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요일 장 초반 대두(콩) 선물, 전일 급등 뒤 3~6센트 약세로 되돌림

대두(콩) 선물이 화요일(현지시간) 장 시작과 함께 3~6센트 하락하며 약보합권으로 출발했다. 전일(월요일)에는 대부분의 만기에서 13~15센트 급등이 나타났으나, 이튿날 개장 초반에는 일부 차익 실현과 기술적 되돌림 구간이 전개되는 모습이다. 오픈 이인터레스트(open interest)15,277건 증가해 신규 매수 유입을 시사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BOT)에 따르면 야간 사이 추가 인도지시(deliveries) 125건이 발행되며 이달 누적이 1,707건으로 늘었다. 한편 cmdtyView 기준 미국 전국 평균 대두 현물가(Cash Bean)12 3/4센트 하락한 $10.56 3/4를 기록했다. 전일 대두박(Soymeal) 선물은 $0.40~$2.90 상승했고, 대두유(Soy Oil) 선물은 90~94포인트 상승 마감했다.

2025년 11월 11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미 농무부(USDA)는 11월 6일로 끝난 주간의 대두 수출 선적1.089 MT(39.99 mbu)로 집계했다. 이는 전주 대비 10.5% 증가했지만, 전년 동기 대비로는 53.9% 감소한 수준이다. 해당 주의 최대 수입국은 파키스탄 186,773 MT였고, 다음으로 이집트 124,162 MT, 인도네시아 94,883 MT 순이었다. 2025/26 판매연도(9월 1일 시작) 누적 수출은 8.889 MMT(326.626 mbu)로 집계되며, 전년 동기 대비 42% 감소했다.

미국 대두 현물가(cmdtyView) 대시보드

주목

Don’t Miss a Day: From crude oil to coffee, sign up free for Barchart’s best-in-class commodity analysis. [https://www.barchart.com/my/barchart-newsletters/commodity-bulletin]

중국 수요의 부재도 눈에 띈다. 최근 몇 주간 미국산 FOB 오퍼(본선인도 기준 제시가격)가 브라질산상회하면서, 미국산 대두의 수출 목적지 목록에서 중국이 계속 빠지고 있다. 이는 가격 경쟁력 측면에서 브라질산에 비해 미국산이 불리해진 상황을 반영한다.

대두박 선물 시세

개별 만기별 종가 및 현재가는 다음과 같다. 2025년 11월물 대두$11.16에 마감해 14 1/4센트 상승했고, 현재가는 보합(unch)이다. 인근 현물(Nearby Cash)$10.56 3/412 3/4센트 상승했다. 2026년 1월물 대두$11.30에 마감해 13센트 상승했으나, 현재가는 5 3/4센트 하락 중이다. 2026년 3월물 대두$11.39 1/413 1/2센트 상승 마감했고, 현재가는 5센트 하락세다.

대두유 선물 시세

주목

배경 및 용어 설명

오픈 이인터레스트(open interest)는 특정 선물·옵션 종목의 미결제약정 수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오픈 이인터레스트가 증가하면, 해당 종목에 신규 자금이 유입되고 있음을 시사하며, 가격 상승 국면에서의 증가는 신규 매수세의 확대 신호로 해석하는 경향이 있다. 다만 가격이 되돌림을 보이는 현재와 같이 단기 조정이 나타날 때에도 오픈 이인터레스트가 유지되거나 확대되면, 추세의 지속 가능성을 점검하는 지표로 활용된다.

인도지시(deliveries)는 실물인수도를 수반하는 선물계약 만기에서, 매도자와 매수자 간 실제 인도 의사를 통지하는 절차를 뜻한다. CBOT 기준으로 전일 야간 사이 125건이 추가되며 이달 누적이 1,707건에 달했다는 점은, 만기 인근 월물에서의 실물 결제 활동이 활발했음을 보여준다.

FOB(Free On Board, 본선인도)는 선적항에서 본선 적재까지의 비용과 위험을 수출자가 부담하는 조건으로, 곡물 무역에서 국가 간 가격경쟁력을 비교할 때 표준화된 기준으로 쓰인다. 최근 미국산 FOB 오퍼가 브라질산을 상회한 것은, 동일 조건에서 미국산이 상대적으로 비싸졌다는 의미로, 주요 수요처인 중국의 구매 전환을 유발할 수 있다.

단위 표기: MT는 metric ton(미터톤, t) 또는 문맥상 백만 미터톤으로 표기되기도 하며, 본문에서는 원문 수치를 그대로 표기했다. mbu는 million bushels(백만 부셸)이다. 선물 호가의 분수(예: 14 1/4센트)는 시카고 선물시장의 관행에 따른 것으로, 1/4센트 단위 호가를 뜻한다.


시장 해설과 시사점

전일의 13~15센트 급등 이후 화요일 개장 직후의 3~6센트 되돌림은, 단기적으로는 과열 해소 및 차익 실현 성격이 짙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픈 이인터레스트의 15,277건 증가추격 매수를 포함한 신규 포지션 형성이 이어졌음을 시사한다. 이는 가격 변동성이 확대되는 구간에서 상하방 모두의 베팅이 늘어날 때도 관찰되지만, 전일 종가 기준 상승 폭이 컸다는 점을 감안하면 매수 쪽 유입의 무게감이 상대적으로 컸을 가능성이 있다.

수출 측면에서는, 주간 선적 1.089 MT가 전주 대비 10.5% 증가했음에도 전년 동기 대비 53.9% 감소했다는 사실이 핵심이다. 파키스탄, 이집트, 인도네시아 등 비중국권 수요처가 선적 물량을 이끌었으나, 중국의 부재는 여전히 수출 회복의 제약으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최근 미국산 FOB 오퍼브라질산을 웃도는 가격대라는 점은, 글로벌 조달에서 미국산의 가격 경쟁력 약화를 방증한다. 그 결과 2025/26 판매연도 누적 수출이 전년 대비 42% 감소한 흐름은 당분간 개선 속도가 더딜 수 있음을 시사한다.

가격 구조를 보면, 근월물의 강세와 이후 현재가의 보합 내지 소폭 하락이 혼재한다. 이는 전일 급등 이후의 가격 재정렬 과정으로 볼 수 있으며, 현물가($10.56 3/4)의 조정과 선물 스프레드의 미세 조정이 동시에 진행 중인 양상이다. 대두박과 대두유의 동반 강세는 분해(crush) 마진과 제품 수요 기대를 반영한 것으로 해석되며, 원료 대두 가격 변동과의 상대 강약을 주시할 필요가 있다.

요약하면, 전일 상승·금일 되돌림이라는 단기 노이즈 속에서도 수출 구조의 제약(중국 부재)가격 경쟁력(FOB)이 중기 추세를 좌우하는 핵심 변수로 보인다. 단기적으로는 기술적 조정과 포지션 재편이 이어질 수 있으나, 오픈 이인터레스트 증가는 이후 방향성 확장을 예고하는 전조로 읽힌다. 투자자와 수급 당사자는 주간 선적 데이터와 FOB 스프레드, 브라질 신작 진행 상황을 병행 모니터링하며, 변동성 확대 구간의 리스크 관리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개별 가격·거래 동향(원문 수치 인용)

2025년 11월물 대두: 종가 $11.16 (+14 1/4센트), 현재가 보합(unch)

인근 현물(Nearby Cash): $10.56 3/4 (+12 3/4센트)

2026년 1월물 대두: 종가 $11.30 (+13센트), 현재가 -5 3/4센트

2026년 3월물 대두: 종가 $11.39 1/4 (+13 1/2센트), 현재가 -5센트


공시 및 고지

기사 게재일 현재, Austin Schroeder는 본 기사에 언급된 어떤 종목에도(직·간접적으로) 포지션이 없다고 밝혔다. 본 기사에 포함된 모든 정보와 데이터는 정보 제공 목적임을 전제로 한다. 자세한 내용은 Barchart Disclosure Policy를 참조할 수 있다 [https://www.barchart.com/terms#disclosure].


More news from Barchart

곡물·면화 트레이더 여러분, 11월 14일을 달력에 표시하십시오 [https://www.barchart.com/story/news/36030715/dear-grain-and-cotton-traders-mark-your-calendars-for-november-14]

면화 가격은 얼마나 더 하락할까? [https://www.barchart.com/story/news/35986655/how-much-lower-will-cotton-prices-go]

중국의 대두·밀 재매입으로 곡물 강세장 재점화, 다음은? [https://www.barchart.com/story/news/35870807/grain-bulls-are-back-in-business-as-china-resumes-soybean-wheat-purchases-what-comes-next]

중국이 미국산 밀을 사길 원한다. 지금 밀 선물을 어떻게 거래할까 [https://www.barchart.com/story/news/35866042/china-wants-to-buy-u-s-wheat-how-to-play-wheat-futures-now]


본 기사에 제시된 견해와 의견은 작성자의 것이며, 나스닥(Nasdaq), Inc.의 견해를 반드시 반영하지는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