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전기차, 유럽 점유율 급증…미국 시장 ‘전초전’ 될까

유럽에서 중국 전기차(EV)가 빠르게 점유율을 넓히면서 미국 시장 진출 시점에 대한 관측이 고조되고 있다.

2025년 9월 15일, 인베스팅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올해 독일 뮌헨에서 열린 IAA 모빌리티 쇼에는 중국 자동차 브랜드가 12개 이상, 모델 수로는 50개가 넘는 전기차가 전시됐다.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JATO 다이터에 따르면, 2025년 상반기 중국 브랜드의 유럽 신규 자동차 등록 비중은 5.1%로 1년 전의 두 배에 달했다. 중국 자본에 인수된 브랜드까지 합치면 추가로 2.9%가 더해져, 해당 물량의 상당수가 배터리 전기차(BEV)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에 집중됐다.

주목

예컨대 비야디(BYD)는 2년 전 6종이던 유럽 판매 모델을 현재 13종으로 늘렸으며, 연말까지 32개국에 1,000개 이상의 매장을 운영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또 서프(Surf) 모델을 헝가리 공장에서 생산하기 시작으로, 2028년까지 유럽 판매 전기차 전량을 현지 생산하겠다고 밝혔다.

홍치(红旗·Hongqi)는 2028년까지 유럽에서 15개 모델을 출시할 계획이고, 샤오펑(Xpeng)은 이미 10개 유럽 국가에 진출했으며 독일에 연구개발(R&D) 센터를 신설 중이다.

GAC 그룹 한 임원은 “우리가 하는 모든 일은 유럽 소비자의 니즈에서 출발한다”면서 “현지 생산을 향한 발걸음을 더욱 가속화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 같은 경쟁 구도는 미국 완성차 및 부품업체에도 중대한 시사점을 던진다. 분석가들은 “중국 시장에서 글로벌 부품업체가 부진했던 전례가 유럽에서도 반복될 수 있다”며 경고했다. 만약 중국 브랜드가 유럽에서 성공을 거둘 경우, 폭스바겐·스텔란티스·르노 등 기존 업체뿐 아니라 모빌아이, 보그워너, 마그나, 리어, 아디언트 등 유럽 매출 비중이 큰 부품사도 압박을 받을 수 있다.

다만 UBS는 “미국 시장은 사실상 폐쇄적(closed)인 구조”라며 디트로이트 3사와 그 협력사들의 단기 방파제 역할을 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주목

그러나 포드의 짐 패럴리 최고경영자(CEO)는 최근 샤오미 SU7을 언급하며 “다음 세대 전기차의 진짜 경쟁자는 지리, BYD 같은 중국 업체”라고 말했다. 리비안의 RJ 스캐린지 CEO는 “중국차가 실제로 더 낫다”며 이들의 미국 진입에 대비해야 한다고 직설적으로 경고했다.

여기에 멕시코 정부가 중국산 자동차에 50% 관세를 부과하기로 하면서 상황은 더욱 복잡해졌다. 해당 조치는 USMCA(미국·멕시코·캐나다 협정) 재협상을 앞두고 현지 생산기지를 보호하고 미국의 정책 기조에 보조를 맞추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멕시코 현지 공장 건설’이라는 우회로를 통해 중국 업체가 북미 시장에 진입할 위험이 높아졌다고 지적한다. UBS는 “관세가 적용되면 중국에서 멕시코로 연 12만5천 대가량을 수입하는 GM도 영향을 받을 수 있다”며 “GM에 대한 예외 규정이 마련될지 주목된다”고 말했다.

동시에 UBS는 이 조치가 “GM이 미국으로 생산을 전환하면서 생길 멕시코 공장 공백을 다른 모델로 백필(backfill)할 기회가 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결론적으로 중국 전기차가 당장 미국 쇼룸을 대거 점령하진 않더라도 “가격과 품질이 우수한 제품은 결국 시장에 진입할 방법을 찾는다”는 점을 분석가들은 강조했다. 미국 정책이 국내 업체를 지금은 보호하고 있지만, 그런 방어막이 언제까지 유지될지는 여전히 불확실하다.

참고로, JATO는 글로벌 자동차 등록·판매 데이터를 집계하는 영국계 시장조사기관이며, USMCA는 2020년 7월 발효된 북미 자유무역협정(NAFTA)의 개정판으로, 자동차 원산지 기준과 노동 규정을 강화해 회원국 간 관세 혜택을 조정한다.

기자 시각 — 유럽은 이미 탄소배출 규제로 내연기관 퇴출 스케줄을 명확히 제시했고, 소비자는 가격 대비 성능이 뛰어난 신흥 브랜드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중국 업체들이 거대한 내수와 배터리 수직계열화로 확보한 가격 경쟁력을 앞세워 유럽에서 입지를 다질 경우, 규제가 상대적으로 느슨한 신흥국뿐 아니라 미국이라는 최대 승부처에서도 파급력을 확대할 가능성이 높다. 디트로이트 3사는 IRA(인플레이션 감축법) 인센티브와 보호관세에 안주하기보다, 소프트웨어·배터리·가격 경쟁력을 조속히 재정비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