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중국 투자 논란으로 인텔 CEO 립부 탄 즉각 사임 요구…시장 반응과 전망은?

[워싱턴=로이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세계 최대 반도체 설계·제조 기업 가운데 하나인 인텔(NASDAQ:INTC)의 새 수장을 정면으로 겨냥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한 지 몇 달밖에 지나지 않은 립부 탄(Lip-Bu Tan) 최고경영자(CEO)에게 즉각 사임하라고 공개 요구했으며, 이는 미국 반도체 산업뿐 아니라 미·중 기술 패권 경쟁에도 중대한 파장을 예고한다.

2025년 8월 7일, 로이터 통신 보도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이 문제 삼은 핵심은 탄 CEO의 중국 기술 기업 투자 이력이다. 탄은 벤처투자자로 활동하며 중국 스타트업 수백 곳에 자금을 공급해 왔고, 그 가운데 최소 8개 기업이 중국 인민해방군(PLA)과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돼 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로이터는 지난 4월 해당 사실을 단독으로 보도한 바 있다.

정치권의 압박과 의혹 제기

공화당 상원의원 톰 코튼은 8월 7일 의회 서한에서 “탄 CEO가 과거 설립한 캐던스 디자인 시스템즈(NASDAQ:CDNS)의 중국 내 형사 사건, 그리고 그가 관리했던 펀드의 투자 포트폴리오 전반을 조사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코튼 의원은 또한 “미국의 국가안보를 위협할 소지가 있다”며 정부 차원의 조치를 거론했다.

월가·시장 전문가 반응

로이터가 취합한 주요 인용문은 다음과 같다.

Anshel Sag / Moor Insights & Strategy 수석 분석가
대통령이 특정 CEO의 퇴진을 공개적으로 요구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 탄은 중국 반도체 생태계를 누구보다 잘 이해하고 있어 오히려 미국 및 인텔에 자산이 될 수 있다.”

David Wagner / Aptus Capital Advisors 포트폴리오 매니저·인텔 주주
“일각에선 트럼프 대통령이 ‘너무 많은 분야에 개입한다’고 지적하지만, 이는 그가 미국 내 제조업 회귀를 얼마나 진지하게 추진하는지 보여주는 또 다른 신호다.”

Ryuta Makino / Gabelli Funds 애널리스트·인텔 투자자
“트럼프 대통령이 탄 CEO를 공격하는 주된 이유는 인텔 파운드리(14A 공정)가 외부 고객 확보에 실패할 경우 제조사업을 중단할 가능성을 차단하려는 것으로 보인다. 결국 정치적 행보에 가깝다.”

Blake Anderson / Carson Group 부매니저
“이 같은 외압이 지속되면 인텔의 제조 전환 및 장기 생존 가능성이 기업 내부가 아닌 외부 변수에 좌우될 위험이 커진다.”

Shiraz Ahmed / Sartorial Wealth 설립자 겸 CEO
“이번 일은 전혀 놀랍지 않다. 현 행정부는 이미 여러 차례 민간·기업 CEO를 지목해 압박해 왔다.”

Phil Blancato / Ladenburg Thalmann Asset Management CEO
백악관이 기업 인사권에 직접 개입한다면 바람직한 선례가 되지 않을 것이다. 물론 대통령의 발언은 시장에 무게감을 주지만, 결국 결정은 이사회가 내려야 한다.”

전문가 분석: “미·중 기술전쟁의 그림자”

탄 CEO는 실리콘밸리의 대표적 테크 벤처투자자로, 싱가포르 출신이며 미국 국적을 보유하고 있다. 그는 반도체 설계 자동화(EDA) 업계 1위인 캐던스 디자인 시스템즈를 17년간 이끌며 내부 혁신을 주도했다. 이후 설립한 VC ‘Walden International’을 통해 TSMC(대만), SMIC(중국), 삼성전자(한국) 등 글로벌 반도체 기업의 초기 생태계에 초기 자금을 댄 것으로 유명하다.

업계 관계자들은 “탄의 광범위한 중국 네트워크가 미국 국가안보를 위협한다”는 정치권 주장에 대해 “오히려 기술·인력·투자 흐름을 정확히 아는 인물이 미국 기업에 필요하다”고 반박한다. 특히 TSMC는 세계 1위 파운드리로서 인텔의 경쟁사이자 협력사 역할을 병행하고 있어, 트럼프 대통령이 탄을 압박하는 배경에 TSMC와의 정치·경제적 거래가 자리한다는 관측도 나온다.

추가 해설: 복잡한 용어·기관 이해하기

  • People’s Liberation Army(PLA) : 중국 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 지휘하의 중국군 전력을 통칭한다.
  • EDA(전자설계자동화) : 반도체 회로 디자인을 소프트웨어로 자동화하는 기술로, 칩 복잡성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난 현재 필수 인프라로 꼽힌다.
  • TSMC : 대만의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로, 전 세계 파운드리 시장 점유율 50% 이상을 차지한다.

향후 관전 포인트

첫째, 인텔 이사회가 대통령 요구에 응할지 여부가 단기 주가의 핵심 변수다. 둘째, 탄이 쌓아온 중국 내 지분 투자를 어떻게 처리할지가 국가안보 논란을 가르는 기준이 될 전망이다. 셋째, 만약 사임이 현실화될 경우, 인텔은 파운드리 전환 전략과 AI·고성능 컴퓨팅(HPC) 로드맵을 재조정해야 한다. 넷째, 이번 사안은 앞으로 미국 대통령이 개별 기업 경영진을 직접 압박하는 선례가 될 수 있어, 글로벌 거버넌스 논의에도 불씨를 던졌다.

기자 시각

기술·지정학 환경이 급변하는 가운데, 미국 정부와 기업 사이 힘의 균형이 재조정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의 이번 요구는 ‘중국 리스크’에 대한 정치권 민감도를 반영하지만, 동시에 시장 자율성과 기업 혁신을 훼손할 가능성도 내포한다. 인텔은 오랜 기간 기술 리더십 회복을 위해 과감한 변혁이 필요했으며, 이러한 정치적 충격이 오히려 조직 내부 체질 개선을 가속할 것이란 시각도 있다. 다만 외압이 잦아질수록 우수 인재 유출, 글로벌 파트너십 약화 등 부작용은 피하기 어려워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