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CE 선물시장에서 2025년 3월물 뉴욕 코코아(코드: CCH25)는 전장 대비 -56달러(-0.51%) 하락한 반면, 같은 월물 런던 코코아(코드: CAH25)는 -11파운드(-0.12%) 떨어지며 장중 상승분을 모두 반납했다.
2025년 8월 8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투자자들은 높은 가격이 초래할 수요 파괴(demand destruction)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브라질의 4분기 코코아 가공량이 전년 동기 대비 -5.5% 감소한 59,589톤으로 집계되면서 이러한 우려가 구체화됐다는 평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부 지표는 소비 탄력성을 시사한다. 스위스 초콜릿 제조사 Lindt & Sprüngli AG는 2024 회계연도 유기적 매출이 전년 대비 +7.80%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시장 컨센서스(+7.41%)를 상회하는 수치로,
“가격 상승에도 불구하고 고급 초콜릿 수요는 여전히 견조하다”
는 신호로 해석된다.
공급 측면에서는 서아프리카 물류 흐름이 불투명하다. 코트디부아르 정부 자료에 따르면 2024/25 마케팅연도 들어 8월 초까지 항구로 운송된 코코아는 116만 톤으로 전년 대비 +27% 증가했다. 그러나 전달 +35% 증가율과 비교하면 상승 폭이 둔화돼 타이트한 공급 전망은 여전하다.
미국 항만의 ICE 모니터 재고는 1년 반 넘게 감소세를 지속, 8월 4일에는 20년 만의 최저치(1,305,196포대)를 기록했다. 이는 선물 가격의 구조적 지지 요인으로 작용한다.
또 다른 공급 압박 신호도 등장했다. 미국 Hershey Co.는 최근 CFTC(미상품선물거래위원회)에 뉴욕 ICE를 통한 최대 9만 톤 이상의 코코아 매입 포지션 허가를 요청했다. 이는 현행 거래소 한도를 9배 넘는 규모이자, CFTC가 정한 연방 포지션 제한(4,900계약ㆍ4만9,000톤)을 초과한다. “현물 시장보다 선물 인수도가 저렴해진 이례적 상황”이라는 분석이 뒤따른다.
현지 Harmattan하마탄 바람과 가뭄이 맞물린 기상 악화도 변수다. 코트디부아르와 나이지리아 일부 농가는
“나뭇잎이 노랗게 변하고 어린 꼬투리가 시들고 있다”
고 전했다. 12월 18일 뉴욕 코코아는 사상 최고가, 런던 코코아는 8개월 만의 고점을 각각 기록했는데, 이는 중간작기(mid-crop) 부진 우려가 직접적 배경이었다.
위성 기상 기업 Maxar Technologies는 “건조 조건이 4월 수확되는 중간작기의 초기 발육을 저해하고, 하마탄이 상황을 악화시킬 수 있다”고 경고했다.
수급 지표 역시 공급 부족을 뒷받침한다. 국제코코아기구(ICCO)는 2023/24 시즌 세계 공급 부족 추정치를 -47만8,000톤으로 상향(작년 5월 −46만2,000톤)하며 60년 만의 최대 결손을 예고했다. 재고/가공 비율(27.0%)은 46년 만의 최저로 추산된다.
한편, 코트디부아르에는 폭우가 지속돼 꼬투리 염증과 품질 저하 문제가 보고됐다. 현지 출하 콩 100g당 알갱이 수가 평균 105개로, 규제기관이 허용하는 80~100개보다 많아 품질이 떨어진다. 이는 “작년보다 무게가 가볍고 향미가 약화될 수 있다”
교차적으로는 나이지리아(세계 6위 생산국)의 11월 수출이 전년 대비 +35% 증가한 38,015톤을 기록, 단기 공급 우려를 일부 완화했다.
반면, 코트디부아르 규제기관 Le Conseil Café-Cacao는 2024/25 생산 전망치를 기존 200만 톤에서 210~220만 톤으로 상향 조정해 가격 하단을 제한하는 요인으로 평가된다.
수요 지표는 지역별로 엇갈린다. 2023년 3분기 북미 가공량은 +12%, 아시아는 +2.6% 증가했지만, 유럽은 -3.3% 감소했다. 시장 전문가들은 “고금리·고물가 환경에서 유럽 소비가 상대적으로 위축됐다”는 진단을 내놓았다.
가나 Cocobod도 8월 20일 2024/25 생산 전망을 70만 톤에서 65만 톤으로 하향했다. 기상이변과 흑수병(Swollen Shoot) 확산으로 2023/24 생산량은 42만5,000톤(23년 만의 최저)에 그쳤다.
용어·제도 설명
ICE Futures는 글로벌 원자재 파생상품 거래소로, 규격화된 선물·옵션을 거래한다. CFTC(미상품선물거래위원회)는 미국 파생상품 시장 감독 기관으로 포지션 한도를 설정해 시장 조작을 방지한다. Harmattan은 사하라 사막에서 기니만 방향으로 부는 건조·먼지 바람으로, 12~3월 서아프리카 농경지에 심각한 수분 스트레스를 유발한다.
전문가 해석 및 전망
다중 요인을 종합하면 공급 타이트·수요 회복 탄력성 이중 구도가 지속될 가능성이 크다. 단기적으로는 하반기 유럽 소비 둔화와 브라질 가공 감소가 조정 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으나, 구조적 공급 부족과 재고 고갈이 중장기 상승세를 지지할 것이라는 시각이 우세하다. 헤지 수요가 꾸준히 유입되는 가운데 생산국의 기상 리스크가 완전히 해소되지 않는 한, 가격 변동성은 더 확대될 전망이다.
※ 본 기사에서 언급된 모든 데이터는 정보 제공 목적이며, 작성일 현재 기자 또는 매체는 관련 자산에 직·간접적인 포지션을 보유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