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시진핑 전화 회담 앞두고 아시아 증시 혼조 마감

[아시아 증시 동향] 주요국 증시는 미 연준(Fed)의 금리 인하 이후 뉴욕증시가 사상 최고치를 경신한 여파에도 불구하고 19일 혼조세로 거래를 마쳤다.

2025년 9월 19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중국 본토, 홍콩, 일본, 한국 등 주요 시장은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같은 날 개최할 예정인 전화 회담을 앞두고 관망세가 짙었다. 투자자들은 특히 TikTok 미국 사업 매각 협상이 마무리 단계에 들어섰다는 소식에 주목하며 위험 선호도를 조절했다.

중국 상하이종합지수(Shanghai Composite)는 장중 내내 방향성을 모색한 끝에 0.30% 하락한 3,820.09로 마감했다. 코로나19 이후 지속된 규제 리스크와 미·중 기술 갈등이 맞물리며 정보기술(IT)·소비재 대형주가 약세를 나타냈다.

주목

홍콩 항셍지수(Hang Seng)는 장중 상승과 하락을 반복한 뒤 26,545.10으로 거의 보합 마감했다. 중국계 기술주에 대한 규제 우려가 여전히 남아 있으나, 일부 부동산주가 저가 매수세로 반등해 낙폭을 제한했다.

일본 증시는 엔화 강세 부담 속에 하락했다. 도쿄증권거래소에서 니케이225지수는 0.57% 내린 45,045.81, 토픽스(TOPIX)는 0.35% 하락한 3,147.68로 폐장했다. 이날 일본은행(BOJ)이 정책금리를 동결했지만 통화정책 성향이 매파적(hawkish)으로 기울었다는 평가가 나오면서 엔화가 강세로 돌아섰다.

특히 일본 2년 만기 국채 수익률이 2008년 이후 최고치를 찍었다. BOJ는 대규모로 보유 중이던 ETF·리츠(REIT) 매입 프로그램 축소를 공식화해 아베노믹스의 초완화 정책에서 한 단계 물러서는 상징적 조치로 받아들여졌다.

매파적(통화 긴축 지향) 기조는 통상 통화가치 상승과 증시 하락 요인으로 작용한다.

서울 코스피지수는 0.46% 하락한 3,445.24로 마감했다. 최근 급등한 2차전지·반도체 종목에서 차익 실현 매물이 출회된 것이 지수에 부담을 줬다. 외국인 투자자도 관망세로 돌아서며 순매도로 전환했다.

주목

개별 종목 중 현대자동차는 2025년 영업이익률 목표를 기존 7~8%에서 6~7%로 하향 조정한다고 밝히며 2% 넘게 하락했다. 회사 측은 “미국 추가 관세 영향으로 비용 부담이 확대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호주 증시는 S&P/ASX200이 0.32% 오른 8,773.50, 올 오디너리스(All Ordinaries)가 0.34% 상승한 9,061.20으로 마쳤다. 대형 은행헬스케어 업종이 11월 금리 인하 기대를 선반영하며 지수를 견인했다.

뉴질랜드 S&P/NZX-50은 이틀 간의 조정 후 0.85% 상승한 13,231.66을 기록했다. 상대적으로 밸류에이션 매력이 부각된 배당주에 매수세가 유입됐다.

국제상품시장에서는 금 가격이 소폭 상승했고 미 달러화는 연준 회의를 소화하며 보합권을 유지했다. 국제유가는 전일 대비 하락했으나 주간 기준으로는 2주 연속 상승세다.

◆ 뉴욕증시—기술주 랠리 재점화

전날 뉴욕증시에서는 NvidiaIntel에 50억 달러를 투자하기로 합의했다는 소식이 전해지며 반도체 업종 전반이 강세를 보였다. 추가로 미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가 감소해 고용시장이 건실함을 시사했다.

이에 나스닥 종합지수는 0.9%, S&P500은 0.5%, 다우존스는 0.3% 상승하며 모두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미 연준이 9개월 만에 기준금리를 인하(12월 이후 첫 조정)했고 내년 2차례 추가 인하 가능성을 시사한 점도 위험 자산 선호를 강화했다.

전문가 해설: 통상 금리 인하는 기업의 차입 비용을 낮춰 주식시장에 긍정적으로 작용한다. 다만 아시아 투자자는 미·중 갈등, BOJ의 매파 전환 등 지역별 변수와 맞물려 보수적 태도를 유지하고 있다.

용어 해설

  • 매파(hawkish)·비둘기파(dovish): 중앙은행 통화정책 성향을 구분하는 표현으로, 매파는 금리 인상·긴축에 우호적이며 비둘기파는 금리 인하·완화적 스탠스다.
  • 아베노믹스(Abenomics): 2012년 출범한 아베 신조 내각이 추진한 경기부양 정책 패키지로, 대규모 통화완화·재정지출·구조개혁 3개의 화살을 의미한다.
  • ETF·리츠(REIT): 상장지수펀드(Exchange Traded Fund)와 부동산투자신탁(Real Estate Investment Trust)으로, 자산을 묶어 증시에서 거래하는 집합투자 상품이다.

향후 전망: 트럼프·시진핑 통화 이후 TikTok 매각이 타결될 경우 중국 기술주에 대한 외국인 투자심리가 다소 회복될 수 있다는 기대가 나온다. 반면 BOJ가 완화정책 출구를 모색하면서 일본 증시에는 단기적인 조정 압력이 가중될 가능성이 있다.

글로벌 금융시장 참가자들은 연준의 추가 완화 경로, 미·중 무역협상, 원자재 가격 흐름 등을 주시하며 포트폴리오를 재조정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