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태양광 대기업들, 지난해 인력 3분의 1 감축…가격 전쟁·과잉 설비가 원인

베이징발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중국을 대표하는 태양광 기업들이 2023년 한 해 동안 전체 인력의 약 31%에 달하는 8만 7,000여 명을 줄인 것으로 나타났다.

2025년 8월 4일, 인베스팅닷컴 보도에 따르면, 롄기(隆基·Longi Green Energy), 트리나솔라(Trina Solar), 진코솔라(Jinko Solar), JA솔라(JA Solar), 퉁웨이(Tongwei) 등 5개 주요 업체가 공개한 사업보고서를 로이터가 분석한 결과, 해당 기업들은 지난해 대규모 감원ㆍ이직을 단행하며 고강도 구조조정을 진행했다.

분석가들은 이번 감원이 전격적인 해고(레이오프)뿐 아니라, 급여 삭감과 근무시간 축소에 따른 자발적 이탈이 복합적으로 작용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중국 정부가 태양광·전기차·배터리를 ‘신(新) 3대 성장 동력’으로 육성해 왔으나, 빠른 설비 증설이 이어지면서 가격 급락대규모 손실이 발생했다.


◆ 업계 전반으로 번지는 가격 전쟁과 손실

태양광 패널은 전 세계 수요 대비 2배 이상 생산되고 있으며, 생산의 상당 부분을 중국이 차지한다. 이러한 공급 과잉은 미국의 고율 관세와 맞물려 매출 단가를 크게 떨어뜨렸고, 업계는 2023년에만 약 600억 달러(약 78조 원)의 손실을 기록했다.

폴리실리콘 가격이 불과 7월 한 달 동안 70%나 급등했음에도 패널 가격 상승폭은 상대적으로 미미해, 원가 압박이 더 심화되고 있다. 폴리실리콘은 태양광 셀의 핵심 원재료로, 최근 주요 생산업체 GCL은

“상위 기업들이 OPEC 협의체를 구성해 공급을 통제하고, 500억 위안(약 9조 6,000억 원) 규모 펀드를 조성해 저품질 설비의 약 3분의 1을 폐쇄할 계획”

이라고 밝혔다.

◆ 정부 개입 시사…그러나 지방정부와의 이해충돌

시진핑 국가주석은 7월 초 “무질서한 가격 경쟁을 종식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이어 공업정보화부(MIIT)는 태양광 업계 간담회에서 가격 안정화와 노후 설비 퇴출을 약속했지만, 구체적 시점과 방식은 공개되지 않았다.

업계 소식통에 따르면, 국가발전개혁위원회(NDRC)는 이미 올 들어 신규 설비 증설에 ‘구두 승인’ 절차를 도입했다. 그러나 안후이성(安徽省) 등 일부 제조 거점 지자체는 고용·성장 지표를 이유로 강력한 구조조정에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


◆ 현장 전문가·애널리스트 진단

모닝스타의 왕청(Cheng Wang) 애널리스트는 “2023년 말부터 하락세가 본격화됐고 2024년에는 상황이 더 악화됐다. 2025년 전망 역시 밝지 않다”고 진단했다. 제프리스의 앨런 라우(Alan Lau)는 “제조 설비의 최소 20~30%가 퇴출돼야 업계가 수익성을 회복할 것”이라며, “과거 철강·시멘트 등에서도 과잉 설비 문제가 있었지만, 업계 전체가 1년 반 이상 현금흐름 적자를 지속하는 사례는 드물다”고 강조했다.

라우 애널리스트는 태양광 산업의 손실 규모가 부동산 시장과 비슷한 수준에 달한다면서도, 산업 규모는 부동산의 10분의 1에 불과하다는 점을 지적했다. 그는 “이는 매우 이례적이고 비정상적인 상황”이라고 평가했다.


◆ 용어 해설

폴리실리콘은 태양광 셀 제조의 핵심 재료로, 고순도 결정 구조를 가진 실리콘이다. 높은 온도에서 태양광 전기를 생산할 수 있게 하는 기초 소재로서, 원가 비중이 높아 가격 변동이 산업 수익성에 직결된다.

또한, OPEC은 석유수출국기구(Organization of the Petroleum Exporting Countries)의 약칭으로, 산유국들이 생산량을 조절해 가격을 관리하는 국제 기구다. 업계 일각에서는 폴리실리콘 업체들도 비슷한 방식으로 협조 체계를 마련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 전망 및 시사점

전문가들은 중앙정부가 구조조정에 드라이브를 걸 경우 단기간 내 대규모 설비 퇴출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한다. 다만, 지방정부가 고용 악화를 우려해 저항할 가능성이 높아, 실제 효과는 정책 일관성집행 강도에 달려 있다는 분석이 우세하다.

과잉 설비 해소에 시간이 지연될 경우, 2025년 이후에도 가격 전쟁이 이어져 추가 감원과 기업 파산이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반면, 일각에서는 구조조정을 계기로 글로벌 시장 경쟁력이 강화되고, 친환경 정책 수요가 재차 늘어날 경우 중장기적 재도약의 발판이 될 수 있다는 전망도 제시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