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미국 소득 상위 1%에 진입하기 위한 최소 연봉은?

“부자가 된 기분(Feeling rich)”이라는 표현이 있다. 미국에서 연봉 여섯 자리*100,000달러 이상을 의미를 안정적으로 받는다면, 자신이 소득 상위 1%에 속한다고 생각할 법도 하다.

2025년 9월 1일, 나스닥닷컴(Nasdaq.com)의 보도에 따르면 고소득층의 기준을 가르는 잣대는 생각보다 높다. 단순 급여(세전 기준)만으로 미국 상위 1%에 들기 위해 필요한 최소 금액이 얼마인지, 그리고 상위 5%·10%의 임계값은 어느 정도인지를 최근 통계와 함께 분석했다.

이번 기사에서 인용된 수치는 주로 미국 사회보장국(Social Security Administration·SSA)의 2023년 최신 임금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다. SSA는 우리나라 국민연금공단과 유사한 역할을 수행하는 연방 정부 기관으로, 매년 미국 내 임금‧소득 현황을 세밀하게 집계한다.

주목

상위 1%의 연봉 기준선: 79만 4,129달러

SSA 자료에 따르면, 연 794,129달러(약 10억 7,000만 원)를 벌어야 2023년 기준 미국 상위 1%에 진입할 수 있었다. 이는 월 66,178달러, 주간 15,272달러에 해당하는 금액이다.

흥미로운 점은 전년 대비 3.30% 감소했다는 사실이다. 이는 물가·임금 상승률이 중하위 계층에 집중된 결과로, 최상위 1%는 상대적으로 임금 성장세가 둔화됐음을 시사한다.


상위 5%·10%의 소득 문턱

1%에 들지 못하더라도, 연봉 148,812달러(약 2억 원)면 미국 전체 소득자의 상위 10%에 속한다. 두 배가 조금 넘는 352,773달러(약 4억 7,000만 원)을 벌면 상위 5%에 포함된다.

즉, 150,000달러 안팎의 소득자는 미국 가구의 90%보다 많은 돈을 벌고, 350,000달러 초반이면 상위 5%로 올라선다.

주목

주(州)별 상위 1% 기준선: 지역 격차 최대 75만 달러

미국 전체 평균이 79만 달러대라 해도, 거주 지역에 따라 ‘1% 진입선’은 천차만별이다. 개인 금융 전문 매체 GOBankingRates가 2021년 데이터를 2024년 물가로 환산해 분석한 결과, 1% 기준선이 가장 높은 주와 낮은 주의 차이는 무려 75만 달러 이상이었다.

코네티컷 주 전경

톱10 고소득 주

1. 코네티컷 1,192,947달러
2. 매사추세츠 1,152,992달러
3. 캘리포니아 1,072,248달러
4. 워싱턴 1,024,599달러
5. 뉴저지 1,010,101달러
6. 뉴욕 999,747달러
7. 콜로라도 896,273달러
8. 플로리다 882,302달러
9. 와이오밍 872,896달러
10. 뉴햄프셔 839,742달러

이 가운데 코네티컷과 뉴햄프셔의 격차는 35만 달러를 웃돈다. 뉴잉글랜드 지역이 전반적으로 높고, 실리콘밸리가 있는 캘리포니아 역시 100만 달러를 넘긴다.

하위 10개 주

41. 오하이오 601,685달러
42. 아이오와 591,921달러
43. 앨라배마 577,017달러
44. 인디애나 572,403달러
45. 오클라호마 559,981달러
46. 아칸소 550,469달러
47. 켄터키 532,013달러
48. 뉴멕시코 493,013달러
49. 미시시피 456,309달러
50. 웨스트버지니아 435,302달러

최상위인 코네티컷과 최하위인 웨스트버지니아의 차이는 연 757,645달러다. 이는 한국 돈으로 약 102억 원에 해당하는 격차다.


전문가 시각: ‘고소득 = 부자’는 아니다

재무 컨설턴트들은 단순 소득이 아닌 순자산·현금 흐름 관점에서 부(富)를 판단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예컨대 1% 급여를 받아도 생활비·세금·대출 상환비가 과도하면 실질적 자산 축적이 어렵다.

또한 1% 기준선이 하락했다는 것은 상위 계층의 임금 정체 또는 변동성 확대를 의미한다. 고소득 직군일수록 스톡옵션·보너스 등 변동 급여 비중이 높아, 경기 침체 시 타격이 클 수 있다는 분석이다.


미국 1% 진입을 노리는 한국인의 체크포인트

첫째, 미국 체류 또는 원격 근무로 소득을 달러화로 받을 경우, 주(州) 선택이 결정적이다. 주별 세금 체계와 생활비를 고려하면, 텍사스·플로리다 등 소득세가 없는 지역이 매력적이다.

둘째, 환율 리스크를 관리해야 한다. 달러 강세 국면이 지속되면, 원화 기준 자산 효용이 커지지만 반대의 경우도 존재한다.

셋째, 국내에 남는 가족의 건강보험·연금 공백 문제를 검토해야 한다. 미국 소득이 기존 한국 사회보험 체계와 연계되지 않는다는 점을 유념할 필요가 있다.


한편, 이번 기사 말미에 기재된 문구대로 “본 기사에서 제시된 견해는 필진 개인의 의견이며, 나스닥의 공식 입장과는 무관”하다는 점을 덧붙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