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8월 8일 최진식의 미국 매크로 분석 – 관세·금리·AI 신주류가 뒤흔든 ‘단기 변곡점’

서론: 혼조장에서 읽어내야 할 세 줄기 신호

뉴욕증시는 8월 7일(현지시간) 다우존스 –0.51%, S&P500 –0.08%, 나스닥 +0.32%로 엇갈렸다. 장중 변동성은 1.8%포인트에 달했고, 개별 종목은 +30%부터 –25%까지 널뛰었다. 연준의 9월 완화 기대(인하 확률 91%)·트럼프발 관세 쇼크·기업 실적 시즌이 동시다발로 충돌한 결과다.

단기적으로 시장은 세 개의 축에서 균형점을 모색 중이다.

  1. 정책 축: ① 10% 일괄·50% 차등 관세 시행 ② 연준의 매파적 완화(두 차례 동결 후 소폭 인하 시그널) ③ 백악관·의회 예산 협상
  2. 실적 축: Big Tech(메타·아마존) + 중간주(핀터레스트·포티넷)의 희비 교차, AI·의료·방산의 폭발적 수주
  3. 심리 축: 인플레 체감 악화, 실업지표 냉각, 401(k) 구조 변동에 따른 자금 재배치

1. 거시·정책 브리핑: 관세와 금리, ‘엇갈린 조합’

1) 관세: 10%+α 모델과 그 파급

트럼프 행정부는 8월 7일 0시부로 10% 일괄 관세와 국가별 가산세(최대 50%)를 발효했다. 상호주의 관세란 명분이지만, 사실상 인플레를 수입하는 구조다. 블룸버그 이코노믹스 추정치에 따르면, CPI에 0.4%p~0.9%p 상방 압력을, 성장률(GDP)에 –0.3%p를 각각 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단기 내 시장 영향은 다음과 같다.

  • 기술·가전·완성차 섹터의 코스트 푸시 → 4분기 실적 가이던스 하향 압력
  • 국채 10년물 금리 +8bp(7일 기준 4.24%) → 밸류에이션 매트릭스 재조정
  • 원/달러 환율 1,395원 돌파 위험 → 외국인 순매도 전환 트리거

2) 연준: ‘매파적 완화’ 시나리오

주간 신규 실업수당 청구 22만6,000건(+7,000건), 계속 실업수당 197만4,000건으로 노동시장 냉각 시그널은 분명하다. 샌프란시스코 연은 데일리 총재는 “단기 완화 필요성”을, 애틀랜타 연은 보스틱 총재는 “연내 25bp 1회”를 언급했다. CME 페드워치 기준 9월 인하 확률은 40%→91%로 급등했다.

즉, 금리 인하 기대 → 밸류에이션 지지가, 관세 인상 → 실적 하향·물가 상방이 상쇄되는 정책 미스매치 구간이 당분간 지속된다.


2. 섹터·실적 스캐닝: ‘결정적 격차’가 벌어진다

2-1. AI·클라우드: 구조적 우위 지속

기업 2Q 매출 YoY 가이던스 주가(8/7) 코멘트
오픈AI(비상장) +160% GPT-5 전면 개방 AI 트래픽 7억 MAU 돌파
애플러빈 +77% 3Q 상향 ▲9% 외부결제·AI 광고 결합
아마존 AWS +23% 연방 10억$ OneGov ▲3% 정부 클라우드 독주

투자포인트: AI 인프라 증설과 클라우드 장기계약(10억 달러) → 매출 가시성 확보. 단기 변동성 대응 전략(1) 데이터센터 REIT + GPU 공급망 ETF 바스켓 매수, (2) AI 사설망 SW 주식 롱, (3) 반도체 코스트 상승 헤지로 BYD·삼성전자 숏 조합이 유효하다.

2-2. 소비·플랫폼: Z세대·히스패닉 변수

  • 핀터레스트: EPS 컨센서스‐2c 미달→ After 시장 –10%. 그러나 MAU 5.78억(+11%)과 3Q 매출 가이던스 +12% 감안 시 오버슈트 가능.
  • 잭 인더박스: 동일점포 –7.1%. 히스패닉 소비 위축이 지역 편중 리스크로 현실화. 텍사스·캘리포니아 비중 높은 외식·리테일에 주의.
  • Duolingo: AI발 사용자 급증→ 주가 30% 폭등. MAU 탄력성 + 유료전환율이 구조적 개선.

2-3. 바이오·헬스케어: GLP-1과 디지털헬스

일라이 릴리 EPS 서프라이즈에도 –13% 조정. 경구 GLP-1 톤다운(체중 –12%)이 차익실현 트리거. 반대로 오마다 헬스·펠로톤은 GLP-1 관리 프로그램·헬스 구독 모델 확대로 매출 가속.


3. 단기(1~5일) 시장 전망: 시나리오 매트릭스

변수 Bull Case Bear Case
조건 지수 영향 조건 지수 영향
관세 동맹국 협상 타결
브라질·인도 완화
S&P +1.2% 멕시코 추가 인상
중국 휴전 실패
S&P –1.5%
연준 파월 “데이터 의존” 강조
9월 25bp 인하 유효
Nasdaq +1.8% 매파 위원 발언↑
9월 동결 가능성 회귀
Nasdaq –1.3%
실적 엔비디아, 월마트 가이던스 상향 다우 +0.8% 포티넷·핀터레스트 가이던스 추가 하향 라셀2000 –2.0%

베이스라인(60% 확률): 관세 추가 뉴스 공백 + 연준 매파적 완화 유지 + 엔비디아 실적 대기 → 변동성 지수(VIX) 15~16 박스권, S&P500 5,440±60선 횡보.


4. 투자 전략: ‘코스트 풀’ 회피와 테마 시프트

4-1. 코스트 인플레 회피 바스켓

관세가 코스트 구조에 직접 반영되는 전자·의류·완성차 섹터는 단기 변동성을 피할 필요가 있다. 경과 반영 YTD 코스트 상승률 15% 미만 기업(AMD, 마이크론, 코스트코 도매) 위주로 스프레드 롱/숏 포지션을 제안한다.

4-2. AI 슈퍼사이클 전용 ETF 리밸런싱

AI 인프라 지출 CapEx(5,000억 달러, 엔비디아 추정)가 상반기 대비 18% 늘어날 전망. SMH(반도체 ETF)·IGV(소프트웨어 ETF) 외에 데이터센터 REIT ETF(SRVR) 편입 비중을 5→10% 확대 권고.

4-3. 디지털 헬스–GLP-1 연계

비만·당뇨 시장 규모 2030년 1,800억 달러. 약가 규제·특허 만료 리스크를 고려해 약물(릴리·노보) 롱 + 플랫폼(오마다·펠로톤) 롱 + 헬스케어 인플레 헤지(UNH 숏) 조합.


5. 결론: ‘명·암·회색지대’를 구분하라

이번 주 시장은 정책·실적·심리 세 축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움직이며 변동성이 증폭됐다. 단기적으로는 관세 뉴스 플로우와 9월 FOMC 전까지의 연준 발언이 변동성 레인지를 결정할 것이다.

  • 관세 이슈는 실적 하향–물가 상향으로 작용하지만, 동맹국 예외·협상 타결 여부에 따라 충격이 단계적으로 조정될 가능성이 높다.
  • 연준은 ‘매파적 완화’라는 모순적 스탠스를 고수하며, 단기 금리 인하 기대를 유지해 시장 밸류에이션을 떠받치고 있다.
  • 실적 시즌은 AI·클라우드·방산 vs. 소비·사이버보안·플랫폼‘결정적 격차’를 확인시켰다. 섹터·테마 간 디커플링이 당분간 지속될 공산이 크다.

투자자는 ‘명(明): 구조적 성장’과 ‘암(暗): 구조적 역풍’을 구분하고, 이 둘 사이에 존재하는 회색지대에서 변동성 매매로 대응해야 한다. 금주 남은 일정(고용·CPI 세부·중국 수출입·기업 가이던스 수정)을 면밀히 체크함으로써 단기 리스크를 관리하면서도 AI·클라우드 슈퍼사이클이라는 거대 흐름을 놓치지 않는 전략이 유효하다.

— 최진식, 2025년 8월 8일 새벽 3시 뉴욕·서울 동시 집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