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 – 2025년 7월 초 재부상할 가능성이 높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 관세’ 정책은 캐나다·EU·아시아 주요국과의 무역 균열을 확대하며 미국 경제와 주식시장에 최소 1년 이상 지속될 복합적 충격을 투사한다. 본 칼럼은 최근 뉴스·거시 데이터·역사적 전례를 종합하여 무역 수지·인플레이션·기업 실적 등 3대 축에서 장기적 파장을 점검하고, 투자자가 취할 수 있는 전략적 시나리오를 제시한다.
1. 관세 시계가 다시 움직인다: 쟁점과 배경
2025년 6월 27일 트럼프 대통령은 “우리는 우리가 원하는 대로 할 수 있다”는 발언과 함께 7월 9일로 예정된 관세 복귀 마감일을 사실상 유동화하였다. 이는 4월 9일 행정명령으로 90일간 한시 인하했던 국가별 관세를 원상 복귀할 수 있음을 시사한 것이다. 동시에 캐나다가 미국 IT 기업에 디지털 서비스세(DST)를 도입하자, 트럼프 행정부는 모든 양자 무역 협상을 중단하며 보복 관세를 예고했다.
무역대표부(USTR)에 따르면 2024년 기준 미국–캐나다 상품 교역액은 7,620억 달러, 미국–EU 교역액은 8,500억 달러에 달한다. 관세 재부과가 현실화될 경우, 글로벌 GDP의 4분의 1 이상이 직접 충격권에 진입한다.
1.1 최근 시장 반응
- S&P 500 지수는 6월 27일 장중 최고치에서 1.8% 반락하며 민감도를 드러냈다.
- Nasdaq 종합지수는 IT 대형주(아마존·알파벳·메타) DST 논란 직후 2.3% 하락했다.
- Bespoke 자료에 의하면 2022년 10월 시작된 현 강세장은 989일간 70% 상승하여 밸류에이션 부담이 누적된 상태다.
단기 충격에도 불구하고 월가는 아직 ‘대규모 조정’ 대신 ‘변동성 확대’ 국면으로 해석하지만, 관세가 현실화될 경우 이는 구조적 하방 압력으로 전환될 개연성이 높다.
2. 장기 파장 ① 무역수지·글로벌 공급망 재편
2.1 역사적 데이터 비교
발효 연도 | 주요 관세 정책 | 1년 후 美 무역수지 변화 | 글로벌 교역량(GDP 대비, %) |
---|---|---|---|
2018 | 트럼프 1차 대중 관세(25%) | -1,220억달러 확대 | -0.7 |
2020 | 코로나발 공급망 붕괴 | -700억달러 | -1.3 |
2025E | 트럼프 2차 상호 관세(최대 50%) | -1,500억달러(추정) | -0.9~1.2 |
Moody’s Analytics는 50% 관세가 전면 발효될 경우 첫 해에만 미국 총교역량(GDP 대비)이 0.4%p 감소할 것으로 전망한다. 동시에 캐나다·EU·멕시코 등 파트너국의 보복 관세가 중첩될 시 교역 감속은 1.0%p까지 확대될 수 있다.
2.2 공급망 지형 변화
첫 번째 트럼프 관세(2018~2020)는 중국 → 멕시코·베트남으로의 생산 이전을 촉발했다. 이번 2차 관세는 북미 내 리쇼어링을 가속화하지만, 숙련 인력·인프라 부족으로 초기에 생산성 저하를 유발할 가능성이 크다.
- 자동차·배터리: USMCA 원산지 규정 강화 + 캐나다‧멕시코 관세 충돌 시 디트로이트 3사 비용 증가.
- 반도체: CHIPS Act 보조금에도 유럽산 장비 관세로 설비투자가 지연될 위험.
- 농산물: 캐나다·EU 보복시 중서부 옥수수·대두 가격 급락 가능.
따라서 공급망 재편은 일회성 비용 상승 → 12~24개월 내 마진 압축 → 36개월 이후 효율성 회복 경로를 그릴 공산이 크다.
3. 장기 파장 ② 인플레이션·연준 통화정책 기조
3.1 관세 인플레이션 메커니즘
관세는 수입물가(PPI) 경로로 소비자물가(CPI)에 약 6~9개월 래그를 두고 전가된다. 2018년 대중 관세 당시 주요 전이 계수는 0.17이었다. 즉 10% 관세 → CPI 1.7%p 상승. 이번에 예고된 50% 관세를 단순 환산하면 파급률이 8.5%p로 과장되나, 분산·환율효과·기업 흡수분을 고려하면 실제 CPI 상단은 1.9~2.4%p로 추정된다.
3.2 연준(연방준비제도) 대응 시나리오
시나리오 | 관세 범위 | 2025년말 CPI | 연준 정책금리(점도표 가정) |
---|---|---|---|
Base(현행) | 유예 유지 | 2.1% | 4.00% |
Partial | EU·캐나다 15% | 3.0% | 4.50% |
Full | 전면 50% | 3.6% | 5.00% |
시장 컨센서스(시카고연은 FedWatch)는 현재 2026년까지 완화 기조를 예상하지만, Full 시나리오에서는 연준이 ‘긴축 장기화’로 선회할 위험이 있다. 이는 성장주 밸류에이션에 직접 타격을 준다.
4. 장기 파장 ③ 기업 실적·주식시장 밸류에이션
4.1 밸류에이션 버퍼는 충분한가?
현재 S&P 500은 Forward PER 23.3배로 1999년 닷컴 버블 24.4배에 근접한다. 역사적 평균(15.8배)을 고려하면 49% 프리미엄이 내재된 상태다.
UBS·BlackRock 등 대형 자문사는 AI 생산성 향상을 근거로 ‘프리미엄 정당화’ 의견을 제시하나, 관세→인플레이션→금리 상승 노이즈가 12개월 이상 지속된다면 PER 디레이팅이 불가피하다.
4.2 실적 시뮬레이션
섹터 | 2024E 영업이익률 | 관세 충격 반영 시 2025E | YoY 변동 |
---|---|---|---|
IT 대형주 | 29% | 26% | -300bp |
산업재 | 11% | 8% | -300bp |
소재·에너지 | 14% | 15% | +100bp |
리테일 | 6% | 4% | -200bp |
원자재·에너지 기업은 관세 통과로 상대적 수혜가 기대되지만, 대형 기술·소비주 중심의 S&P 500은 EPS 역풍이 더 크다. 골드만삭스 모델은 ‘Full 시나리오’에서 2025E S&P EPS를 -8%까지 하향하고 있다.
5. 투자자 대응 전략
5.1 3단계 포트폴리오 로테이션
- 2025 Q3 – 불확실성 확산 국면: 변동성 지수(VIX) 롱·금리 헤지(2년 T-Note 매수) 병행.
- 2025 Q4~2026 Q1 – 관세 현실화·인플레 반영: 원자재(에너지·농산물 ETF)·방위산업·중소형 가치주 비중 확대.
- 2026 H2 이후 – 공급망 적응 완료: 인공지능·로보틱스·구독형 소프트웨어 등 구조적 성장 섹터 재진입.
특히 관세로 촉발된 스태그플레이션형 금리 상승에 대비하기 위해 단기채 40% + 대체자산 15% 비중을 유지하는 전략을 권한다.
5.2 옵션·파생상품 활용
- S&P 500 12개월 ATM 풋 오픈 → VIX 20 이상 시 부분 청산.
- Crude Oil Call Spread(75/95) – 인플레이션 헷지.
- USD/CAD Long – 캐나다 달러 약세 베팅.
6. 리스크 요인 및 반론
일부 전문가는 AI·리쇼어링 투자 붐이 관세 영향보다 큰 생산성 향상을 견인할 수 있다고 본다. 실제로 McKinsey는 2025~2030년 미국 노동생산성이 연 1.4%p 추가 상승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그러나 공급망 재배치 초기의 구축효과가 완전히 소멸하기 전까지는 순효과가 음(-)이 될 가능성이 높다.
또한 의회·법원 변수도 있다. 5월 말 연방법원이 트럼프 관세에 제동을 걸었으나, 항소심 유예로 실행 가능성은 여전히 50% 이상이다. 정치·사법 리스크가 병렬로 존재한다는 점에서 투자자는 ‘법원 승소 = 리스크 소멸’로 단순화해서는 안 된다.
7. 결론: ‘장기 파장’을 과소평가하지 말라
트럼프式 관세 복귀는 단순한 단기 헤드라인이 아니라, 무역·물가·이익 세 축을 최소 12~24개월 흔드는 구조적 변수다. 시장은 AI 호황·밸류에이션 확장에 집중해왔지만, 관세 스토리는 리스크 프리미엄 재평가라는 긴 그림을 강제한다. 본 칼럼의 분석이 제시한 수치—무역수지 -1,500억달러 확대, CPI +3.6% 상단, EPS -8%—는 현재 컨센서스 대비 보수적이지만, 리스크 관리 지침으로 기능할 것이다.
전문가 견해 – 필자는 ‘Full 시나리오’ 현실화 확률을 40%로 본다. 그러나 불확실성 그 자체가 자본비용을 끌어올리며, 실현 여부와 무관하게 밸류에이션 조정 압력을 유발한다는 점에서 투자자에게 동일한 중요도를 갖는다. 결국 장기 분산·헤지·현금 비중 확보만이 기회 비용을 최소화할 방파제가 될 것이다.
투자자는 관세 뉴스의 헤드라인 이동보다, 그 이면의 데이터·정책 스케줄—7월 9일 관세 유예 만료, 8월 잭슨홀 미팅, 9월 FOMC—을 눈여겨보아야 한다. 이는 단순 주가 변동이 아니라 거시 서사의 ‘챕터’가 바뀌는 순간들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지금 필요한 것은 낙관·비관 양극단이 아닌, 계량화된 냉정이다. 그 냉정이야말로 변동성 시대의 유일한 실질 통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