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론: 월가가 주말을 보내며 마주한 세 가지 충격
뉴욕증시가 다시 사상 최고치를 찍을지, 아니면 숨 고르기에 들어갈지 기로에 섰다. 첫째, 미국 에너지부가 AMD와 10억 달러 규모 초대형 AI 슈퍼컴퓨터 계약을 맺으며 AI 인프라 투자 경쟁에 기름을 부었다. 둘째, 연방정부 셧다운이 27일째 장기화되자 최대 공무원 노조가 “조건 없는 CR을 즉각 통과시키라”고 의회에 압박을 가했다. 셋째, 미·중 무역 협상 ‘틀 합의’ 소식이 전해지며 관세 리스크 완화 기대와 러시아의 장거리 핵추진 미사일 시험이 뒤엉켜 지정학 변동성이 재점화됐다.
■ 1장. 거시 지형도: 매크로·유동성·정책 세 관점
1) 매크로 모멘텀
- 미국 3분기 GDP 4.8 %: 소비가 견조하나 고정자산투자 -0.5 %로 둔화 신호
- PCE 물가 2.4 %로 둔화, ‘골디락스 시나리오’ 기대 ↑
- 9월 산업생산 +0.3 % & CapEx 주문지표 -1.1 % : 제조업 혼조
2) 유동성 스냅샷
SOFR–FF 금리 스프레드가 8~9bp로 좁혀지며 레포 시장 긴장 완화. CME 선물 대형 블록 거래(40,000계약)는 “QT 종료 베팅”으로 해석돼 단기 자금비용 하락 = 주식 밸류에이션 프리미엄 가능성을 시사한다.
3) 정책 이벤트
| 일정 | 내용 | 시장변수 |
|---|---|---|
| 10/29 | FOMC | 0.25 %p 인하 90 % 반영 |
| 10/30 | 트럼프–시진핑 회담 | 대중 추가관세 철회 여부 |
| 11/5 | 버크셔 3Q 실적 | 승계 관련 발언 |
| 11/6 | 테슬라 주주총회 | 머스크 1조$ 패키지 |
■ 2장. 섹터별 미시 흐름: AI·소비·금융·원자재
① AI 인프라: “CapEx = 주가” 공식 가속
마이크로소프트 586달러·알파벳 300달러·메타 970억$ 등 CapEx 상향이 줄줄이 발표됐다. 퀄컴이 AI200·AI250으로 데이터센터 시장에 참전하면서 GPU 과점→NPU·ASIC 다원화 시프트가 육안으로 확인됐다. 다음 3~4거래일은 반도체 공급망 주도 반등이 유효하다. 단, 주말 사이 중국이 AI용 GPU 수입허가를 일시 보류했다는 로이터 단독 기사는 차익실현 트리거가 될 수 있다.
② 소비: 디왈리 ‘금 주화 대폭발’이 시사하는 것
인도 내 금 ETF 순유입 6배, 미국 SPDR Gold Trust 는 5거래일 연속 순매수. 실질금리 하락+지정학 불안 조합이 금 가격 $4,000 지지선을 강화했다. 단기 시장(이번 주)에서는 금 채굴주 ETF(GDX) 강세가 S&P 보완재 역할을 수행할 공산이 크다.
③ 금융: 지역은행 M&A 러시
헌팅턴( HBAN )–카던스( CADE ) 74억$ 올-스톡 딜, 피프스 서드–코메리카 109억$ 등 슈퍼 리저널 뱅크 재편이 속도를 낸다. 스프레드 압축 + 비용 시너지 기대감으로 KBW 나스닥 지역은행지수(KRX) 3주 누적 11 % 반등. 금리 인하–예대마진 축소가 현실화될 때까지는 투자매력 지속.
④ 원자재: 러시아 미사일 시험 > 유가 +3 %
WTI 선물 62→64$ 상향 갭. 그러나 미·중 틀 합의 & 중국 9월 산업이익 +21.6 % 드라이브로 산업금속(구리·알루미늄) 반등. 하드·소프트 커모디티가 동반 랠리를 연출할 경우 인플레이션 기대가 다시 살아날 수 있으므로, 이번 주 후반 소비자신뢰지수·미시간 기대인플레 주시.
■ 3장. 테마 딥다이브: “CapEx 쇼크” 이후 3~4거래일 리스크 맵
1) 베타(β) 노출
엔비디아·AMD·브로드컴·마이크론·TSMC ADR로 구성된 ‘H100 공급망 바스켓’의 3일 평균 베타는 1.34 → 1.51로 급등. 미려칠 변동성 지수(VIX) 14p→16p 구간에서는 초과상승보다 스피드 조정이 빈번했음을 감안해야 한다.
2) 알파(α) 레이어
룰루레몬·NFL 협업: 럭셔리 팬웨어 등장으로 하이엔드 소비 수요 확인. Five Below: 할로윈·블프 기대감. Qualcomm: 신제품 발표 후 +19 % 급등, ‘소문에 사, 뉴스에 팔’ 경계.
3) 매크로 이벤트와 베팅 구간
| 날짜 | 이벤트 | 포지션 아이디어 |
|---|---|---|
| 10/29(수) | FOMC | 금리인하 직전 은행주 숏커버, 금/비트코인 월물 롱 |
| 10/30(목) | 미·중 정상회담 | FX : CNH 콜옵션 매수(관세철회 기대) vs RUB 풋 |
| 10/31(금) | 애플 실적 | SPX 주간 변동성 매수→매도 스프레드 |
■ 4장. 데이터 기반 포지션 신호
1) CFTC 선물·옵션 포지션(10/22 주간)
- 나스닥100 순매수 +1.3만 계약 → 3주 연속 증가 (2023년 11월 이후 최장)
- 금 순매수 +4.1만 계약(6주 신고)
- 원유 순매도 0.8만 계약(투기적 자금 유출)
2) 옵션 스큐(skew)
VIX 25d Put–Call 스프레드 3.5 pt (3개월 평균 4.2 pt 대비 완화) → 단기 ‘탑 헷지(top hedge)’ 감소 → 상방 열기 과열 ? 주의.
■ 5장. 3·5·10 영역 시나리오 매트릭스
아래 표 1은 유동성·정책·실적 변수를 가로축, 지정학·심리 변수를 세로축으로 배치한 시나리오 확률 가중치다. “Base Case”는 연준 25bp 인하, 미·중 관세 철회, 셧다운 단기 봉합을 전제하며 확률 55 %로 설정했다.
| 심리·지정학 | 유동성·정책·실적 | ||
|---|---|---|---|
| 완화+호실적 | 완화+실적실망 | 정책실패 | |
| 긍정·안정 | 55 % | 15 % | 5 % |
| 긴장·불안 | 10 % | 10 % | 5 % |
■ 6장. 전략적 제언: “균형·헤지·모멘텀” 3단 포트폴리오
- 균형(Balance) : S&P Equal Weight ETF( RSP ) + 현금성 자산 20 %
- 헤지(Hedge) : 금 ETF, 10y 미국채 선물(연준 QT 베팅에 역방향)
- 모멘텀(Momentum) : AI 서플라이 체인(퀄컴·마이크론) 50 bp 스프레드 트레이드
■ 결론: “CapEx Boom이 남긴 빈자리”를 읽어라
이번 주 뉴욕 증시는 AI 투자 ‘희열’과 매크로 불확실성 ‘불안’이 교차하는 탱고를 추게 될 것이다. 시장이 가장 민감하게 반응할 변수는 (1) 연준 Dot Plot vs 시장 금리선물, (2) 미·중 관세 발표문 한 줄, (3) AI 설비 투자 가이던스 vs FCF 변화다. 이에 따라 다우·S&P500·나스닥은 3거래일 기준 상승 ±0.7 % 범위 안에서 ‘술래잡기’ 랠리가 유력하다. 다만 캡티브 수요가 확인된 AI 서플라이 체인과 희토류·금 관련 방어섹터는 지수 대비 초과수익을 지속할 여지가 많다.
투자자 조언 : “낯선 불확실성(Unfamiliar Uncertainty)보다 익숙한 고평가(Familiar Expensiveness)가 낫다.” 유동성–정책 ‘톱다운’ 하향 안정 구간에서 방어적 균형 포트폴리오를 유지하되, AI 인프라·금·일부 소비 모멘텀(QSR·저가형 리테일)에는 공격적 트레이딩을 병행하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