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제프리 에프스타인(Jeffrey Epstein) 및 기슬레인 맥스웰(Ghislaine Maxwell) 형사 사건과 관련한 대배심(Grand Jury) 증언 기록을 법원이 공개하더라도 “문제 제기자와 급진 좌파 광신도에게는 어떤 조치도 충분치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2025년 7월 19일, CNBC 뉴스의 보도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소셜미디어 플랫폼인 트루스 소셜(Truth Social)에 “이들은 언제나 ‘더 많이, 더 많이, 더 많이’를 외칠 것”이라며 “MAGA!”라는 구호로 글을 마무리했다.
“법원이 완전하고 확고하게 승인한다 해도, 이들 난동꾼과 급진 좌파는 결코 만족하지 못할 것이다.” — 도널드 트럼프, 2025년 7월 19일 트루스 소셜 게시글 중
법무부·법원과의 미묘한 줄다리기
트럼프의 글은 자신이 요청한 후 18일 미 법무부(DOJ)가 연방판사에 대배심 기록 공개를 청원한 다음 날 나왔다. 그는 17일 “법원 승인 하에 어떤 제한도 없이 모든(all) 증언 기록을 공개하라”고 법무장관 팸 본디(Pam Bondi)에게 지시했다고 강조했다.
이는 사흘 전인 16일 트럼프가 언급한 “관련 있는(pertinent) 증언” 공개 요구에서 표현이 미묘하게 달라진 것이다. 백악관은 두 표현의 차이에 대해 CNBC의 논평 요청에 응하지 않았다.
에프스타인 사건 공개 요구, 왜 끊이지 않나
억만장자 금융가였던 제프리 에프스타인은 2019년 미성년자 대상 성매매 알선 등의 혐의로 연방 기소된 뒤 구치소에서 스스로 목숨을 끊은 것으로 발표됐다. 그러나 그의 네트워크가 미 정치·재계 거물과 얽혀 있다는 의혹이 지속 제기되면서, ‘최대한의 투명성’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여야 모두에서 커지고 있다.
특히 공화당 하원의장 마이크 존슨조차 기록 공개를 촉구하면서, 트럼프의 핵심 지지층 일부도 “약속한 개혁과 투명성을 실천하라”고 압박하는 모양새다. 트럼프가 2024년 대선 패배 후 재집권에 성공한 가운데, 정적(政敵)뿐 아니라 우군(友軍)의 시선도 의식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대배심(Grand Jury) 제도는 무엇인가?
미국의 대배심은 중범죄 기소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일반 시민으로 구성된 배심원단이 증거와 증언을 비공개로 심리하는 제도다. 이 과정에서 진술된 내용은 ‘증언자의 명예·안전 보호’와 ‘수사·기소의 독립성’ 확보를 이유로 통상적으로 비밀 유지된다. 따라서 법원이 동의하더라도 전면 공개는 이례적인 조치로 평가된다.
트럼프, 언론 상대 100억 달러대 소송까지 제기
트럼프는 18일 언론재벌 루퍼트 머독을 상대로 10억 달러 이상의 명예훼손 소송을 제기했다. 머독이 소유한 월스트리트저널(WSJ)이 17일, 트럼프가 에프스타인의 50회 생일에 보냈다는 ‘외설적(bawdy) 편지’를 공개 보도한 데 따른 조치다. 트럼프는 해당 편지가 “내가 쓴 것이 아니다”라며 강력 부인했다.
같은 날 민주당 소속 딕 더빈 상원의원은 “FBI 요원들이 에프스타인 서류 중 트럼프 이름이 등장하는 문건은 ‘플래그(flag)’ 표시하도록 지시받았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이처럼 사건과 관련된 정치적 파문은 점점 더 확산되는 양상이다.
전문가 시각: 트럼프의 ‘MAGA 결집’ 전략
정치분석가들은 트럼프가 “급진 좌파와 난동꾼”이라는 표현을 반복적으로 사용해 지지층을 ‘우리 대 그들’ 구도로 묶으려 한다고 해석한다. 이는 2016·2020년 선거 캠페인에서 효과를 본 전형적 방식으로, 불리한 여론을 ‘외부 공격’으로 돌려 내부 결속을 강화하려는 의도라는 분석이다.
다만 에프스타인 사건은 아동 성범죄라는 민감한 사안인 만큼, 기록이 어디까지 공개되든 파장은 불가피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기록 전면 공개”가 이뤄질 경우, 관련 인물들의 사회·정치적 책임 논의가 본격화될 가능성이 크다.
향후 전망
트럼프는 현재까지 추가 조치 계획을 밝히지 않았지만, 공개 여부를 둘러싼 사법부·행정부·입법부 삼각 공방이 당분간 지속될 전망이다. 대법원으로까지 비화할 경우, 대배심 비밀 원칙과 공공의 알권리 간 충돌이라는 선례를 남길 수 있다.
아울러 트럼프의 미디어 상대 초대형 소송, 민주당의 정치적 공세 등이 맞물리면서 2026년 중간선거 국면까지 장기화할 가능성도 제기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