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 주요 주가지수 선물이 2일(현지시간) 개장을 앞두고 소폭 상승세를 예고하고 있다. 미국 노동절(9월 1일) 연휴의 여파로 거래량이 평소 대비 낮을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대규모 관세가 법원에서 제동을 맞으면서 투자 심리가 일시적으로 안정된 모습이다.
2025년 9월 1일, 나스닥닷컴 보도에 따르면 미국 연방항소법원은 국제비상경제권법(International Emergency Economic Powers Act·IEEPA)을 근거로 한 트럼프 행정부 관세의 상당 부분이 ‘대통령 권한 남용’에 해당한다는 판결을 내렸다. 이에 따라 중국·멕시코·캐나다 등과의 무역에 부과됐던 관세가 10월 14일까지 효력을 유지하되, 그 이후에는 대법원 상고 여부에 따라 존폐가 결정될 예정이다.
이 판결로 인해 협상 상대국들이 화이트하우스와의 무역 대화를 지연할 가능성이 제기된다. 실제로 일부 시장 참여자들은 “법적 불확실성이 해소될 때까지 대중·대멕시코 협상 일정이 미뤄질 수 있다”는 견해를 내놓고 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자신의 SNS 플랫폼 ‘트루스 소셜(Truth Social)’에 글을 올려 “관세 없이는 미국이 ‘완전히 파괴되고’, 군사력이 즉시 쇠퇴할 것”이라고 강하게 반발했다.
유럽·아시아 경제 이벤트
이번 주 유럽에서는 8월 제조업·서비스업 PMI, 7월 EU 실업률, 그리고 크리스틴 라가르드 유럽중앙은행(ECB) 총재의 연설이 대기 중이다. 또한 피에로 치폴로네·이사벨 슈나벨 이사회 위원도 각각 발언에 나설 예정이라 통화정책 힌트가 주목된다.
프랑스 국채 금리 스프레드는 9월 8일 하원 신임투표를 앞두고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프랑수아 바이루 총리는 1일 인터뷰에서 “이번 투표는 프랑스의 운명이 걸린 중대 고비”라고 밝히며 예산 교착 국면을 끝내겠다고 말했다.
아시아 시장은 중국 8월 공장 가동률 부진과 함께 인공지능(AI) 관련 성장 둔화 우려로 대체로 하락했다. 델(Dell)의 실망스러운 실적 가이던스, 엔비디아(Nvidia)의 중국 매출 전망 하향 등이 투자심리를 압박했다.
여기에 미 상무부가 인텔·삼성·SK하이닉스에 부여했던 첨단 반도체 장비 대중 수출 면제 조치를 철회하며, 중국 내 생산 라인의 첨단화에 제동을 걸었다.
글로벌 자산시장 동향
미 달러화 지수(DXY)는 97.50선을 상회하며 강보합세를 유지했다. 이번 주 발표될 미 8월 고용보고서·ISM 제조·서비스업 지표를 앞두고 관망세가 커진 가운데, 7월 고용 부진과 잭슨홀 연준 의장 발언으로 9월 17일 FOMC에서 25bp 금리 인하 가능성은 84%까지 높아졌다.
금(금현물) 가격은 약 1% 올라 온스당 3,480달러를 호가하며 위험 회피 수요를 반영했다. 반면 브렌트유 선물은 4월 이후 첫 월간 하락을 기록한 뒤 추가 조정세를 보였다.
지난주 금요일 뉴욕증시는 물가 상승 압력 재부각 속에 일제히 하락했다. S&P500은 -0.6%로 4개월 연속 상승 랠리를 이어갔으나 숨 고르기에 들어갔고, 나스닥 종합지수는 -1.2%, 다우지수는 -0.2% 떨어졌다.
같은 날 발표된 근원 개인소비지출(PCE) 물가지수는 전년 대비 2.9% 상승해 2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 시장 예상과 일치했으나 상승 속도가 빨라졌다.
유럽 증시는 가자지구·우크라이나 충돌, 프랑스 정치 불확실성을 둘러싼 경계로 STOXX 600 지수가 -0.6% 하락 마감했다. 독일 DAX·프랑스 CAC40·영국 FTSE100도 각각 -0.6%, -0.8%, -0.3%의 낙폭을 보였다.
핵심 용어 해설
IEEPA는 1977년 제정된 미국 법률로, 국가비상사태 선포 시 대통령이 경제 제재·자산 동결 등을 단행할 수 있게 한다. 이번 판결은 해당 법 적용 범위를 제한함으로써, 향후 행정부 무역정책에 중요한 전례를 제공한다.
근원 PCE는 식료품·에너지 가격을 제외한 소비자 물가 지표로, 연준(Fed)이 목표로 삼는 2% 물가안정 기준을 평가할 때 중시된다.
STOXX 600은 유럽 17개국 대형·중형·소형주 600종목을 추종하는 지수로, ‘유럽판 S&P500’으로 불릴 만큼 시장 전반 흐름을 대변한다.
전문가 시각
이번 항소법원 판결은 미국 행정부의 무역 무기화 전략에 중대한 경고장을 던졌다는 평가가 나온다. 관세 정책이 대법원에서도 제동이 걸릴 경우, 미·중 무역구조 재편과 공급망 다변화 흐름이 가속화될 가능성이 높다. 반면, 정치권은 2026년 선거를 앞두고 ‘강경 대중 노선’을 유지하려 해 정책 혼선이 장기화될 수 있다.
따라서 유럽 투자자들은 미국 법적 리스크와 ECB의 통화정책 기조를 동시에 주시해야 한다. 특히 프랑스 정치 이벤트와 유럽 경기 둔화 신호가 맞물릴 경우, 변동성 확대가 불가피하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