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타와 주요 재정 동향] 캐나다 연방 재무부는 2025/26 회계연도가 시작된 4월부터 6월까지 총 33억4,000만 캐나다달러(C$) 규모의 재정적자를 기록했다고 29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이는 미화 24억2,000만달러(환율 C$1 = US$0.724) 수준에 해당한다.
2025년 8월 29일, 로이터 통신 보도에 따르면 이번 적자 규모는 전년 동기(28억8,000만 캐나다달러) 대비 4억6,000만달러가량 확대됐다. 정부 지출 증가폭이 수입 증가폭을 상회한 것이 주된 원인으로 지목됐다.
세부 지출 흐름
프로그램 지출은 전년 대비 4.6% 증가했다. 구체적으로는 개인·주 정부 대상 주요 이전지출이 늘어난 영향이 컸다. 반면 공공부채 이자비용(public debt charges)은 단기금리 하락에 따라 국고채권(트레저리 빌) 수익률이 낮아지면서 0.6% 감소했으나, 시장성 국채(마켓터블 본드) 발행 잔액이 늘어 평균 유효금리가 높아진 부분이 이를 일부 상쇄했다.
수입 변동 요인
4~6월 누적 재정수입은 전년 동기 대비 2.9% 증가했다. 개인소득세·기타 세목·관세 수입 증가가 주류를 이뤘으며, 특히 수입관세(custom import duties)는 183% 급등해 35억7,000만 캐나다달러를 찍었다. 이는
“미국산 수입품에 부과된 보복 관세(counter-tariffs) 효과”
라고 재무부는 설명했다.
월간 재정수지※ 6월 한 달만 놓고 보면 정부는 36억3,000만 캐나다달러의 흑자를 냈다. 지난해 6월 흑자 9억3,900만달러와 비교하면 3배 이상 늘어난 수치다.
※ 용어 해설
• 트레저리 빌(treasury bill)은 1년 이하 단기 국채로, 금리가 민감하게 변한다.
• 시장성 국채(marketable bond)은 장·단기 채권 모두를 포괄하지만, 일반 투자자에게 유통·매매가 가능한 채권을 가리킨다.
• 보복 관세(counter-tariffs)는 상대국이 먼저 관세를 부과했을 때 대응 차원에서 부과하는 추가 관세다.
전문가 시각
재정적자 확대는 경기부양을 위한 확장 재정정책의 불가피한 결과라는 분석이 나온다. 캐나다 중앙은행(BoC)이 고금리 기조를 점진적으로 완화하고 있는 상황에서, 단기 국채 금리 하락은 공공부채 이자부담을 줄이는 긍정 요인으로 작용하지만, 동시에 장기물 가산금리가 높아져 차입 비용을 완전히 상쇄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도 있다.
또 다른 관전 포인트로는 미국과의 교역 마찰이 있다. 수입관세 폭증이 세수 측면에서는 긍정적으로 작용했으나, 장기적으로는 양국 간 무역구조 악화를 초래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재무부 역시 “관세 수입은 변동성이 큰 항목”이라며 일회성 수입 증가에 대한 경계심을 드러냈다.
환율 변수
29일 기준 미달러/캐나다달러 환율은 1달러당 1.3817캐나다달러로 집계됐다. 이에 따라 재정지표 환산 시 변동 가능성이 상존한다.
종합 평가
결국 캐나다 정부는 재정건전성과 경기부양 사이 균형점을 찾아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단기적으로는 관세 및 소득세 호조가 세원을 뒷받침하지만, 지출 구조개혁 없이는 중장기 재정적자 축소가 쉽지 않을 전망이다.
© 2025 Reuter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