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두(소이빈) 선물이 월요일 장 초반부터 대부분의 만기에서 10~12센트 상승하며 강세를 보이고 있다. 전월 실물인수도(deliveries)는 금요일 밤 추가로 76건이 공시돼, 이달 누적 1,582건을 기록했다. 현물 가격을 대표하는 cmdtyView 전국 평균 현물 대두(Cash Bean) 가격은 전장 대비 11과 1/4센트 하락한 $10.54로 집계됐다. 반면, 소이밀(Soymeal) 선물은 월요일 현재 $2.40~$2.60 상승했고, 소이오일(Soy Oil) 선물은 74포인트 올랐다.
2025년 11월 10일, 바차트(Barchart)의 보도에 따르면, 미국 농무부(USDA)는 11월 6일 종료 주간 옥수수 수출 선적을 108만9,000톤(1.089 MT)주: 원문 단위 표기 준수으로 집계했다. 이는 전주 대비 10.5% 증가했으나, 전년 동기 대비로는 53.9% 감소했다. 같은 기간 파키스탄이 186,773톤으로 최대 목적지였고, 이집트로 124,162톤, 인도네시아로 94,883톤이 향했다. 2025/26마케팅 연도 누적(9월 1일~) 옥수수 수출은 총 888만9,000톤(8.889 MMT), 또는 3억2,662만6,000부셸(326.626 mbu)로, 전년 동기 대비 42% 감소를 기록하고 있다.
남미 작황과 파종 상황도 대두 가격의 재료로 거론된다. 부에노스아이레스 곡물거래소는 아르헨티나 대두 파종률이 4.4%라고 추정했는데, 이는 전년 동기 대비 4%포인트 낮은 수준이다. 브라질의 대두 파종 진척도는 11월 6일 기준 61%로 집계됐으며, 이는 전년 동기 67%에 비해 더딘 흐름이다.
선물 만기별 시세는 다음과 같다. 11월물 2025년 대두는 $11.13과 1/4로 11과 1/2센트 상승했다. 근월 현물가는 $10.54로 11과 1/4센트 상승했다. 1월물 2026년 대두는 $11.28과 3/4로 11과 3/4센트 상승했고, 3월물 2026년 대두는 $11.37과 3/4로 12센트 상승했다.
핵심 포인트: 월요일 대두 선물 10~12센트 상승, 소이밀·소이오일 강세, USDA 주간 옥수수 수출 1.089 MT, 아르헨티나 파종률 4.4%, 브라질 파종 61%(전년 67%).
시장 맥락과 해석정보 제공 목적에서 보면, 대두 선물의 단기 랠리는 남미 파종 지연과 파종률 둔화가 공급 리스크로 인식되며 위험 프리미엄이 반영된 결과로 해석된다. 브라질은 세계 최대 대두 생산·수출국 중 하나로서, 파종 진척률 61%는 평년 또는 전년 대비 늦은 속도로 평가되며, 기상 변수(강우 편차, 고온·건조 등)가 잔존할 경우 생산량 변동성 리스크가 커질 수 있다. 아르헨티나의 4.4% 파종률 역시 전년 대비 4%포인트 낮아 초기 생육 단계의 불확실성이 확대될 여지를 시사한다.
가격 측면에서 소이밀이 $2.40~$2.60 상승하고, 소이오일이 74포인트 상승한 점은 분쇄(crush) 마진에 대한 시장의 기대를 비추는 대목이다. 통상 소이밀은 사료 수요, 소이오일은 바이오디젤·식용유 수요와 연동되는 경향이 있어, 양쪽이 동반 강세를 보일 때는 대두 원물에 대한 수요 전망이 견조하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다만, 현물 지표인 cmdtyView 전국 평균 현물 대두 가격이 $10.54로 전장 대비 11과 1/4센트 하락한 점은, 선물과 현물 간의 시차·기대 차 혹은 지역별 현물 수급에 따른 단기 괴리를 반영할 수 있다.
한편, USDA의 옥수수 주간 수출은 1.089 MT(39.99 mbu)로 전주 대비 10.5% 증가했지만, 전년 동기 대비 53.9% 감소했다. 최대 선적 목적지로 파키스탄 186,773톤, 다음으로 이집트 124,162톤, 인도네시아 94,883톤이 확인되었다. 마케팅 연도 누적(9월 1일~) 기준 8.889 MMT(326.626 mbu)는 전년 동기 대비 42% 낮은 수준으로, 글로벌 곡물 교역에서의 수요 둔화나 가격 경쟁, 환율, 물류 요인 등이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곡물 복합군의 흐름은 교차 대체효과를 통해 대두 가격에도 간접적 신호를 줄 수 있다.
용어 설명 및 체크포인트
– 인수도(Deliveries): 선물 만기 시 실물 인수·인도를 통해 계약을 이행하는 건수를 의미한다. 월간 1,582건은 유동성과 현물 수급 여건을 가늠하는 참고치다.
– 포인트(Points): 특히 소이오일 등 일부 상품 선물에서 가격 최소 변동 단위를 지칭한다. 여기서 74포인트 상승은 해당 선물의 미세한 가격 단위가 74틱만큼 상승했음을 뜻한다.
– cmdtyView 전국 평균 현물 대두: 지역별 현물 거래 데이터를 집계한 평균 가격 지표다. 선물은 미래 인도 가격, 현물은 즉시 인도 가격으로, 단기적으로 방향이 다를 수 있다.
– 마케팅 연도(Marketing Year)농산물 관행: 미국 곡물 시장에서 통용되는 회계·통계상의 연도 구분으로, 품목별 시작일이 다르다. 본문은 9월 1일 시작 기준을 명시했다.
시장 관찰 포인트로는 첫째, 남미 파종 진척률과 기상이 공급 리스크로 이어질지 여부, 둘째, 분쇄 마진 흐름을 좌우하는 소이밀·소이오일의 상대 강세, 셋째, 미국 곡물 수출의 회복 속도와 달러 환율·해상운임 등 비용 요인의 상호작용이 꼽힌다. 현재의 10~12센트 상승은 단기 반등 성격이 강하나, 파종·생육 단계 뉴스플로우에 민감하게 반응할 소지가 있다.
Don’t Miss a Day: From crude oil to coffee, sign up free for Barchart’s best-in-class commodity analysis.
본 기사 작성일 현재, 오스틴 슈뢰더는 본문에 언급된 어떤 증권에도 직·간접 포지션을 보유하지 않았다. 본 기사에 포함된 모든 정보와 데이터는 정보 제공 목적이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Barchart Disclosure Policy를 참조할 수 있다.
본문에 나타난 견해와 의견은 작성자의 것으로, 나스닥(Nasdaq), Inc.의 견해를 반드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