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내용] 콜롬비아 중앙은행이 7월 통화정책회의에서 기준금리를 0.25%p(25bp) 인하할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하다. 다만 재정건전성 악화가 심화되고 있어 연내 추가 완화 속도는 완만할 것으로 보인다.
2025년 7월 25일, 로이터통신 보도에 따르면, 로이터가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20개 금융기관 중 16곳이 콜롬비아 중앙은행이 기준금리를 현행 9.25%에서 9.00%로 25bp 인하할 것으로 내다봤다.
설문에 참여한 나머지 전문가 가운데 1명은 50bp 인하를, 3명은 동결을 점쳤다. 25bp(basis point)는 0.25%p를 의미한다. 즉, 기준금리를 25bp 내리면 0.25%p 낮아진다.
1. 인플레이션 완화, 그러나 여전히 목표치 상회
콜롬비아 통계청에 따르면 6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전월 대비 0.10% 상승해 시장 예상치를 하회했다. 12개월 누적 물가상승률은 4.82%로, 중앙은행의 중기 목표치 3%를 여전히 상회하지만 완만한 둔화세를 보였다.
투자사 Corfi는 “6월 물가가 예상보다 크게 둔화하면서 향후 물가 기대치가 하향 조정됐고, 이는 중앙은행이 25bp 인하에 나설 명분을 제공한다”라고 분석했다.
다만 일부 이코노미스트는 물가가 2025년 이후까지도 목표치(3%)를 웃돌 것으로 예상해 이번 회의에서 동결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았다.
2. 재정 악화가 통화정책의 ‘족쇄’
라틴아메리카 4위 경제 규모인 콜롬비아는 세수 감소·높은 부채·지출 구조조정 난항이 맞물리며 재정 부담이 커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중앙은행의 과감한 완화정책을 제약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현지 은행 다비비엔다(Davivienda)는 보고서에서 “정부의 세입 부진과 늘어나는 재정적자 우려가 커지고 있다. 경제 성장세가 나쁘지 않은 만큼 중앙은행이 급격한 금리 인하에 나설 유인은 제한적”이라고 지적했다.
특히 국제신용평가사들은 재정수지 악화를 주시하고 있으며, 향후 등급 전망 조정이 현실화될 경우 콜롬비아 국채금리가 추가 상승하고 통화정책 운신폭이 더 좁아질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3. 미 연준과의 ‘디커플링’ 여부
콜롬비아 중앙은행 통화정책회의는 7월 29~30일 열리는 미 연방준비제도(Fed, 연준) FOMC 직후 하루 뒤 개최된다. 시장은 연준이 이번 회의에서 금리를 동결할 것으로 예상한다. 만약 콜롬비아가 인하에 나선다면 미국과의 금리 차이가 더 벌어져 자본유출 압력이 커질 수 있다는 점도 변수다.
그럼에도 로이터 설문 결과, 애널리스트들은 연말 콜롬비아 기준금리 전망치를 종전 8.25%에서 8.50%로 상향 조정했다. 이는 시장이 단기간 급격한 완화보다는 점진적 인하 경로를 반영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2026년 말 전망치는 7.00%로 변동이 없었다.
4. 전문가 시각 및 용어 해설
기준금리(benchmark rate)는 중앙은행이 시중은행 간 초단기 자금 거래 시 적용하는 대표 금리를 말한다. 이 금리가 변동하면 예금·대출 금리, 기업 자금조달 비용 등에 광범위한 파급효과가 나타난다.
베이시스 포인트(basis point, bp)는 금리·수익률 변동 폭을 정밀하게 표현하기 위한 단위다. 1bp = 0.01%p이며, 25bp는 0.25%p, 100bp는 1%p에 해당한다.
현재 콜롬비아는 연 9%대의 고금리를 유지하고 있으나, 물가 상승세가 둔화되고 있어 실질금리(명목금리-물가상승률)가 빠르게 높아지는 상황이다. 이는 경기 둔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어 중앙은행이 부담을 느낄 수밖에 없다.
반면 늘어나는 재정적자는 중앙은행의 금리 정책에 제동을 건다. 정부가 지출을 줄이지 못하면 국채 발행이 늘어 국채금리 상승 압력이 커지고, 이를 상쇄하기 위해 중앙은행이 금리를 지나치게 내리기 어려워진다.
5. 향후 관전 포인트
① 인플레이션 경로: 7~8월 소비자물가가 추가로 둔화할 경우 연내 추가 인하폭이 확대될 수 있다.
② 재정정책 동향: 국회에서 논의 중인 세입 확충 법안과 지출 구조조정이 실제로 집행될지 주목된다.
③ 환율·자본 흐름: 미·콜롬비아 금리차 확대가 페소화 환율과 외국인 포트폴리오 자금에 미치는 영향이 핵심 변수다.
종합적으로 볼 때, 콜롬비아 중앙은행은 7월 회의에서 25bp 인하를 단행할 가능성이 가장 크다. 그러나 재정 불확실성이 해소되지 않는 한, ‘점진적·신중한 완화 기조’가 연말까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