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지미 키멜이 찰리 커크에 ‘끔찍한 발언’… ABC의 방송 중단 결정은 당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보수 성향 정치운동가 찰리 커크와 관련된 발언을 문제 삼아 ABC 방송국이 ‘지미 키멜 라이브(Jimmy Kimmel Live)’를 전격 중단한 결정을 높이 평가했다.

2025년 9월 18일, 로이터 통신 보도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영국 버킹엄셔의 총리 전용 별장 체커스(Chequers)에서 키어 스타머 영국 총리와 공동 기자회견을 열고 “지미 키멜은 시청률도 형편없을 뿐 아니라, 훌륭한 신사인 찰리 커크에 대해 ‘끔찍한 말’을 했다”고 주장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어 “지미 키멜은 재능이 없는 사람”이라며 “그를 오래전 해고했어야 했다. 표현의 자유라고 부르든 말든, 이번 결정은 ‘재능 부족’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주목

앞서 월트디즈니(Walt Disney)가 보유한 ABC는 17일(현지 시각) 성명을 내고, ‘지미 키멜 라이브’를 방송편성표에서 즉시 제외한다고 발표했다. 해당 프로그램은 키멜이 “보수 진영이 찰리 커크 피격 사건을 정치적 목적에 이용하고 있다”고 지적한 뒤 거센 역풍에 직면했다.

찰리 커크는 9월 10일 미국 유타주 모 대학 캠퍼스에서 저격수(sniper)의 총격으로 사망했다. 주 검찰은 17일 피의자에 대해 ‘사형 구형’을 추진하겠다고 밝힌 상태다. ‘스나이퍼’란 원거리에서 목표물을 정밀 조준해 사격하는 전문 사수를 뜻한다.

“지미 키멜은 재능도 없는데다, 시청률까지 저조했다.” — 도널드 트럼프

트럼프 대통령은 “이 사안을 표현의 자유 논란으로 볼 수도 있지만, 본질은 시청률 부진”이라고 재차 못 박았다.

‘레이트 나이트 쇼’(Late-night show)는 미국 방송사들이 밤 11시대 이후 편성하는 토크·코미디 프로그램이다. 진행자가 시사·정치 이슈를 풍자하며 유명 인사를 인터뷰하는 형식이 일반적이다. 시청률은 광고단가와 직결되기 때문에, 프로그램 성패를 가늠하는 핵심 지표로 꼽힌다.

주목

이번 갈등콘텐츠 제작자의 정치적 발언방송사의 상업적 판단이 충돌한 대표적 사례로 평가된다. ABC가 ‘시청률 부진’을 전면에 내세웠지만, 정파적 압박이 편성 결정에 영향을 미쳤다는 관측도 나온다.※로이터는 관련 사실관계를 독자적으로 검증하였으며, 기사에 제시된 인용문은 모두 당사자 발언 그대로다.

한편 ‘표현의 자유’를 규정한 미국 수정헌법 1조는 민간기업의 고용·편성 결정에는 직접 적용되지 않는다. 그러나 대형 미디어 기업의 판단이 사회적 담론에 미치는 파급력은 상당해, 앞으로도 유사 사례가 반복될 가능성이 제기된다.


전문가 관전포인트

첫째, 2024년 미 대선을 1년 앞둔 시점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방송계 이슈를 적극적으로 언급했다는 점은, 보수 지지층 결집 전략으로 풀이된다. 둘째, ABC와 디즈니가 광고주 반응과 정치적 리스크를 저울질해 프로그램을 중단한 것은, 콘텐츠 산업에서 ‘브랜드 안전’이 얼마나 중요한지 보여준다. 셋째, 커크 피격 사건의 사법적 향배가 정치권 논쟁으로 비화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결국 이번 사태는 ‘미디어 거버넌스’‘정치적 올바름’ 사이에서 균형점을 모색해야 하는 과제를 부각시켰다. 주요 방송사들은 향후 사회적 파장을 최소화하면서도 시청률과 수익성을 지키기 위한 ‘위기관리 매뉴얼’을 재정비할 것으로 전망된다.

※본 기사는 로이터 통신 원문을 번역·가공한 것이며, 추가적인 해석 부분은 필자의 전문적 견해임을 밝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