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스트 호텔스, 2025년 2분기 매출 8% 급증…예상치 상회

Host Hotels & Resorts(NASDAQ:HST)가 2025년 2분기(4~6월) 매출 15억8,600만 달러(GAAP 기준)를 기록해 전년 동기 대비 8.2% 성장했으며, 월가 컨센서스(15억1,000만 달러)를 7,600만 달러가량 웃돌았다. 이 같은 실적은 럭셔리·업퍼업스케일 포트폴리오 전반에 걸친 레저 수요 회복과 객실 가격 인상 효과가 맞물린 결과로 풀이된다.

2025년 8월 1일, 나스닥닷컴 보도에 따르면, 회사의 희석 주당순이익(EPS)은 0.32달러로 전년(0.34달러) 대비 5.9% 하락했지만 시장 예상치 0.22달러를 크게 넘어섰다. 총조정 EBITDAre(호텔 영업 현금흐름에 해당)는 4억9,600만 달러로 3.1% 증가했으며, 조정 FFO(운용현금흐름)도 주당 0.58달러로 집계돼 애널리스트 전망치(0.57달러)를 근소하게 상회했다.

Host Hotels 이미지

핵심 지표 및 용어 해설

RevPAR(Revenue per Available Room)은 가용 객실당 수익을 뜻하는 호텔 업계 핵심 지표로, 객실 판매 단가와 가동률을 모두 반영한다. EBITDAre는 호텔 운영에서 발생한 세전 영업현금흐름에 감가상각·부동산손익을 더한 값으로, 실제 현금창출력을 가늠하는 데 쓰인다.

2분기 세부 실적

가용 비교호텔 기준 RevPAR은 239.64달러로 3.0% 상승했다. 세부적으로 트랜지언트(개별 레저·출장) 매출이 6.8% 늘며 전체 성장세를 견인했고, 항공 승무원·기업 장기 계약 등 컨트랙트 부문도 두 자릿수 증가세를 보였다. 반면 그룹(행사·컨벤션) 객실 야간 수요는 6.1% 감소했고 관련 매출도 4.9% 줄었다.

지역별로는 Maui가 RevPAR 18.6% 급등으로 두각을 나타냈다. Miami, Atlanta, San Francisco/San Jose, New York 역시 두 자릿수 증가율을 기록했다. 반면 Washington D.C.(CBD), Nashville, Austin은 7.3~40.9% 역신장해 대조를 이뤘다.


수익성 및 비용 구조

조정 EBITDAre는 전년 대비 3.1% 증가했지만, 보험금 회수 감소임금 상승 영향으로 호텔 EBITDA 마진은 31.0%로 1.2%p, GAAP 영업이익률은 7.0% 감소했다. 식음료 마진 역시 34.5%로 1.5%p 하락했다.

GAAP 순이익은 2억2,500만 달러로 7.0% 줄었는데, 이는 운영 부진보다는 보험 합의금 관련 일회성 이익이 줄어든 탓이 크다.


자본 배분·재무 상태

회사는 2분기에 웨스틴 신시내티를 6,000만 달러에 매각하며 2,100만 달러의 처분이익을 실현했고, 자기주식 670만 주(1억500만 달러 어치)를 추가 매입해 남은 자사주 매입 한도는 4억8,000만 달러다. 분기 배당은 주당 0.20달러로 유지됐다.

상반기 CAPEX(투자지출)는 총 2억9,800만 달러였다. 이 가운데 ROI(투자수익률) 기반 리노베이션에 1억900만 달러, 루틴 교체·보수에 1억2,900만 달러, 재건(주로 자연재해 복구)에 6,000만 달러가 투입됐다. 하얏트 변혁 프로그램 관련 지출은 5,400만 달러다.

6월 말 기준 총자산은 130억 달러, 유동성은 23억 달러다. 5월에는 5억 달러어치 만기 채권을 리파이낸싱해 평균 만기를 5.4년, 평균금리를 4.9%로 조정했다.


연간 가이던스 상향

경영진은 2025년 GAAP 매출 전망치를 60억5,400만~61억900만 달러로 상향(전년 대비 6.5~7.5% 성장)했다. GAAP 순이익은 6억100만~6억3,100만 달러, 조정 EBITDAre는 16억9,000만~17억2,000만 달러, RevPAR 성장률은 1.5~2.5%로 제시했다. 올해 CAPEX는 5억9,000만~6억6,000만 달러를 계획하고 있다.

관리 측은 “RevPAR가 1%포인트만 변동해도 연간 순이익·EBITDAre가 3,200만~3,700만 달러 달라질 수 있다”고 언급했다.

주가 관련 이미지

기자 해설 및 전망

보험금 정상화와 인건비 상승이 올해 마진을 누를 가능성이 제기되지만, 회사는 재무 여력이 탄탄해 배당과 자사주 매입을 병행할 수 있는 위치다. 최근 리노베이션 완료 호텔이 RevPAR 지수 8.9p 상승을 기록한 만큼, CAPEX의 질(質)이 향후 수익성 개선의 핵심 변수로 꼽힌다. 또한 도시별 수요 편차가 확대되는 환경에서 지리적 다변화 전략이 돋보인다. 다만 워싱턴 D.C.·오스틴 등 일부 시장의 약세가 장기화할 경우 가이던스 달성 여부가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

기사 말미의 투자 조언 및 특정 종목 추천 링크는 모틀리풀(Stock Advisor) 제공 자료로, 본문 정보와는 별개다. 모틀리풀·나스닥 및 작성자는 HST 주식을 보유하고 있지 않으며, 관련 의견은 단순 참고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