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퇴자들이 첫손에 꼽는 종목 ‘애플’, 노후자금 마련에 필요한 투자 금액은?

애플(Apple Inc.)은 전 세계 투자자와 소비자 모두에게 가장 사랑받는 테크 기업 가운데 하나다. 아이폰, 맥북, 아이패드, 에어팟 등 사용자 친화적 제품군이 탄탄한 ‘락인(lock-in) 생태계’를 형성하며, 주가는 최근 5년간 S&P 500 지수를 앞지른 끝에 시가총액 3조 달러2023년 6월 첫 돌파라는 전인미답의 기록을 세웠다.

2025년 8월 21일, 나스닥닷컴 보도에 따르면 은퇴자들에게 추천되는 1순위 단일 종목이 바로 애플이다. 장기적인 블루칩(우량주) 지위를 바탕으로 안정적 현금흐름과 배당 확대가 기대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단 한 종목만으로 ‘노후 자금(일명 네스트에그)’을 충족시킬 수 있을지는 여전히 고민거리다.

전문가들은 우선 은퇴 후 목표 자산 규모를 명확히 잡아야 한다고 조언한다. 주거·의료·여가 등 생활수준에 따라 50만~300만 달러 이상까지 필요 자금이 크게 달라지므로, 목표 금액이 작을수록 필요한 애플 주식 수량도 줄어든다.


투자 시작 연령이 수익률을 좌우한다

같은 금액이라도 투자 시점에 따라 결과는 극명하게 갈린다. 예컨대 25세 때 애플 주식 2만 달러어치를 매수해 연평균 10% 수익률을 40년간 유지하면, 65세 시점 가치는 약 109만 달러가 된다. 반면 40세에 동일 금액을 매수하면 25년 뒤 가치는 약 24만 1,000달러에 불과하다.

연령·수익률·목표 자산(150만 달러)을 변수로 필요한 주식 수량을 계산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나이 5% 8% 10% 15% 20%
20세 461주(105,865달러) 120.4주(27,650달러) 49.29주(11,320달러) 5.3주(1,221달러) 0.58주(133달러)
30세 759.47주(174,407달러) 267.27주(61,378달러) 133.42주(30,639달러) 23.61주(5,422달러) 4.21주(966달러)
40세 1,250.82주(287,250달러) 593.24주(136,237달러) 361.16주(82,940달러) 104.82주(24,071달러) 30.58주(7,022달러)
50세 2,060.11주(473,105달러) 1,316.77주(302,396달러) 977.67주(224,522달러) 465.4주(106,880달러) 222.23주(51,034달러)

주가 229.65달러(2025년 8월 12일 종가) 기준


애플의 장기 평균 수익률 추이

• 3년: 12.67%
• 5년: 15.67%
• 10년: 24.30%
• 15년: 25.24%
• 20년: 28.90%

FinanceCharts 자료에 따르면 시간이 흐를수록 수익률이 완만히 하향하고 있다. 성숙기에 접어든 성장주라는 점을 감안하면 자연스러운 현상이나, 가장 최근 3년 평균(12.67%)도 여전히 미국 증시 장기 평균(10% 안팎)을 상회한다.


리스크와 분산 투자 원칙

아무리 우량주라도 단일 종목에 전 재산을 집중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애플 또한 한 해 주가가 30% 넘게 빠진 사례예: 2022년 –27%가 존재한다. 은퇴 직전 급락이 발생하면 계획이 무너질 수 있다는 점이 가장 큰 위험이다.

또한 ‘과거 수익률이 미래를 보장하지 않는다’는 투자 격언은 여전히 유효하다. 애플은 더 이상 초기의 고성장 국면이 아니라 안정적 매출·배당 확대 단계에 진입했으므로, 성장 잠재력이 더 큰 다른 종목이나 ETF를 포트폴리오에 섞어 위험을 줄이는 전략이 필요하다.

블루칩(Blue-chip)이란? 포커 게임에서 가장 가치가 높은 파란색 칩에서 유래한 용어로, 시가총액이 크고 재무 건전성이 높은 우량 대형주를 뜻한다. 안정적이지만 성장성은 제한될 수 있다.


기자 관점: ‘애플 100%’ 전략, 어디까지 현실적인가

내구재 소비 침체, 인공지능(AI) 경쟁, 미·중 규제 변수 등 향후 10년간 애플이 맞닥뜨릴 구조적 위험도 무시할 수 없다. 따라서 현금흐름을 중시하는 은퇴자라면 애플 배당 성장률뿐 아니라, 고배당 ETF·국공채·우선주 등 방어적 자산 편입으로 포트폴리오를 다변화해야 한다.

결국 애플은 ‘은퇴 포트폴리오의 핵심 축’이 될 수 있으나, 전부가 되어서는 안 된다. 투자 연령을 앞당기고, 기대수익률을 현실적으로 조정하며, 섹터·지역 분산을 병행할 때 비로소 안정적 노후자금이 완성된다는 점이 핵심 메시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