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재무장관 “BOJ 금리 인상 요구, 경기·물가 여건 면밀히 점검해야”

도쿄발 금융 정책 이슈—일본 정부가 중앙은행의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을 둘러싼 재계의 요구에 대해 ‘경제·물가 환경을 예의주시하겠다’는 신중론을 재확인했다.

2025년 8월 15일, 로이터통신 보도에 따르면, 가토 가쓰노부 일본 재무장관은 정례 기자회견에서 “최근 기업단체들이 일본은행(BOJ)에 금리 인상을 촉구하고 있으나, 정부는 그 배경이 되는 실물경기·물가 흐름을 세밀히 관찰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가토 장관“통화정책 결정은 전적으로 BOJ의 독립적 권한”이라며 정책 결정에 관한 직접적 언급을 피했지만, 시장의 이목이 쏠린 ‘조기 금리 인상’ 논쟁에 대해선 “경제 펀더멘털을 기반으로 판단해야 한다”는 원칙론을 반복했다.


외부 발언이 촉발한 금리 인상 기대

미국 스콧 베슨트 재무장관이 전날 한 행사에서 “BOJ가 뒤늦게(behind the curve) 인플레이션 위험에 대응하고 있다”며 “가까운 시일 내 금리를 올릴 가능성이 높다”고 발언한 것이 발단이었다. 해당 발언 이후 외환·채권 시장에서는 엔화 강세와 일본국채(JGB) 수익률 상승이 동시에 나타났다.

“그는 BOJ에 금리를 올리라고 압박한 것이 아니라, 인플레이션 리스크 대응이 지연됐다는 사실에 근거한 전망을 제시했을 뿐이다.” — 아카자와 료세이 경제재생담당상

아카자와 장관은 별도 기자회견에서 위와 같이 강조하며 정책 독립성 침해 논란을 일축했다.


전문가들이 설명하는 핵심 용어

• 뒤처졌다(Behind the Curve): 중앙은행이 물가 상승 압력에 선제적으로 대응하지 못해, 정책 타이밍이 너무 늦었다는 평가를 받을 때 쓰이는 표현이다.

• 일본국채 수익률(JGB Yield): 정부가 발행한 채권의 시장금리를 의미하며, 투자자 기대 인플레이션과 통화정책 전망에 민감하다. 수익률 상승은 채권 가격 하락·차입 비용 증가로 이어진다.


시장 반응과 정책 시사점

베슨트 발언 직후 10년 만기 JGB 수익률은 장중 0.12%p 상승하며 연 1.03%를 기록했다. 엔·달러 환율도 1엔가량 상승해 1달러=141엔선을 한때 하회했다. 일부 애널리스트는 “BOJ가 연내 기준금리를 0.10%에서 0.25%로 引上할 수 있다”는 견해를 내놨다.

그러나 가토 장관은 “물가 기대와 임금 동향, 글로벌 경기 둔화 가능성 등 복합 요소를 감안해야 한다”며 성급한 결론을 경계했다. 아직도 일본의 근원 소비자물가상승률은 2%대 중반에 머물러 있고, 엔화 강세가 수출기업 이익을 압박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정책 수사(修辭)의 미묘한 변화

BOJ 내부에서는 “단기금리 정상화는 필요하지만, 디플레이션 심리가 완전히 해소됐는지 확인이 선행돼야 한다”는 보수적 견해가 우세하다. 다만, 재계 단체인 게이단렌(經團連)이 “저금리 장기화가 생산성 투자를 위축시킨다”며 금리 인상을 공식 건의한 사실은 금융·재정당국에 적잖은 압박으로 해석된다.

분석가들은 “정부·BOJ 간 ‘마찰 없는 커뮤니케이션’이 이어질 경우, 시장 변동성을 최소화하면서 정책 전환이 가능하다”고 전망한다. 반면, 글로벌 투자자들은 “미국·유럽과 일본의 정책 괴리(乖離)가 단기간에 좁혀지긴 어렵다”는 시각을 유지하고 있다.


향후 관전 포인트

첫째, 9월 BOJ 금융정책결정회의에서 ‘YCC(수익률곡선 통제)’ 상한 조정이 이뤄질지 여부다. 둘째, 정부가 10월 발표할 추경예산 규모와 재정 지출 패턴이다. 셋째, 2025년 임금협상 시즌에 나타날 실질 임금 상승률과 ‘2차 인플레’ 가능성이 핵심 변수로 꼽힌다.

현재로서는 가토·아카자와 두 장관 모두 “시장 소통 강화”를 강조하고 있어, 외부 발언으로 촉발된 변동성이 정책 결정에 반영되기까지는 다소 시차가 존재할 전망이다.

결론적으로, 정부는 재계의 금리 인상 요구를 “경청하되 곧장 행동으로 옮기지는 않겠다”는 메시지를 시장에 발신한 셈이다. 이에 따라 투자자들은 실물지표·임금·엔화 흐름이라는 ‘세 개의 시그널’을 근거로 BOJ의 다음 행보를 가늠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