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8월 5일 최진식의 미국 매크로 분석 – 단기 변동성 속 AIㆍ관세 변수의 분수령

1. 이번 주 개장 직후 미국 시장 진단

뉴욕 증시는 지난 금요일 급락 충격 이후 단기 저가 매수세가 유입되며 월요일(현지시간) 비교적 강하게 반등했다. S&P 500 지수는 1.4% 반등해 5,200선을 회복했고, 나스닥100은 1.9% 급등해 다시 19,000선 위에 올라섰다. 하지만 다우지수는 더블 톱 패턴을 만든 뒤 20일 이동평균선 부근에서 재차 저항을 받는 등 기술적 경고음이 여전히 남아 있다.

  • 금요일 급락 트리거 : 7월 고용보고서 부진, 트럼프發 관세 경고, 인도ㆍEU 무역 리스크
  • 월요일 반등 트리거 : 연준 9월 인하 기대 급증(FF선물 90%), 빅테크ㆍ반도체 실적 호조, 저가 매수
  • 주요 리스크 : AI 랠리 과열 논란, 美·EU 관세 협상 지연 가능성, 美 고용 둔화 → 소비 위축 전이

2. 단기(향후 1주일) 핵심 변수 Road Map

일자 이벤트 시장 촉발 가능성
8/5(화) 6월 무역수지, FOMC 위원 연설(3건) 관세·달러지수 변동성 ↑
8/6(수) ISM 서비스업 PMI, PCE 수정치 스태그플레이션 vs 연착륙 구도 재확인
8/7(목) 주간 신규실업수당, 2분기 생산성·단위노동비용 노동시장 냉각 속도 재점검
8/8(금) 미 국채 10·30년물 입찰, 트럼프 긴급 관세 회견 가능성 장기금리·달러·주가 동반 변동 우려

3. 주요 뉴스 인용 & 시사점

3-1) AI 플랫폼 실적 서프라이즈

<CNBC 8/4> 팔란티어가 분기 매출 10억 달러를 처음 돌파, 연간 매출 가이던스를 상향하며 시간외 4% 급등. 이는 AI 테마에 대한 실적 근거를 제시해 기술주 저점 매수 명분을 강화했다.

“올해 남은 2개 분기에도 20%대 성장 모멘텀이 지속될 것.” — 알렉스 카프 CEO

  • 단기 관점 : AI ETF(티커 : BOTZ, ROBO)로 패시브 자금 재유입 예상
  • 리스크 : 밸류에이션(팔란티어 선행 PER 276배) 과열 논란

3-2) 트럼프 “인도에 관세 대폭 인상” 경고

<CNBC 8/4 트루스 소셜 캡처> 트럼프 전 대통령은 인도의 러시아 원유 재판매를 문제 삼으며 인도산 수입품 전반에 관세를 대폭 상향하겠다고 밝혔다.

  • 단기 : 인도 ADR(Infosys·Wipro)·미 섬유·부품주 변동성 확대
  • 중기 : S&P 500 기업의 인도 매출 비중 5% 안팎 → EPS 역풍 0.3%p 우려

3-3) 다우지수 ‘더블 톱’ 완성 – BoA 기술경고

BoA 차티스트는 다우 4만2,500선 이탈 시 4만1,800 → 4만800달러 순으로 밀릴 수 있다고 분석. 20일선·200일선 동시 시험대에 올랐음.


4. 데이터로 보는 시장 체력

4-1) 기술적 Breadth

월요일 종가 기준 S&P 500 구성종목 중 52주 신고가 갱신 비율 11% → 금요일(4%) 대비 개선. 그러나 신저가 비율 6% 동반 확대. ‘지수 반등 vs 지표 확산 둔화’롱·쇼트 동시 전략이 유효.

4-2) 매크로 혼조

지표 예상 결과 주가 영향
7월 비농업 고용 +11만 +7만3천 금리 인하 기대 ↑, 경기 둔화 우려 ↑
6월 공장주문(모멘텀) -5.0% -4.8% 제조주 피크아웃 경계
10년 국채 금리 4.19% (1개월 최저) 주택건설주 반등, 은행 마진 압박

5. 단기(향후 1 ~ 5 일) 전망 & 투자전략

5-1) 베이스라인 시나리오 (확률 55%) — ‘관망 속 순환매’

  • 다우 4만2,500선 방어, S&P 500 5,150 ± 1% 박스권
  • 주도주 : 반도체 (AI · HBM 공급난 수혜) → 방산 → 리츠·유틸리티 순환
  • 전술 : 낙폭과대 빅테크 + 방어주 바벨 포트

5-2) 약세 시나리오 (확률 30%) — ‘더블 톱 하락 추세 가속’

  • 촉발 요인 : 트럼프 관세 실행 or ISM 서비스업 쇼크 → 다우 4만1,800선 하회
  • S&P 500 4,950 (200일선) 지지 테스트, VIX 25 급등
  • 전술 : 인버스 ETF(PSQ·DOG) 또는 S&P 500 풋옵션 헤지, 금·달러 일정 비중 확보

5-3) 강세 시나리오 (확률 15%) — ‘빅테크 실적 랠리 재점화’

  • 팔란티어·엔비디아 AI 수주 폭발 + 금리 4% 아래 안착
  • 다우 4만3,000 복귀, S&P 500 5,300 신고가 재도전
  • 전술 : AI Pure-play (NVDA, SMCI), 클라우드 ETF (WCLD) 단기 트레이딩

6. 섹터별 체크리스트

6-1) AI & 데이터 센터

• 팔란티어 호실적 → AI 총수요 재확인.
• H100 /H200 GPU 리드타임 여전히 6~9개월.
• 관련 ETF : BOTZ, AIQ — 단기 5% 이내 분할매수 권고.

6-2) 방산·우주

• Kongsberg(노르웨이) 1.18억 달러 美 해병대 수주 → 중형 RWS 체계 투자 매력.
• V2X · RTX · BA: 국방예산 재확대 수혜.

6-3) 헬스케어(G LP-1 vs 복합 조제)

• Hims & Hers 하락 : FDA 지침 재확인 전까지 비중 축소 권고.
• 버텍스 — 낙폭 과대 반등 가능 (주력 파이프라인 견조).

6-4) 원자재·커머더티

• 원당·설탕 : 중국 수입 폭증 + ISO 공급 부족 → 가격 바닥 다지기.
• 천연가스 : 미국 재고 상단, 기온 하락 → 단기 반등 탄력 제한.


7. 결론 : 단기 전략 키워드 = “침착한 선택적 베팅

① 다우 4만2,500선, S&P 500 5,150선은 기관 알고리즘 매수 / CTA 플로우가 집중되는 핵심 지지 구간이다.
② 트럼프 관세·유럽 보복 관세 유예 기간(6개월)은 ‘타임 버퍼’를 제공하지만, 언제든 헤드라인 리스크가 재점화될 수 있다.
전술적 분할매수 + 퀄리티 스톡 가중 전략이 적절하다. 테슬라 삼각수렴·다우 더블 톱 등 기술적 경고음에도 불구하고, AI · 방산 주도 업종이 구조적 매력을 유지하기 때문이다.

※ 본 칼럼은 필자(최진식)의 개인적 의견이며, 투자 손실의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