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시장 현황 요약
뉴욕 3대 지수가 또다시 사상 최고치를 갈아치웠다. 25일(현지시간) 마감 기준 S&P 500 6,812.47(▲0.79%), 나스닥100 18,225.63(▲1.04%), 다우존스30 39,842.15(▲1.01%)로 동반 랠리를 기록했다. 여기에 12월물 E-미니 선물이 추가 상승하며 위험자산 선호 심리가 재확인됐다.
- CPI 완화 — 9월 헤드라인 전년比 3.0%(예상 3.1%)
- FOMC 금리 인하 기대로 FedWatch 97%
- 10년물 국채수익률 — 3.997%까지 하락하며 장단기 금리차 완화
- ‘매그니피센트 세븐’ — 테슬라만 제외하고 전 종목 ↑, AMD·엔비디아 2%+
2. 거시 경제 및 금융 환경
2-1. 인플레이션 둔화와 통화정책
| 구분 | 2025.08 | 2025.09 | 변동폭 |
|---|---|---|---|
| 헤드라인 CPI(전년比) | 2.9% | 3.0% | +0.1%p |
| 근원 CPI(전년比) | 3.1% | 3.0% | -0.1%p |
| PCE 물가(전년比) | 2.7% | 2.6% | -0.1%p |
헤드라인은 소폭 상승했지만 근원·PCE가 동반 둔화하며 ‘골디락스’ 기대가 확산됐다. CME FedWatch는 10월 FOMC에서 25bp 인하 확률을 97%로 가격에 반영했다.
2-2. 실적 시즌 — 서프라이즈는 많지만 모멘텀은 둔화
블룸버그 인텔리전스 집계 기준, S&P500 기업 143곳 중 87%가 EPS 서프라이즈, 82%가 매출 서프라이즈를 기록했다. 그러나 컨센서스 12개월 선행 EPS 증가율은 +9.1% → +8.4%로 하향 조정되고 있어 “좋지만 점점 덜 좋아지는” 구간에 진입했다.
2-3. 채권·통화 — 장단기 스프레드 축소, 달러인덱스 약세
- 10Y-2Y 스프레드 ‑32bp(전월 ‑47bp) → 침체 시그널 완화
- DXY 103.2 → 101.9로 두 달 만의 저점, 유로·엔 동반 강세
3. 이번 주 핵심 뉴스 키워드
3-1. 미·중 ‘예비 무역 합의’ — 관세 & 희토류 유예
쿠알라룸푸르에서 열린 베센트-허리펑 실무 협의가 “substantial framework”에 합의하며 11월 1일 100% 추가 관세는 일단 유예될 가능성이 커졌다. 희토류 수출 규제 → 미국 대두 보복관세 악순환 고리는 단기 완화될 전망.
3-2. 빅테크 실적 슈퍼위크
MSFT·GOOG·META(수) → AAPL·AMZN(목) 순으로 발표된다. 5개사 시총이 S&P 비중의 28%를 차지하는 만큼, 중기 주가 방향성이 걸려 있다.
3-3. 허리케인 ‘멜리사’ — 석유·곡물 공급 변수
멜리사가 카테고리4로 격상, 멕시코만 정제시설 12%가 가동 중단됐다. WTI 선물은 배럴당 61.5 → 63달러대로 반등 — 단기 인플레 위험 재부상.
4. 섹터별 중기 모멘텀 점검
- 반도체 │ Bullish 유지
NVIDIA +43%(3개월), AMD +38%. 11월 AI 컨퍼런스(GTC Fall) 수주 모멘텀 이어질 전망. 다만 PER 60배 → 66배로 밸류 부담 증대; 10% 조정 시 매수 레벨(중기) 의견. - 필수소비재 │ Defensive 선호
CPI 3% 고착 구간에서 Packaged Food, Beverage 가격전가 성공률↑. WALMART 연간 가이던스 상향. 배당수익률 2.5% 이상 종목 위주로 비중 확대. - 리츠(주거·데이터센터) │ Turn-around 대기
10년물 4% 언더 시 배당 매력 재부각. 특히 Hyperscale DC 리츠는 AI 수요 수혜. 단, 상업용 부동산 오피스 리츠는 공실률 19% 부담 지속. - 스몰캡 │ 전술적 접근
러셀2000 PER 17배(10년 평균 23배 대비 저평가) + 금리 인하 → 랠리 지속 가능. 다만 정부 셧다운 장기화 시 연방 계약 매출 비중이 높은 종목은 변동성 주의.
5. 중기(향후 한 달 내외) 시나리오 로드맵
| 시나리오 | 조건 | 지수 밴드 전망 | 투자 전략 |
|---|---|---|---|
| 1) 연착륙 골디락스 | CPI 2%대 진입 + 빅테크 실적 “inline to beat” + 관세 유예 | S&P 6,900 ~ 7,050 | 모멘텀주·AI ETF 추세매수, 국채 듀레이션 7년 이상 확대 |
| 2) 변동성 확대 | 빅테크 실망 + 허리케인 원자재 쇼크 | S&P 6,500 ~ 6,650 | 스몰캡→대형 디펜시브 로테이션, VIX 콜옵션 헤지 |
| 3) 리스크오프 | 미·중 협상 결렬 + 셧다운 장기화 | S&P 6,200 ~ 6,350 | 현금 20%까지, 금·장단기 국채 Barbell 전략 |
6. 기술적 체크포인트
- 200일 이동평균선 — 6,270p: 지난 8월 급락 이후 3차례 지지 성공
- RSI(14) — 66: 과열 직전 구간, 70 돌파 시 단기 차익 실현 매물 경계
- 선물 미결제약정(OI) — 1,390k: 4주째 증가 (상승 중 건전한 에너지)
- VIX — 13.8: 3년 평균(18.4) 하회, 옵션 프리미엄 낮을 때 헤지 구축 고려
7. 중기 포트폴리오 아이디어
7-1. ‘프리미엄 디펜스 + AI 인프라’ 혼합
- XLK (미국 IT 섹터) — 빅테크 실적 “핵심 모멘텀”
- XLP (필수소비재) — 인플레·침체 헷지
- SMH (반도체) — EUV 장비 주문 & AI 서버 수요
- VNQ (리츠) — 배당률 4.7%, 금리 피크아웃 모멘텀
- GLDM (금) — 지정학 리스크·달러 약세 헤지
7-2. 개별 종목 Top Pick (12개월 목표·Bloomberg 컨센서스)
| 티커 | 업종 | 목표주가 | Upside | 투자포인트 |
|---|---|---|---|---|
| MSFT | 클라우드/AI | $475 | +18% | Azure 성장 + 코파일럿 SaaS ARPU 상승 |
| AMZN | 커머스/클라우드 | $205 | +22% | 물류 자동화 → 마진 레버리지, AWS Gen-AI 서비스 |
| CAT | 산업재 | $390 | +25% | 미 인프라법 + 資源 CAPEX 재개 사이클 |
| ELV | 헬스케어 | $620 | +19% | 메디케어 어드밴티지 가입자 순증세 지속 |
| JAZZ | 바이오/희귀질환 | $180 | +28% | 신경계 수면장애 신약 승인 이벤트(’26 1Q) |
8. 자주 묻는 질문(FAQ)
Q1. S&P500이 단기간 과열된 것 아닌가?
상대강도지수(RSI) 70 근접, 변동성지수(VIX) 14 이하 등 과열 시그널이 맞지만, 중기 차트상 20·50일선 괴리는 3% 미만으로 1996–2021 평균(3.5%) 대비 과도하지 않은 편이다.
Q2. 빅테크 실적이 부진할 경우 전략은?
단기 조정 시 현금 + 방어주 비중 40%로 늘리되, SMH·AI 인프라 ETF 분할 매수로 리바운드 대기.
Q3. 관세 협상이 재결렬될 위험?
현재 ‘예비 합의’는 법적 구속력이 약하다. 11월 10일 기존 휴전 만료 전 추가 연장 플랜이 필요하며, 실패 시 S&P500 10% 이상 급락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9. 결론 및 투자자 조언
이번 ‘엘리트 불마켓’은 인플레 둔화·금리 피크아웃·AI 붐이라는 3대 동력 위에 서 있다. 그러나 ① 빅테크 실적 ② 미·중 관세 ③ 원자재 쇼크 ④ 정부 셧다운 장기화 네 가지 변수가 장밋빛 전망을 언제든 흔들 수 있다.
투자 체크리스트
- 포트폴리오 내 단일 종목 비중 5% 이하 원칙 재점검
- 배당주·단기채·머니마켓펀드 활용 현금 비중 최소 15%
- VIX <15 구간선에서 프로텍티브 풋 저가 구축
- 관세 뉴스 플래시 알림 설정 → 헤드라인 리스크 관리
ⓒ 2025 Global Market Insights.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