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대통령, 브라질 식품 관세 면제 행정명령… 커피 선물 급락, 아라비카 7주 최저

커피 선물 가격 급락 (아라비카 7주 최저, 로부스타 동반 하락)

3월 아라비카 커피(KCH26)은 금요일 -7.20센트(-1.91%) 하락해 마감했고, 1월 ICE 로부스타 커피(RMF26)도 -125달러(-2.70%) 내려 마감했 다. 이날 낙폭은 전반적인 공급 기대로 인한 약세 심리와 정책 변수의 급격한 변화가 겹치며 확대됐 다.

가격 하락의 직접적 기폭제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목요일(현지시간) 밤 늦게 서명한 행정명령이었 다. 이 명령으로 브라질산 식품류에 부과되던 관세가 면제되었고, 여기에는 브라질산 커피에 대한 40% 관세도 포함됐 다. 관세 철폐 소식이 전해진 금요일, 선물 시장에서 커피 가격은 즉각적으로 하락 압력을 받으며 아라비카 기준 7주래 최저치를 기록했 다.

2025년 11월 23일, 바차트(Barchart)의 보도에 따르면, 관세 면제 조치 발표 직후 미국 수입업체의 조달 비용 감소 기대가 커지며 선물 가격이 선행적으로 하락했 다. 특히 기존 관세가 유효했던 8~10월 동안 발생했던 미국 내 공급 경색 우려가 완화될 것이라는 인식이 가격을 눌렀다는 평가가 나왔 다.

주목

ICE 아라비카 커피 선물 개요(링크)

하락세는 브라질 헤알화(티커: ^USDBRL)의 약세로 더욱 가속화됐 다. 금요일 헤알화는 달러 대비 5주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고, 통화 약세는 브라질 산지의 수출 유인을 키우는 요인으로 작용했 다. 통상 달러 대비 헤알화가 약세를 보이면 브라질 생산자에게는 달러 기준 수출 가격의 실질 수취가 개선되기 때문에, 수출 확대→국제 가격 압력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미국달러/브라질레알 환율(링크)

기상 여건도 약세 요인을 더했다. 브라질 주요 커피 벨트를 대상으로 한 클리마템포(Climatempo) 예보에 따르면, 다음 주까지 강한 소나기가 이어질 전망이 다. 이는 커피 생육과 결실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어, 중기 공급 기대를 높이는(가격에는 약세인) 변수로 해석됐 다.

주목

다만 로부스타 부문에는 베트남 현지 기상 변수가 지지력을 제공했 다. 베트남 최대 커피 산지인 닥락(Dak Lak) 주폭우로 인해 수확이 지연되고 있으며, 이어질 추가 강우가 작황 손상을 불러올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이에 로부스타 가격은 낙폭이 제한되는 양상을 보였다.

ICE 로부스타 커피 선물 개요(링크)


재고·수급 지표: ICE 재고 축소와 미국 수입 급감

가격 하락과 별개로, ICE 인증 재고 축소는 구조적 지지 요인으로 언급됐다. 미국의 브라질산 커피 수입 관세 부과가 이어지는 동안(철폐 전), ICE 재고는 빠르게 줄었다. 목요일 기준 아라비카 인증 재고39만 8,645포대1.75년 만의 최저를 기록했으며, 금요일 로부스타 재고5,567계약으로 4개월 최저를 나타냈 다. 관세 여파로 미국 바이어들이 브라질산 신규 계약을 해지하면서 미국 내 원두(비볶은 커피) 공급이 빠듯해졌고, 현재 미국 원두 수입의 약 3분의 1이 브라질산이라는 점이 이를 뒷받침한다.

실제 8~10월(관세가 적용되던 기간) 동안 미국의 브라질산 커피 구매는 전년 동기 대비 52% 급감983,970포대로 집계됐다. 이 통계는 관세의 단기적 수급 타이트닝 효과를 보여주지만, 이번 관세 면제 조치가 유지될 경우 수입 정상화와 함께 재고 재축적 과정이 전개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브라질·베트남·글로벌 수급 전망

소마르 메토롤로지아(Somar Meteorologia)에 따르면, 브라질 최대 아라비카 산지인 미나스제라이스(Minas Gerais)11월 14일로 끝난 주간에 강수량 19.8mm를 기록했 다. 이는 역사적 평균의 42% 수준으로, 강수 부족이 이어졌음을 시사하지만, 해당 소식은 주초 가격에 일시적 지지를 제공했 다.

반면 중기적 공급 확대 전망은 약세 재료로 작용하고 있 다. 스톤엑스(StoneX)는 지난 수요일 브라질이 2026/27 마케팅 이어총 7,070만 포대의 커피를 생산할 것으로 내다봤 다. 이 중 아라비카는 4,720만 포대로 추정돼 전년 대비 +29% 증가 전망을 제시했 다.

베트남의 공급 증가는 가격에 하방 압력을 더한다. 11월 6일 베트남 통계청2025년 1~10월 커피 수출이 전년 대비 +13.4% 증가한 131만 톤(1.31 MMT)이라고 발표했 다. 또한 2025/26년 커피 생산은 전년 대비 +6% 증가한 176만 톤(1.76 MMT), 즉 약 2,940만 포대4년 만의 최고치가 예상됐다. 베트남 커피·카카오 협회(Vicofa)10월 24일, 기상 여건이 우호적일 경우 2025/26년 생산이 전년 대비 10% 증가할 수 있다고 전했다. 베트남은 세계 최대의 로부스타 커피 생산국이 다.

공급 타이트닝의 국제적 신호도 존재한다. 국제커피기구(ICO)11월 7일, 현 마케팅 이어(10월~다음 해 9월) 전 세계 커피 수출이 전년 대비 0.3% 감소1억 3,865만 8,000포대라고 밝혔다. 이는 단기적으로 가격을 지지하는 재료로 평가됐다.

브라질의 공식 작황 전망도 혼조를 보인다. 콘압(Conab)9월 4일 발표에서 브라질 2025년 아라비카 생산 추정치를 5월 3,700만 포대에서 3,520만 포대-4.9% 하향 조정했다. 동시에 브라질 2025년 커피 총생산 전망도 5,570만 포대 → 5,520만 포대-0.9% 낮췄 다. 이는 단기·중기 공급 전망에 상충하는 신호를 제공한다.

미국 농무부 해외농업국(FAS)6월 25일 보고서에서 2025/26년 세계 커피 생산이 전년 대비 +2.5% 증가한 1억 7,868만 포대사상 최고를 기록할 것으로 내다봤 다. 세부적으로 아라비카 생산은 -1.7% 감소9,702만 2,000포대로, 로부스타는 +7.9% 증가8,165만 8,000포대로 전망했다. 국가별로는 브라질 2025/26년이 전년 대비 +0.5% 증가한 6,500만 포대, 베트남 2025/26년+6.9% 증가한 3,100만 포대(4년 만의 최고치)로 예측됐다. 기말 재고+4.9% 늘어난 2,281만 9,000포대(2024/25년 2,175만 2,000포대)로 전망했다.


용어·기관 해설

아라비카(Arabica)로부스타(Robusta): 전자는 고지대 재배, 향미가 뛰어나 스페셜티 시장 비중이 크며 가격 변동성이 상대적으로 높다. 후자는 병해충에 강하고 수확량이 많아 즉석커피·블렌딩 등 산업용 수요가 크다.

포대(bag): 국제 커피 시장에서 통용되는 단위로, 통상 60kg을 의미한다. 계약(lot)은 거래소 표준 계약 단위를 가리킨다.

ICE: 인터컨티넨털 익스체인지(Intercontinental Exchange)로, 아라비카·로부스타 선물 및 옵션이 상장돼 있다. 인증 재고는 거래소가 관리·인증한 실물 재고를 뜻한다.

마케팅 이어: 작황·수출 통계를 집계하는 농산물 기준 연도로, 국가·품목별로 시작·종료 시점이 다를 수 있다.

기관 명칭: Conab(브라질 작황예측기관), FAS(미 농무부 해외농업국), ICO(국제커피기구), Somar/Climatempo(브라질 기상 서비스), StoneX(상품·리스크 자문), Vicofa(베트남 커피·카카오 협회).


시장 해석과 실무적 시사점

관세 면제는 미국 수입 원가를 즉시 낮추며, 미국 내 실수요자의 조달 정상화ICE 재고 재축적 가능성을 키운다. 동시에 헤알 약세브라질 강우는 수출·생산 측면에서 공급 우위 신호를 강화하고 있 다.

단기적으로는 정책 완화(관세 면제)와 환율·기상(브라질) 요인이 가격 하방을 주도하고, 로부스타는 베트남 현지 강우라는 상쇄 변수가 일부 버팀목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중기적으로는 FAS의 사상 최고 글로벌 생산 전망브라질 2026/27 대풍 가능성(StoneX)이 구조적 공급 확대를 시사한다. 다만 베트남 수확 지연·작황 손상과 같은 단기 리스크가 현실화될 경우, 로부스타 스프레드 확대와 품종 간 가격 차별화가 나타날 수 있다.


참고: 바차트 코모디티 리포트

원유부터 커피까지, 바차트의 상품 분석 뉴스레터(무료) 구독 안내 문구가 원문에 포함되어 있 다.


공시·면책

기사 게재일 기준, 작성자인 리치 애스플런드(Rich Asplund)는 본문에 언급된 어떤 상품·증권에도 직·간접적인 포지션을 보유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본 기사의 모든 정보와 데이터는 정보 제공 목적이며, 자세한 내용은 바차트 공시 정책을 참조하도록 안내되어 있 다.

또한, 본문에 담긴 의견은 전적으로 필자 개인의 견해로, 나스닥(Nasdaq, Inc.)의 입장을 대변하지 않는다고 명시되어 있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