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러 연준 이사 “7월 25bp 인하 지지”…달러 가치 하락

달러화가 주간 마지막 거래일에 약세로 돌아섰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이사인 크리스토퍼 월러가 7월 29~30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25bp(0.25%p)*basis point; bp는 0.01%p를 뜻함 인하를 지지한다고 공개적으로 밝히자, 달러지수(DXY)는 0.24% 떨어졌다.

2025년 7월 20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월러 이사의 “물가가 목표치에 근접했고 상방 위험이 제한적인 만큼 고용시장 악화를 기다릴 필요가 없다”는 발언이 달러 매도세를 자극했다. 같은 날 발표된 미시간대 7월 인플레이션 기대치 하락도 연준의 비둘기파적(통화완화 선호) 스탠스를 뒷받침하면서 달러 약세를 심화시켰다.

다만 달러 하락폭은 미국 주택 지표의 예상 밖 호조에 제한됐다. 6월 주택착공은 전월 대비 4.6% 증가한 132만 1,000호를 기록해 시장 예상치(130만 호)를 웃돌았다. 미래 주택 수요를 가늠하는 건축허가도 0.2% 늘어난 139만 7,000호로, 감소 전망(-0.5%)과 달리 개선됐다.


美 경기·물가 지표 흐름

같은 날 발표된 미시간대 7월 소비심리지수는 61.8로 5개월 만의 최고치를 기록했다(전월 60.7 → 61.8). 그러나 1년 기대 인플레이션은 4.4%로 5개월 최저로 떨어졌고, 5~10년 기대 인플레이션 역시 3.6%로 하락해 연준이 금리인하에 나설 명분이 강화됐다.

정책금리를 미루기보다 선제적으로 25bp 낮추는 것이 적절하다
— 크리스토퍼 월러 연준 이사, 7월 17일 연설 중

연방기금선물 시장에서는 7월 FOMC에서 25bp 인하 가능성을 5%, 9월 회의에서는 58%로 반영했다. 이는 월러 발언 이전보다 각각 2%p, 10%p 이상 상승한 수치다.시카고상품거래소(CME) FedWatch

유로·엔화 등 주요 통화 동향

EUR/USD는 0.20% 상승해 달러 약세를 반영했지만, 유로존 5월 건설생산이 전월 대비 1.7% 감소하며 2년 반 만에 최대 폭으로 위축된 점이 상승폭을 제한했다. 독일 6월 생산자물가(PPI)도 전년 대비 1.3% 하락해 9개월 만에 가장 큰 낙폭을 나타냈다.

USD/JPY는 0.11% 올라 엔화가 약세를 보였다. 6월 일본 전국 CPI(식료품·에너지 제외)가 3.4%로 17개월래 최고 상승률을 기록했음에도, 21일 참의원(상원) 선거에서 자민당(LDP) 과반 상실 우려와 향후 재정 악화 가능성이 엔 매도 요인으로 작용했다.

트럼프 관세 카드 재부상

거래소 참가자들은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추가 관세 언급도 주목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7월 16일 “150여 개국에 10~15% 최소관세 부과를 통보할 것”이라고 밝혔고, 파이낸셜타임스는 이를 두고 “EU와의 무역협상에서 자동차 관세 인하 제안에도 미동이 없다”고 전했다.

상품시장 영향

gold_price_chart

달러 약세와 미 국채 수익률 하락으로 금 8월물(GCQ2)은 0.39%(13달러) 상승, 은 9월물(SIU2)은 0.42%(0.161달러) 상승 마감했다. 월러 이사의 비둘기발언이 인플레이션 헤지 수요를 자극했고, 글로벌 무역 긴장 재점화가 안전자산 선호를 부추겼다.

알아두면 좋은 용어 정리

• FOMC: 연방준비제도 통화정책 결정회의로, 연 8회 정기 개최된다.
• 기준금리(basis point): 1bp는 0.01%p를 의미, 25bp는 0.25%p 조정을 뜻한다.
• 미시간대 소비심리지수: 미국 소비자 500여 명을 대상으로 하는 설문조사 결과로, 소비 지출 선행지표로 활용된다.


전문가 시각·전망

시장 참여자들은 7월 인하 가능성을 “아직 낮지만 무시할 수 없을 정도로 올라섰다”고 평가한다. 만약 9월까지 물가 진정세가 이어질 경우, 연준이 연내 1~2차례 추가 완화에 나설 여지도 있다. 그러나 주택·소비 지표가 견조한 만큼, 인하 속도는 제한적일 가능성이 크다.

외환 애널리스트들은 “달러지수가 100선 아래로 내려갈 경우 유로·엔화뿐 아니라 신흥국 통화에도 강세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며, “8월 1일로 예고된 트럼프 관세 서한과 7월 24일 ECB 회의 결과가 단기 방향성을 가를 변수”라고 진단했다.