줌 비디오 커뮤니케이션즈(Zoom Video Communications, NASDAQ: ZM)가 하이브리드 근무 트렌드와 자사 제품군에 통합한 인공지능(AI) 기능의 견조한 수요를 바탕으로 2026회계연도 연간 매출 및 이익 전망을 상향 조정했다고 밝혔다.
2025년 8월 21일, 인베스팅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회사의 긍정적 전망 소식이 전해진 뒤 시간외 거래에서 주가는 4.5% 상승세를 기록했다.
줌은 팬데믹 기간 폭발적으로 증가한 화상 회의 수요 덕분에 일약 글로벌 협업 플랫폼의 대표 주자로 자리매김했다. 이후 회사는 AI 기반 가상 에이전트(Virtual Agent)와 AI 컴패니언(Companion) 등 에이전틱 AI※1 기능을 잇달아 선보이며 핵심 화상 회의 비즈니스를 유지하고 동시에 신규 시장 진출에 속도를 내고 있다.
세부 가이던스
회사는 2026회계연도(2025.2~2026.1) 매출을 48억3,000만~48억4,000만 달러로 제시했다. 이는 종전 전망치(48억0,000만~48억1,000만 달러)를 소폭 상회한다. 조정 주당이익(EPS) 전망도 5.81~5.84달러로 상향했으며, 앞서 제시했던 5.56~5.59달러 대비 약 0.25달러 올라갔다.
분기 실적 하이라이트
2025회계연도 2분기(종료일 7월 31일) 매출은 12억2,000만 달러로, LSEG 집계 컨센서스(12억 달러)를 넘어섰다. 같은 분기 조정 EPS는 1.53달러를 기록해 애널리스트 예상치(1.37달러)를 크게 웃돌았다. 3분기 매출 전망(12억1,000만~12억2,000만 달러) 역시 월가 평균치(12억1,000만 달러)를 상단에서 상회한다.
AI 제품군 확장
줌은 6월에 Virtual Agent 2.0을 출시했다. 해당 솔루션은 상품 반품 처리, 계정 정보 업데이트, 예약 업무 등 복잡한 과업을 자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설계됐다. 이어 7월에는 Custom AI Companion 애드온(Add-on)을 포함한 신규 기능들을 선보였다. 특히 구글 미트(Google Meet) 등 타사 화상 회의 플랫폼에서도 AI 컴패니언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해 중소기업 고객의 편의성을 높였다는 평가다.
하이브리드 근무 효과
팬데믹 이후 기업들이 사무실+원격 근무 방식을 병행하면서 클라우드 기반 협업 솔루션의 중요성이 한층 강화됐다. 줌은 이러한 추세 속에서 영상 회의ㆍ전화ㆍ챗ㆍ컨택센터를 묶은 통합 커뮤니케이션 패키지를 제공하며 고객 락인(lock-in) 효과를 도모하고 있다.
시장 평가 및 전망
애널리스트들은 꾸준한 비용 효율화와 AI 모듈의 부가가치 창출이 앞으로도 영업 마진 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다만, 마이크로소프트 팀즈(Microsoft Teams), 슬랙(Slack) 등 경쟁사도 유사한 기능을 강화 중이어서 차별화 전략이 관건이라는 평가다.
※1 에이전틱 AI(agentic AI)— 명령에 따라 작업을 스스로 구성·실행하는 ‘주체(agent)’ 형태의 인공지능을 의미한다. 단순 응답형 챗봇을 넘어, 일련의 과정을 묶어 자동화할 수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AI는 단순 기능이 아니라 생산성의 새로운 표준이 되고 있다” — 줌 커뮤니케이션즈 경영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