 ‘순진입’했다.
• 501개 펀드 전체 보유 현황 비교
이번에 분석된 전체 501개 펀드 중 SPY를 보유한 펀드들의 집합 주식 수는 2024년 6월 말 7,765,733주에서 9월 말 10,380,687주로 2,614,954주(약 33.67%) 증가했다. 이는 3분기 동안 헤지펀드가 SPY에 순유입된 자금이 적지 않았음을 보여준다.
최대 보유 3대 펀드*2
1) SG Americas Securities LLC – 3,440,221주
2) Greenfield FTC Inc. – 739,455주
3) Brookstone Capital Management – 371,251주
“13F만으로는 공매도·옵션 등 파생거래를 확인할 수 없지만, 각 펀드의 공통 분모를 파악하는 데에는 여전히 유용하다.”
• 전문가 해설 및 시사점
① ETF 수급 동향
SPY는 S&P 500 지수를 추종하는 가장 대표적 상장지수펀드(ETF)다. 헤지펀드의 지분 확대는 미국 대형주 전반에 대한 긍정적 베팅으로 해석된다. 다만 같은 기간 숏포지션 여부가 공개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순베팅 규모를 단정하기는 어렵다.
② 거시환경과의 연관성
연준(Fed)의 금리 경로, 기업 실적 전망, 지정학적 리스크 등 거시 변수에 따라 S&P 500 지수 변동성이 커지고 있다. 3분기 중 실질 지분이 30% 넘게 증가했다는 사실은, 일부 펀드가 약세장 대비 ‘숏커버(공매도 상환)’를 진행했거나, 인덱스 차익거래를 강화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③ 투자 전략 제안
개인투자자는 헤지펀드의 포지션 변화를 시장 심리지표로 참고할 수 있다. 다만 13F 공시는 최대 45일 지연돼 ‘실시간 정보’가 아니라는 점, 숏·옵션 포지션 미공개 등 한계가 존재한다. 따라서 ①최근 금리 방향성, ②주요 기업 이익 가이던스, ③ETF 유입·유출 데이터를 종합적으로 교차 검증한 후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13F Report: 자산운용사가 SEC에 제출하는 분기별 공시서류(Form 13F)로, 상장 주식 및 일부 옵션·채권의 ‘롱 포지션’을 공개한다.
*2 보유 주식 수 기준 상위 3개 펀드. 상위 10개 전체 명단은 원문 링크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