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행정부, 틱톡 미국 자산 매각 시한 또다시 연장할 듯

워싱턴발 —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중국 바이트댄스(ByteDance)에 부과한 틱톡(TikTok) 미국 자산 매각·처분 최종 기한을 다시 한번 미룰 것으로 보인다. 로이터통신이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한 내용에 따르면, 오는 9월 17일로 예정됐던 기한이 네 번째로 연장될 가능성이 커졌다는 것이다.

2025년 9월 14일, 로이터 통신의 보도에 따르면, 이번 유예 조치(reprieve)는 2025년 1월까지 틱톡 매각 또는 폐쇄를 요구한 미 연방법의 집행을 또다시 늦추는 조치가 된다. 이는 1억7,000만 명의 미국인이 사용하는 인기 단편 동영상 플랫폼을 즉각 중단시키는 데 대한 행정부의 부담을 드러낸 것으로 해석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미국 기업들이 틱톡 인수를 위해 대기 중”이라며 “필요하다면 시한을 추가로 연장할 수 있다”고 언급한 바 있다.

주목

트럼프 대통령은 2024년 대선 과정에서 젊은 층 공략을 위해 틱톡을 적극 활용해 왔으며, “앱을 살리고 싶다“고 공개적으로 밝혀 중국 강경파들과 입장을 달리했다.

매각 협상 지연의 배경

틱톡의 핵심 경쟁력인 추천 알고리즘은 인수 협상의 최대 난제다. 미국 기업이 해당 알고리즘을 공유받으려면 중국 정부의 승인이 필수적인데, 베이징은 기술 유출을 우려해 까다로운 심사 태도를 유지하고 있다. 본래 올봄에는 ▶틱톡 미국 사업부를 분할해 ▶미국 투자자가 지배 지분을 보유하는 방안이 추진됐으나,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산 제품에 대해 고율 관세를 예고하자 중국이 반발하며 협상이 전면 중단됐다.

현재 스콧 베센트 미국 재무장관제이미슨 그리어 미 무역대표부(USTR) 대표는 9월 둘째 주 스페인에서 허리펑 중국 부총리·리청강 중국 상무부 부부장과 양자 무역협상을 진행 중이다. 이번 회담 의제에 틱톡 문제가 정식으로 포함되면서 시한 연장 명분이 확보됐다는 분석이 나온다. 다만 소식통은 “9월 17일 이전에 합의가 타결될 가능성은 희박하다”고 전했다.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시한 연장 연혁

1 2025년 1월 20일 두 번째 임기를 시작한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직후 틱톡 강제 매각을 당장 집행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이후 ▲4월 초 ▲5월~6월 ▲6월~9월 등 모두 세 차례 시한을 유예했으며, 이번이 네 번째 연장이 된다. 민주·공화 양당 모두 틱톡 매각 의무화를 법으로 명시했기 때문에, 잇따른 연장은 의회의 불만을 살 가능성도 있다.

기술·안보 우려와 시장 영향

워싱턴의 중국 강경파들은 틱톡이 ▶사용자 정보 수집을 통한 사찰 ▶동영상 추천 알고리즘을 활용한 여론 조작 ▶콘텐츠 검열 등을 수행할 수 있다고 우려한다. 실제로 미국 외에도 유럽연합·영연방 일부 국가가 공공기관 단말기에 틱톡 설치를 금지한 바 있다. 반면, 거대 소비자층을 보유한 틱톡을 전격 차단할 경우 미국 IT·광고 시장도 타격을 입을 수 있어 백악관이 고심하고 있다는 것이 업계 시각이다.

주목

낯선 용어·기관 설명

  • 바이트댄스(ByteDance) – 중국 베이징에 본사를 둔 글로벌 테크 기업으로, 틱톡(TikTok)과 중국 내 버전인 더우인(Douyin)을 운영한다.
  • 추천 알고리즘 – 사용자가 선호할 만한 영상을 분석·제공하는 틱톡의 핵심 기술로, 이용자 체류 시간을 크게 늘리는 중요한 자산이다.
  • 유예 조치(Reprieve) – 법적 의무나 제재의 집행을 일정 기간 미루는 행정 명령 또는 사법 결정이다.

전문가 진단

시장 전문가들은 “기술 탈동조화(Decoupling)가 가속화되고 있음에도, 틱톡처럼 대중화된 플랫폼을 하루아침에 퇴출하기는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고 진단한다. 자산 가치 산정을 위한 실사(Due Diligence)와 국가안보 심사(CFIUS) 절차가 복잡한 데다, 틱톡의 글로벌 매출·사용자 데이터가 중국 서버에 저장돼 있어 실질적 분리 작업에는 수년이 걸릴 수 있다는 분석이다.

향후 시나리오

매각 성사 – 미국 투자자가 알고리즘 일부 접근권만 확보하는 ‘절충안’ 가능성. ② 장기 유예 – 대선 공약 및 정치 일정과 맞물려 시한이 계속 연장될 가능성. ③ 서비스 제한 – 미·중 협상이 결렬될 경우, 애플·구글 앱스토어에서 틱톡을 삭제해 신규 다운로드를 차단할 수도 있다.


편집자 주 : 본 기사는 로이터 원문을 기반으로 했으며, 모든 숫자·인명·지명을 원문대로 유지하였다. 추가 분석과 전망은 국내 독자를 위해 기자가 제공한 전문가적 견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