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2025년 4월 2일 서명한 행정명령 14257호는 ‘해방의 날(Liberation Day)’로 불리며 미국과 주요 교역 상대국 간의 무역 질서를 뒤흔든 조치로 평가된다.
2025년 8월 10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이 행정명령과 국제긴급경제권법(IEEPA)을 활용한 전면적인 관세 부과가 글로벌 금융시장을 순식간에 충격에 빠뜨렸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과거의 불공정 거래에서 미국을 해방한다”고 주장했지만, 실제로는 미국 소비자 가격 상승과 주가 변동성 확대라는 파급 효과를 초래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기본 관세율 10%를 일괄 적용한 뒤, 국가별로 추가 인상·인하·유예를 탄력적으로 운용했다. 이 같은 ‘요요식(pronounced 요-요) 관세 전략’은 시장 참여자에게 예측 불가능성을 안겨 주가 회복 흐름을 반복적으로 꺾었다.
4월 2일 첫 발표 직후 다우존스산업평균지수는 3.98% 급락했고, 나스닥종합지수는 5.97%, S&P500은 4.84% 하락했다. 이는 2020년 코로나19 쇼크 이후 최악의 하루 낙폭이었다.1
관세 발표가 있을 때마다 비슷한 상황이 반복됐다. 2025년 8월 1일 추가 관세 소식이 전해지자 S&P500은 1.6%, 다우는 1.23%, 나스닥은 2.24% 떨어졌다. 불과 2주간 이어져 온 상승세가 단숨에 꺾인 것이다.2
국제긴급경제권법(IEEPA)이란? IEEPA는 1977년 제정된 미국 연방법으로, 국가안보나 경제적 위협 상황에서 대통령이 무역·금융 제재를 단행할 수 있도록 한다. 본래 테러, 대량살상무기 확산 등 긴급 사안에 적용되었으나, 트럼프 전 대통령은 이를 ‘경제 전시(戰時)’ 개념으로 확장 적용했다.
왜 증시는 이토록 민감하게 반응했나
첫째, 관세는 직접적인 비용 인상으로 이어져 기업 실적 전망을 훼손한다. 둘째, 무역 파트너의 보복 조치까지 감안하면 글로벌 공급망 차질도 심화된다. 셋째, 투자자 심리는 불확실성을 가장 싫어한다. 관세 정책이 ‘트윗형’으로 바뀔 때마다 선행 지표인 주가가 먼저 출렁거린다.
시장 전문가의 분석
“관세가 장기적으로 ‘더 나은 협상 카드’가 될 수 있다는 주장에도 불구하고, 단기적으로는 자본시장의 효율적 자원배분 기능을 훼손한다.” — 뉴욕 소재 자산운용사 SRI 파트너스의 수석이코노미스트 앤드루 리
소비자 물가와 기업 실적 언뜻 ‘제조업 보호’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이지만, 실제로는 부품·원자재 수입비용이 상승해 완성품 가격으로 전가된다. 결국 소비자와 기업 모두 비용 부담을 지게 되며, 이는 다시 주가 수익률에 역풍을 일으킨다.
전문가들은 “정책 불확실성 프리미엄”이 계속 높아질 경우, 연준의 통화정책 유연성이 제한되고, 장기국채 금리 변동성도 확대될 수 있다고 본다. 실제 2025년 4~8월 미 10년물 국채 금리는 40bp가량 널뛰기했다.
투자자 행동 전략
1) 포트폴리오 지역 다변화: 미 증시에 국한된 비중을 완화하고 비관세권(예: EU 일부, 인도) 자산으로 분산한다.
2) 디펜시브 섹터 비중 확대: 필수소비재·헬스케어처럼 가격전가력이 높은 업종이 상대적으로 견조하다.
3) 현금 비중 관리: 관세 발표 직후 급락 시 현금을 활용한 분할 매수 전략이 유효할 수 있다.
향후 전망 관세 협상이 ‘제로섬’이 아닌 ‘포지티브섬’으로 전환되지 않는 한, 관세 뉴스 → 변동성 급등 → 단기 하락이라는 ‘악순환 루프’가 반복될 가능성이 높다. 특히 2025년 미국 대선 국면에서는 무역·관세 이슈가 정치적 레버리지로 활용될 공산이 크다.
1) 데이터 출처: 다우존스, 나스닥, S&P Global (2025.04.02)
2) CNN “US Stock Market suffers biggest one-day drop since April” (2025.08.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