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코아 가격, 공급 우려 완화에 하락세

ICE 선물시장에서 9월물 뉴욕 코코아(CCU25)는 4일(월) 전거래일 대비 -130달러(-1.58%) 하락 마감했고, 런던 코코아 9월물(CAU25)도 -111파운드(-2.02%) 떨어지며 각각 2주·1주 만의 저점을 기록했다.

가격 하락의 직접적 배경은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관세 부과 대상에서 코코아가 제외될 수 있다는 관측이다. 미국 상무장관 하워드 러트닉은 지난주 “미국 내에서 생산되지 않는 품목은 관세 예외를 받을 수 있다”고 언급해 공급 차질 우려를 누그러뜨렸다.

2025년 8월 4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이러한 관세 이슈가 시장에 퍼지면서 투자자들은 단기적으로 공급 안정성을 재평가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뉴욕·런던 양대 선물시장에서 차익 실현 매물이 출회됐고, 가격은 조정 국면에 진입했다.

뉴욕 코코아 차트

반면 지난주에는 아이보리코스트 수출 둔화 우려로 1개월 최고가까지 랠리를 펼쳤다. 아이보리코스트 정부 자료에 따르면 10월 1일부터 8월 3일까지 농가가 항구로 반입한 코코아 원두는 176만 t으로 전년 대비 6 % 증가했으나, 지난해 12월 기록했던 35 % 폭증세에 비하면 크게 둔화됐다.

서아프리카의 건조한 기후도 공급 차질을 부추긴다.

유럽중기예보센터(ECMWF)는 “아이보리코스트와 가나의 강수량이 30년 평균을 밑돌고 고온 현상이 지속돼 10월 시작되는 메인 크롭(주요 수확기)에서 꼬투리 발달이 저해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수요 측면에서는 초콜릿 소비 둔화가 약세 요인이다. 지난달 스위스 초콜릿업체 린트&슈프륑글리(Lindt & Sprüngli AG)는 상반기 판매 부진을 이유로 연간 마진 가이던스를 하향 조정했다. 세계 최대 B2B 초콜릿 제조사 베리 칼리보(Barry Callebaut AG)는 고가격 부담을 이유로 3개월 만에 두 번째로 연간 판매량 전망을 낮췄다. 동사는 3~5월 매출 물량이 -9.5 % 감소해 10년 만에 최대 분기 감소폭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런던 코코아 차트

지난달에는 글로벌 수요 부진이 두드러지며 뉴욕 선물 가격이 8.5개월 만의 저점, 런던 선물이 17개월 만의 저점으로 밀린 바 있다. 유럽코코아협회(ECA)는 7월 17일 발표에서 2분기 유럽 그라인딩(원두 분쇄량)이 -7.2 %(전년 대비) 줄어든 331,762 t로 예상치(-5 %)보다 부진했다고 발표했다. 아시아코코아협회(CAA)는 2분기 아시아 그라인딩이 -16.3 % 감소해 8년 만의 Q2 최저치(176,644 t)를 기록했다고 전했다. 같은 기간 북미 그라인딩은 -2.8 % 줄어 상대적으로 선방했으나 하락 폭을 피하지는 못했다.

미국 항만의 ICE 모니터 재고는 7월 22일 236만8,141포대로 10.75개월 만의 최고치를 찍어 추가 약세 압력을 가했다. 재고 증가는 단기 공급 여력을 높여 선물 가격 하방 요인으로 작용한다.

공급 전망에서는 가나 코코아위원회(Ghana Cocoa Board)가 2025/26 작황이 전년 대비 8.3 % 늘어난 65만 t가 될 것이라고 7월 1일 예측했다. 세계 2위 생산국인 가나의 증산 전망은 약세 요인이지만, 품질 이슈는 상쇄 변수가 되고 있다.

현재 아이보리코스트 중간 수확기(mid-crop) 원두 품질 저하가 심각하다. 라보뱅크(Rabobank)에 따르면 트럭 한 대 분량에서 5~6 %가 불량으로 분류되고 있는데, 이는 메인 크롭의 1 % 대비 세 배 이상 수준이다. 전문가들은 늦은 우기 도래가 원인이라고 지적한다. 올해 중간 수확 예상치는 40만 t으로 전년 대비 -9 % 감소가 점쳐진다.

나이지리아(세계 5위 생산국)도 생산 감소가 예상된다. 나이지리아 코코아협회는 2025/25 생산량이 전년 대비 -11 % 줄어 30만5,000 t에 그칠 것으로 전망했다.

국제코코아기구(ICCO)는 5월 30일 “2023/24 시즌 세계 공급 부족 규모-49만4,000 t으로 상향 조정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60여 년 만에 최대 수준이다. ICCO는 같은 보고서에서 2023/24 생산량이 전년 대비 -13.1 % 감소한 4,380만 t였다고 밝혔다.

이어서 2024/25 시즌에는 4년 만에 첫 공급 과잉(+14만2,000 t)을 예상했고, 생산량은 +7.8 % 늘어난 4,840만 t에 이를 것으로 내다봤다.

시장 전망

용어 풀이*
그라인딩(Grinding): 원두를 분쇄해 코코아 매스나 버터 등 반가공품으로 만드는 공정으로, 소비 수요를 가늠하는 대표 지표다.
ICE 선물: 미국 인터컨티넨털익스체인지(Intercontinental Exchange)가 운영하는 상품 선물로, 뉴욕·런던 두 시장이 있다.
Mid-crop: 아이보리코스트와 가나 등 주요 산지에서 4~9월에 진행되는 소규모 수확기로, 10~3월 메인 수확기(Main crop)보다 생산량이 적다.

Rich Asplund 기자는 본 기사 작성 시점에 언급된 증권에 대해 직·간접적 보유 포지션이 없었다고 밝혔다. 본 기사는 정보 제공이 목적이며 투자 자문이 아님을 명시한다.

  • Q2 in Soft Commodities – Where are They Heading in Q3 and Beyond?
  • Where Are Cocoa Prices Heading?
  • Where is Support in the Cocoa Futures Market?
  • Is the Rally in Cocoa Running Out of Upside Steam?

© 2025 Nasdaq, Inc. 모든 권리 보유. 기재된 견해는 필진의 개인 의견으로, 나스닥의 공식 입장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