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월 의장 ‘완화 기조’ 시사에 달러 급락·금값 급등…연준 금리 인하 기대 고조

[환율·귀금속 시장 동향]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제롬 파월 의장이 “노동시장의 하방 위험이 확대되고 있으며, 위험 균형 변화에 따라 통화정책 조정이 필요할 수 있다”고 밝히자 달러화가 1.5주 만의 고점에서 급반락했고 국제 금 가격은 즉각 상승세로 전환했다. 달러화 약세와 함께 10년물 미 국채 수익률도 1주일 만의 최저치인 4.248%로 떨어져 안전자산 선호 현상이 한층 강화됐다.

2025년 8월 22일, 나스닥닷컴 보도에 따르면, 뉴욕 외환시장에서 달러인덱스(DXY)는 전장 대비 0.57% 하락했다. 파월 의장의 ‘비둘기파적(dovish)’ 발언이 투자 심리에 결정적인 변곡점을 제공한 덕분이다. 그는 “실업률이 안정적인 지금이야말로 신중히 정책 변화를 검토할 수 있는 시점”이라며, ※비둘기파(dovish)정책 완화를 선호하는 통화정책 기조를 가리키는 용어를 시사했다.

달러인덱스 그래프

보스턴 연은 수전 콜린스 총재는 같은 날 “연준의 정책 스탠스는 미세하게 긴축적이며, 현재 정도가 적절하다”고 말했으나, 시장은 파월 의장 발언에 더 큰 무게를 두었다. 이에 따라 연방기금선물(FF) 시장에서는 9월 16~17일 FOMC 회의에서 25bp(0.25%포인트) 인하 가능성을 90%로, 10월 28~29일 추가 인하 가능성을 55%로 반영했다.


유로·엔 강세 전환

EUR/USD 환율은 +0.73% 반등하며 2주 만의 저점에서 빠르게 회복했다. 앞서 독일 2분기 GDP가 전기 대비 –0.3%, 전년 대비 –0.2%로 하향 수정되며 유로 약세 요인으로 작용했으나, 달러 급락 효과가 더 컸다.

한편, USD/JPY는 –0.87% 내리며 엔화가 3주 만의 저점에서 반등했다. 10년물 일본국채(JGB) 수익률이 16년 만의 최고치인 1.627%로 올라 금리 차 축소가 엔 강세를 지지했다. 같은 날 발표된 7월 일본 소비자물가지수(CPI)는 헤드라인 3.1%, 근원(식품·에너지 제외) 3.4%로 전월과 동일해, 시장이 예상했던 완화 신호 수준에서 벗어나지 않았다.

유로화 차트
엔화 차트


귀금속, 안전자산 수요 속 급반등

뉴욕상품거래소(COMEX)에서 12월물 금 선물은 온스당 22.90달러(+0.68%) 오른 반면, 9월물 은은 0.461달러(+1.21%) 상승해 1주 최고가를 기록했다. 초기에는 달러 강세에 눌렸으나, 파월 발언 직후 귀금속 전반이 ‘V자형’ 반등을 펼쳤다.

특히 ETF(상장지수펀드) 내 금 보유량이 2년 만의 최고치, 은 보유량이 3년 만의 최고치에 각각 도달하며 기관 자금 유입이 확인됐다. 시장 참여자들은 미국 정치 불확실성—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연준 이사 리사 쿡의 사임을 요구한 사안—과 해외 지정학 리스크(우크라이나·중동 분쟁)도 안전자산 매력을 높인다고 분석한다.

금 선물 차트


우크라이나 전쟁 종전 협상…경제적 파급

조 바이든 미 행정부에서 국무·안보라인을 이끌고 있는 빈스 부통령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종전 협상이 “우크라이나 안보 보장 및 러시아가 통제하려는 영토 범위”를 중심으로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현재 미국은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 간 회담을 추진하고 있으며,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은 “회담이 성과를 내면 3자 정상회담을 고려하겠다”고 말했다. 결과에 따라 관세·유가·유럽 안보 등 거시 리스크 전반에 중대한 변동이 예상된다.


전문가 진단 및 용어 해설

“정책금리 인하 전망이 달러 약세→금 강세라는 전형적 흐름을 재현했다. 하지만 10월 추가 인하 가능성이 아직 55% 수준에 그치므로, 지표·연준 발언에 따라 변동성이 재차 확대될 가능성이 높다.” – 뉴욕 소재 글로벌 투자은행 외환 담당 이코노미스트

비둘기파(dovish): 통화 완화를 지향해 금리 인하나 자산매입 확대를 선호하는 정책 성향.
25bp(bp: basis point): 0.25%포인트.
달러인덱스(DXY): 주요 6개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지수화한 지표.
연방기금선물(FF): 투자자들이 연방기금금리(Fed target rate) 전망에 따라 거래하는 선물 상품.

앞으로 시장은 8월 말 예정된 잭슨홀 미팅, 9월 고용·물가 지표, 그리고 9월 FOMC 결과에 따라 재차 방향성을 탐색할 전망이다. 특히 미국 장기국채 금리가 4% 중반에서 추가로 내려앉을 경우, 달러 하락과 안전자산 랠리가 동시 진행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 2025 Barchart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